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RP
2. CRP 검사
1) 응집법(particle immunoassay)
2) 효소 면역 측정법(enzyme immunoassay, EIA)
3) 방사 면역 측정법
4) 형광 면역 측정법
5)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3. CRP 검사의 임상응용
1) 죽상동맥경화증 및 죽상판 불안정성/염증에서의 CRP
2) 위험도 분류 및 위험성 평가에서의 CRP
3) 동맥 재 경화에서의 CRP
4) 관상동맥질환의 급 성기 때의 CRP
5) 미래의 심장질환 발생 예측에서의 CRP
2. CRP 검사
1) 응집법(particle immunoassay)
2) 효소 면역 측정법(enzyme immunoassay, EIA)
3) 방사 면역 측정법
4) 형광 면역 측정법
5)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3. CRP 검사의 임상응용
1) 죽상동맥경화증 및 죽상판 불안정성/염증에서의 CRP
2) 위험도 분류 및 위험성 평가에서의 CRP
3) 동맥 재 경화에서의 CRP
4) 관상동맥질환의 급 성기 때의 CRP
5) 미래의 심장질환 발생 예측에서의 CRP
본문내용
후, 발산되는 발광의 정도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측정 물질의 농도를 계산한다. 대표적인 발광 물질로는 루미놀(luminol), 이소루미놀(isoluminol), 아크리디늄에스터(acridinium ester) 등이 있다.
(2) 방법
① Competitive binding 법
② Sandwich 법
(3) 화학발광물질의 종류
- luminol
- isoluminol
- acridine ester
(4) 이용분야
- 갑상선 호르몬 : T4, T3, T3-resin uptake, TSH, FT4, FT3
- 생식호르몬 : HCG, prolactin, estradiol, LH, FSH, progesterone
- 빈혈검사 : Vit-B12, folate, ferritin
- 암표지자 검사 : AFP, CEA, PSA
- 약물농도 측정 : digoxin, theophiline
- 기타 : PTH, IgE, cortisol, testerone 등
3. CRP 검사의 임상응용
1) 죽상동맥경화증 및 죽상판 불안정성/염증에서의 CRP
동맥 손상, 염증반응, 관상동맥경화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난 후 hsCRP 측정이 심장질환의 위험평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CRP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중요한 병적인 요소이며 죽상혈전발생과 관련된 여러 반응을 촉진 시킨다.
2) 위험도 분류 및 위험성 평가에서의 CRP
hsCRP 수치는 심장질환의 위험도 분류 및 평가에 도움을 주며 3과 같은 질환에서 중요한 예후 예측인자로 쓰인다.
-위험도 분류: CRP는 안정적인 관상동맥심장질환이나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심장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쓰인다.
-위험성 평가: CRP는 관상동맥심장질환의 중등도 위험군 환자에서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의 필요 여부를 평가하는데 쓰이도록 권유된다.
3) 동맥 재 경화에서의 CRP
CRP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받는 환자에서 조기 합병증뿐만 아니라 시술 후 재 협착 및 사망률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4) 관상동맥질환의 급 성기 때의 CRP
CRP는 심장질환 발생 시 초기에 증가하여 급성반응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안정 협심증, 불안정 협심증 및 급성 심근경색에서 예후를 추정할 수 있다.
5) 미래의 심장질환 발생 예측에서의 CRP
CRP는 심장혈관질환이 없는 성인에서 미래의 혈관질환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포괄적인 예측인자이다.
(2) 방법
① Competitive binding 법
② Sandwich 법
(3) 화학발광물질의 종류
- luminol
- isoluminol
- acridine ester
(4) 이용분야
- 갑상선 호르몬 : T4, T3, T3-resin uptake, TSH, FT4, FT3
- 생식호르몬 : HCG, prolactin, estradiol, LH, FSH, progesterone
- 빈혈검사 : Vit-B12, folate, ferritin
- 암표지자 검사 : AFP, CEA, PSA
- 약물농도 측정 : digoxin, theophiline
- 기타 : PTH, IgE, cortisol, testerone 등
3. CRP 검사의 임상응용
1) 죽상동맥경화증 및 죽상판 불안정성/염증에서의 CRP
동맥 손상, 염증반응, 관상동맥경화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난 후 hsCRP 측정이 심장질환의 위험평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CRP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중요한 병적인 요소이며 죽상혈전발생과 관련된 여러 반응을 촉진 시킨다.
2) 위험도 분류 및 위험성 평가에서의 CRP
hsCRP 수치는 심장질환의 위험도 분류 및 평가에 도움을 주며 3과 같은 질환에서 중요한 예후 예측인자로 쓰인다.
-위험도 분류: CRP는 안정적인 관상동맥심장질환이나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심장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쓰인다.
-위험성 평가: CRP는 관상동맥심장질환의 중등도 위험군 환자에서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의 필요 여부를 평가하는데 쓰이도록 권유된다.
3) 동맥 재 경화에서의 CRP
CRP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받는 환자에서 조기 합병증뿐만 아니라 시술 후 재 협착 및 사망률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4) 관상동맥질환의 급 성기 때의 CRP
CRP는 심장질환 발생 시 초기에 증가하여 급성반응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안정 협심증, 불안정 협심증 및 급성 심근경색에서 예후를 추정할 수 있다.
5) 미래의 심장질환 발생 예측에서의 CRP
CRP는 심장혈관질환이 없는 성인에서 미래의 혈관질환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포괄적인 예측인자이다.
추천자료
CVA(뇌질환 간호 case)
고혈압 환자 간호
심장의 구조 및 기능
뇌경색(ICU)
심근경색과 고혈압에 대한 문헌고찰
심근경색증 MI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 후천성 판막질환과 간호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PPT자료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MI) 케이스 스터디
[간호]CAGB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심방세동(Artrial fibrill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Artrial...
파킨슨 병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Parkinson disease
Stable angina pectoris(안전형협심증 케이스, 안전형협심증 간호과정, 안전형협심증 사례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