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부의 민주노조운동 탄압과 대우어패럴 노조간부 구속
2) 지역연대투쟁 조직의 구성과 동맹파업의 준비
3) 동맹파업과 사회운동세력의 지지연대투쟁
4) 동맹파업 이후 \'구로노동자 연대투쟁연합\' 결성
2) 지역연대투쟁 조직의 구성과 동맹파업의 준비
3) 동맹파업과 사회운동세력의 지지연대투쟁
4) 동맹파업 이후 \'구로노동자 연대투쟁연합\' 결성
본문내용
는 있었지만 해고, 강제사표, 구타, 감금, 휴업의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각 노조의 조합원들은 동맹파업 이후 해고자들을 중심으로 모임을 만들었다. 각 사업장 모임에서는 복직투쟁 및 소식지 발간 등 노조복구를 위한 노력과 내부의 역량강화를 위한 학습을 했다. 그러나 동맹파업 이후 사업장중심의 모임과 활동은 현장노동자들과 다시 결합되지 못하고 지역차원으로 모아져 '구로노동자 연대투쟁연합'을 발족했다.
동맹파업의 결과 구속자가 43명, 불구속 38명, 구류 47명을 비롯하여 총 1,500여명에 이르는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동맹파업 이후 일부 간부 및 열성조합원들이 참여 외에는 일반노동자들의 참여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동맹파업이 투쟁 이후의 조직화대안을 갖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그러나 각 노조의 조합원들은 동맹파업 이후 해고자들을 중심으로 모임을 만들었다. 각 사업장 모임에서는 복직투쟁 및 소식지 발간 등 노조복구를 위한 노력과 내부의 역량강화를 위한 학습을 했다. 그러나 동맹파업 이후 사업장중심의 모임과 활동은 현장노동자들과 다시 결합되지 못하고 지역차원으로 모아져 '구로노동자 연대투쟁연합'을 발족했다.
동맹파업의 결과 구속자가 43명, 불구속 38명, 구류 47명을 비롯하여 총 1,500여명에 이르는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동맹파업 이후 일부 간부 및 열성조합원들이 참여 외에는 일반노동자들의 참여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동맹파업이 투쟁 이후의 조직화대안을 갖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추천자료
국권회복운동(계몽운동, 의병전쟁, 의열투쟁, 순국운동에 대한 이해와 의의) [A+대박자료]
노동조합의 역할과 형태, 자격, 관리등 노동조합에 대한 모든 것
[노동경제]노동조합의 경제분석
[학생운동]광주학생운동에 관하여
공무원 노동조합에 관한 연구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보장과 제한 및 공무원 노조활동의 찬반...
[노동분쟁]노동사건에 관한 손해배상청구 및 가압류의 문제점과 대안
[노동조합] 노동조합의 현황 및 개선방안
청년운동과 학생운동-일제시기를 중심으로-
외국인이주노동자(외국인노동자)에 대한 고찰 및 정책(고용허가제,산업연수생제도) 보고서
[한국사회문제 C형] 홍익대학교 청소 노동자 - 파견노동자들의 노동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방...
[한국근현대사] 1920년대 중후반의 대중투쟁 - 6_10만세운동과 광주학생독립운동
[교섭구조][교섭][교섭방식][산별교섭]교섭구조와 교섭방식, 교섭구조와 산별교섭(산업별 집...
[사회복지법제론] 현대 사회복지가 발전해온 과정에는 노동조합의 활동이 적지 않게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