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운동사]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_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민족운동사]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_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격대의 조직
2. 민생단문제
3.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독립사의 건립
4.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독립사의 건립
5. 미혼진회의와 김일성
6. 보천보 침공 작전
7. 동남부 치안숙정공작과 김일성부대
8. 동북항일연군의 마지막

참고문헌

본문내용

, 창작과비평사, 1992, 224~229쪽.
8. 동북항일연군의 마지막
동북항일연군은 보천보 이후 대탄압 속에서도 제2ㆍ3방면군은 함경북도 무산 진입전투, 안도현 대사하전투, 악명 높던 전전토벌대 120여명을 궤멸시킨 화룡현 홍기하 전투 등을 전개하여 최후까지 적에 큰 손실을 주었다. 하지만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에 대한 일본군경 및 만주국군의 토벌도 강화되어 마침내 1940년 겨울부터 동ㆍ북만을 거쳐 소련으로 이동하였다. 이들은 소련 측의 도움을 받아 남야영과 북야영으로 불리는 거점 조직을 세웠으나, 1942년 7월 동북항일연군 교도려로 편제되었다.
소련으로 들어간 뒤 동북항일연군은 만주에 소부대를 파견하여 정찰활동을 전개하고 철도와 도로를 파괴하는 등 소규모 전투도 간헐적으로 벌였다. 1945년 8월 초 소련의 대일선전포고로 소ㆍ일 전쟁이 발발하자 교도려의 일부 한인들은 작전에 참가했으나, 다수의 한인 대원들은 직접 독립전쟁에 참가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소련군을 따라 귀국하게 되었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한국독립운동사사전』, 1996, 519~520쪽.
참고문헌
염인호 저, 『조선의용군의 독립운동』, 나남출판, 2001.
김창열 저, 『재발굴 한국독립운동사』, 한국일보, 1988.
조영인 저, 『항일 무장 독립투쟁사 2』, 일원, 1999.
조지훈 저, 『한국민족운동사』, 나남출판, 1996.
와다 하루끼 저,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창작과비평사, 1992.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한국독립운동사사전』, 1996.
민족사 바로 찾기 국민회의, 『독립운동총서 4 독립군의 전투』, 민문고, 1995.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6.1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