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6․10만세운동
1) 6․10만세운동의 태동
2) 6․10만세운동의 계획
3) 6․10만세운동의 전개
3) 6․10만세운동의 의의
2. 광주학생독립운동
1)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사회적 배경
2)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발단
3)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
(1) 1차 광주학생독립운동
(2) 2차 광주학생독립운동
4)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국적 확대
5)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의의
1) 6․10만세운동의 태동
2) 6․10만세운동의 계획
3) 6․10만세운동의 전개
3) 6․10만세운동의 의의
2. 광주학생독립운동
1)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사회적 배경
2)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발단
3)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
(1) 1차 광주학생독립운동
(2) 2차 광주학생독립운동
4)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국적 확대
5)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의의
본문내용
의했다는 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이 시위로 각 학교의 독서회원이 대거 검거되어 조직이 와해되었다.
3)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국적 확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운동은 일제의 보도관제 때문에 전국에 그 전말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운동의 소식이 구전으로 차차 전국 각지로 전해지면서 한국 학생들의 식민지체제에 대한 항일민족운동을 확대시켰다. 먼저, 광주와 가까운 전남지역의 목포와 나주에서 일어났다. 그 다음으로 서울에서는 신간회를 비롯한 각종의 사회단체, 학생단체들이 광주학생운동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활동과 계획을 추진하여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신간회는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인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 밖에 경기도, 전라북도, 경상도, 충청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등 전국적으로 항일민족학생운동이 이듬해 3월까지 일어났다.
4) 광주학생운동의 의의
3.1운동 및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 강점기 3대 독립운동이라 불리는 광주학생운동은 1920년대 학생운동뿐 아니라 민족운동을 ‘총결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광주학생운동은 1929년 10월부터 1930년 3월까지 전국의 학교들이 참여했다. 서울에서 당일에 한정되었던 6.10만세운동과 차이가 있다. 또 주도층과 참여층이 거의 학생들이었고 여기에 일부 사회단체, 사상단체 회원들이 관여했다는 점에서 각계각층이 참여했던 3.1운동과 구별된다. 그러나 광주학생운동이 장기간 전국적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데는 1926년 6.10만세운동이후 조직화된 학생들의 비밀결사가 큰 역할을 했으며 또한 1930년 3월 1일을 기해 각지에서 만세시위가 계획되었던 데서 알 수 있듯이 광주학생운동은 3.1운동을 계승한 민족운동이요 항일운동이었으며, 그 구호나 격문에 “조선독립만세”가 자주 나오므로 독립운동이기도 하다. 따라서 3.1운동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으로 이어지는 한국독립운동의 위치할 뿐만 아니라 1920년대에서 1930년대로 넘어가는 시점에 일어난 민족운동 발전의 전환점이자 분수령이었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저, 『한국사49-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탐구당, 2003
장석흥,『한국독립운동의 역사40-610만세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한규무,『한국독립운동의 역사41-광주학생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박천욱, 『(교과서보다 쉬운)독학 국사』, 일빛, 2006
3)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국적 확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운동은 일제의 보도관제 때문에 전국에 그 전말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운동의 소식이 구전으로 차차 전국 각지로 전해지면서 한국 학생들의 식민지체제에 대한 항일민족운동을 확대시켰다. 먼저, 광주와 가까운 전남지역의 목포와 나주에서 일어났다. 그 다음으로 서울에서는 신간회를 비롯한 각종의 사회단체, 학생단체들이 광주학생운동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활동과 계획을 추진하여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신간회는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인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 밖에 경기도, 전라북도, 경상도, 충청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등 전국적으로 항일민족학생운동이 이듬해 3월까지 일어났다.
4) 광주학생운동의 의의
3.1운동 및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 강점기 3대 독립운동이라 불리는 광주학생운동은 1920년대 학생운동뿐 아니라 민족운동을 ‘총결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광주학생운동은 1929년 10월부터 1930년 3월까지 전국의 학교들이 참여했다. 서울에서 당일에 한정되었던 6.10만세운동과 차이가 있다. 또 주도층과 참여층이 거의 학생들이었고 여기에 일부 사회단체, 사상단체 회원들이 관여했다는 점에서 각계각층이 참여했던 3.1운동과 구별된다. 그러나 광주학생운동이 장기간 전국적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데는 1926년 6.10만세운동이후 조직화된 학생들의 비밀결사가 큰 역할을 했으며 또한 1930년 3월 1일을 기해 각지에서 만세시위가 계획되었던 데서 알 수 있듯이 광주학생운동은 3.1운동을 계승한 민족운동이요 항일운동이었으며, 그 구호나 격문에 “조선독립만세”가 자주 나오므로 독립운동이기도 하다. 따라서 3.1운동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으로 이어지는 한국독립운동의 위치할 뿐만 아니라 1920년대에서 1930년대로 넘어가는 시점에 일어난 민족운동 발전의 전환점이자 분수령이었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저, 『한국사49-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탐구당, 2003
장석흥,『한국독립운동의 역사40-610만세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한규무,『한국독립운동의 역사41-광주학생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박천욱, 『(교과서보다 쉬운)독학 국사』, 일빛, 2006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근대사]한국근대사 분석 고찰(개항 이후 민란, 개항 이후 화적, 농민군도소의 조직, 근...
[환경문제][환경오염][환경운동][민간환경단체 환경운동][한국 환경운동]환경문제(환경오염)...
[한국사회]한국사회의 정보화, 한국사회의 인터넷언론, 한국사회의 평화운동, 한국사회의 교...
비영리조직과 시민운동) 과거 시민운동과 시민운동을 둘러싼 환경변화, 한국 시민운동의 전망
한국사회의 시민운동과 낙선운동에 대한 조사분석
한국 체육학회 정의 및 주요활동 정리 (체육학회,체육사학회,체 철학회,경영학회,체육측정평...
[한국민족운동사]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_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한국독립군,한국독립군의 창설과 투...
[한국민족운동사] 식민지 시대 노동운동(식민지시대상황과 노동운동의 전개 및 활동, 식민지 ...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노동운동(노동운동의 배경과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
[한국민족운동사] 1930~1945년대 농민운동 -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의 등장배경과 전개, 성격, ...
[한국민족운동사] 농민운동의 전개 - 1910년대와 1920년대 농민운동의 발전, 농민단체의 출현...
[한국민족운동사] 당 재건운동 (당재건운동의 배경, 초기 당재건운동, 이재유 그룹의 당재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