신기능검사(신장기능검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기능검사(신장기능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양측 신기능을 종합적으로 본 것
1. 혈액생화학
2. 소변의 농축 및 희석시험
1) 피시버그 농축시험
2) 요희석시험
3. PSP 검사
4. 클리어런스 검사
1) 사구체여과치
2) 신혈장유량과 신혈류량
3) 사구체의 여과분율
4) 세뉴관 분비극량
5) 세뇨관 재흡수 극량
6) 삼투압 클리어런스와 자유수 클리어런스
5. 네프론의 부위별 기능과 각종 신기능 검사

II. 좌우의 신기능을 구별해서 본 것

III. 방사선학적 검사
1. 복부단순 X선 촬영
2. 정맥성 신우촬영
1) 신속연속 신우촬영
2) 점적정주시킨 신우촬영
3. 역행성 신우촬영
4. 동맥촬영
1) 대동맥 촬영
2) 선택적 신동맥 촬영

IV. 동위원소검사
1. 레노그람
2. 신티그람

V. 기타 검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이상을 나타내 준다. (4) 척추, 늑골, 골반의 이상은 신부전시의 골이양증, 신장암의 골전이를 시사한다.
2. 정맥성 신우촬영 (intravenous pyelography : IVP)
실시방법은 미리 0.1ml의 조영제를 피부 내 또는 정맥내에 투여하여 요드과민증의 유무를 확인한다. 변비중에는 몇 일 전부터 가스흡착제, 정장제, 설사제를 사용해서 장내가스에 의한 판독의 장애를 방지한다. 당일 아침식사는 금식하고 가능한 수분을 섭취하지 않는다.
조영제 20-30ml를 1-2분간 정주, 통상 5, 15, 30분후에 촬영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단층촬영을 추가한다. 신하수가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마지막에 선 자세로 촬영한다.
판독은 정상인 경우는, 좌우신 모두 2-3분후에 신우, 신배가 조영되고 5분후에 요관의 일부가 조영된다. 신기능장애시에는 조영제의 발현이 늦거나 조영제의 농도가 옅어진다. 고도의 장애일 때는 조영을 거의 얻을 수 없다.
신장의 위치, 형태, 크기를 동시에 알 수 있으므로 반흔이나 종양의 존재, 신배나 신우의 형태로부터 그 부분의 반흔, 충만결손, 확장(수신중등), 종양 등에 의한 주위로부터의 압박상을 알아낼 수 있다.
금기 및 주의는 급성신염의 극기나 고도의 신부전예 이외에는 별다른 금기사항이 없다. 특수한 경우로서, 다발성 골수종이나 당뇨병성 신증에서는 급성 신부전을 일으킬 수도 있다.
1) 신속연속 신우촬영 (rapid sequence pyelography : RSP)
조영제를 신속히 정주시킨 후, 5분까지 1분마다 촬영하고 그 후 5, 10. 15분 후에 촬영한다. 신동맥협착 존재의 스크리닝 검사로서 의의가 크다.
2) 점적정주시킨 신우촬영 (drip infusion pyelography : DIP)
수분제한을 하지 않고, 조영제의 점적 정주를 실시해 촬영한다.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지만, 기술이 약간복잡해서 조영제의 사용량이 많아진다.
3. 역행성 신우촬영 (retrograde pyelography: RGP)
방광을 통하여 요관 카테테르를 삽입하고, 카테테르를 통해서 신우를 촬영한다. 환자에게 고통을 주고 감염의 위험이 있지만, 정맥성 신우촬영으로 조영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4. 동맥촬영(arteriography)
신동맥의 주행과 병변의 유무, 신내혈행동태와 혈류분포를 알 수 있다. 신혈관성 고혈압, 신동맥류, 종양, 기형 등의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1) 대동맥 촬영 (aortography)
요추를 통해서 대동맥 촬영(translumbar aortography)과, 대희 동맥을 통해서 대동맥 촬영(transfemoral aortography)이 있다. 전자는 요부로부터 대동맥을 직접 천자하고, 후자는 셀딩거 (Seldinger)법에 의해서 카테테르를 대퇴동맥에 삽입해 조영제를 주입한다.
2) 선택적 신동맥 촬영 (selective renal arteriography)
셀딩거법에 의해서 대퇴동맥으로부터 카테테르의 선단을 신동맥 내에 도입하고, 1측신동맥을 선택적으로 조영한다. 다른 동맥상에 방해되는 일 없이, 신동맥의 말초까지 선명하게 조영되므로 진단적 의의가 크다.
판독은 정상에서는, 조영 제 주입후, 동맥상은 2-3초, 네프로그람상은 4-6초. 정맥상은 6-10초면 얻을 수 있다. 네프로그람은 조영제가 모세혈관으로 이행해서 신우로부터의 배설이 시작되는 시기에 신실질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정맥상은 동맥상보다 및다.
신혈관의 이상, 동맥상 출현의 지연, 이상혈관상, 네프로그람의 좌우차, 음영 결손, 정맥상 조기출현 등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다.
IV. 동위원소 검사
1. 레노그람
그림. 정상 레노그람
원리는 신장에 집중적으로 모여, 높은 비율로 신장에서 배설되는 방사성 표식약을 정주하여, 신장부에 델 검출기에 의해서 방사능을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 기록한 곡선이다.
정상의 레노그람은 3부분(segment)으로 이루어진다. 주사 후 약 20초에 급격히 오르는 A부분(segment A), 이어 약 4분후까지 서서히 상승해서 피크에 달하는 B부분(segment B), 그리고 서서히 하강해서 주사 후 10-15분에 평탄해져서 끝나는 C부분(segment C)이다. A부분은 혈관상이라
고도 하며 동위원소 시약이 신혈관강에 충만해지는 상태, B부분은 분비상이라고도 하며, 신실질과 요로강의 동위 원소 총량(신혈류부분), C부분은 배설상이라고도 하며 요로로부터의 배설상태를 나타낸다.
신장애가 있는 경우는, 피크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지연, C부분의 지연, 평탄화 등의 이상을 볼 수 있다.
환자의 부당이 적고, 좌우 신기능의 차이를 보는데 유용한 검사법이고, 신장 이식후 거부반응을 알아보는데 신속한 검사방법이다.
2. 신티그람
원리는 신실질세포로 둘러쌓인 동위원소 시약을 주입해서 신티카메라로 그 축적을 기입한다.
신장의 위치, 형태, 크기를 알게 해, 축적의 정도로부터 신기능의 추정이 가능하다. 종양등의 공간점유병변(space occupying lesion)이나 신경색에서는 축적의 결손이 있다. 신동핵협착이 있으면 동측 신장이 작아 축적이 작아진다.
V. 기타 검사
초음파 검사가 신종양이나 낭포 등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전산화 단층촬영검사(computed tomography)도 신장의 형태학적 이상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신정맥 혈전이 의심스러울 경우는 신정맥을 촬영해 본다. 기타 자기 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특수검사도 있다.
참고문헌
주요간호중재 및 간호활용/최순희 채민정 외 3명 저/전남대학교출판부/2015
간호관리학 / Wise 저 / 정단미디어 / 2017
보건간호 일반 / 김희영 김보영 저 / 포널스출판사 / 2016
임상간호와 영양 / Stump Suzanne Do 저 / 정담미디어 / 2016
간호와 영양 / 김영경 김희순 외 3명 저 / 현문사 / 2016
간호정보학 / 서문경애 저 / 포널스출판사 / 2015
간호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저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3
간호약리학 / 김연희 전명희 저 / 군자출판사 / 2011
간호과정 / 최순희 저 / 현문사 / 2013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06.05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