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북항일연군의 배경
2. 동북항일연군과 조국 광복회의 편성
1) 동북항일연군의 편성
2) 조국광복회의 편성
3. 동북항일연군 제2군의 항일무장투쟁
1) 보천보 점령 전투
2) 간산봉 전투
4. 동북항일연군의 시베리아 이동
5. 의의
참고문헌
2. 동북항일연군과 조국 광복회의 편성
1) 동북항일연군의 편성
2) 조국광복회의 편성
3. 동북항일연군 제2군의 항일무장투쟁
1) 보천보 점령 전투
2) 간산봉 전투
4. 동북항일연군의 시베리아 이동
5.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다. 이 전투 중에서 제1로군 제2방면군의 김일성이 직접 지휘한 소부대의 승리한 대표적 전투는 1940년 3월의 ‘대마록구 전투’였다. 김일성의 제 2방면군은 토벌대에 추격당하는 도중 화룡현 경방대대 마에다 중대 140명을 공격하여 120명을 섬멸한 대전과를 올리었다. 그 후 부대를 소유격대로 나누어 활동하다가 1940년 9월경 소련 하바로프스크 지방으로 월경하였다. 동북항일연군은 하바로프스크에서 소련 적군 산하 ‘제88특별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이 때 88여단에 들어간 동북항일 연군의 총 수는 1944년 9월 8일 현재 1007명, 그 중 중국인이 376명, 나나이 족과 북방계가 356명, 러시아인이 175명 조선인은 100명이었다. 그 중 유격대원은 중국인이 218명, 조선인이 86명이었다. 신용하,『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경인문화사, 2006, 462~ 463
5. 의의
조국광복회운동은 1930년대 중반 이후 국내 민족해방운동이 침체했던 상황에서 민족통일전성 조직의 형태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민족해방운동사 상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조국광복회 운동은 코민테른 제 6차 대회 이래의 이른바 ‘계급 대 계급’ 전술에서 벗어나 ‘반일과 독립’을 최고목표로 하는 반일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하고자 했다. 유격운동 초기 “일제 지주의 토지 몰수”나 “소비에트 건설” 과 같은 좌경적 노서에서 벗어나 민족의 독립을 최고의 목표로 모든 반일역량을 결집하여 민족통일전선을 실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운동 상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조국 광복회운동은 1920년대 말 민족 연합전선을 형성하고자 했던 흐름을 계승한 민족통일전선운동으로서 중일전쟁 이후에는 반전-반일을 주요한 매개로 인민전선운동을 시도하기도 했다.
둘째, 조국 광복회 운동은 1920년대 민족통일전선 운동으로 계승뿐만 아니라 국외 무장도립투쟁을 계승 발전한 것이었다. 즉 일제하 ‘국외 독립기지론’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던 1920년대 무장활동은 1930년대에 들어 사회주의 세력의 주도라는 변화가 있었을 뿐 여전히 민족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민족 해방 운동적 관점은 일관 되었다.
셋째, 조국광복회는 3부 체제나 민족혁명당에 비해 무장활동의 민중적 기반을 강화한 민족통일 전선체로서 인민정권의 담당제 역할도 하고자 했다. 이는 1930년대 중반 이후 사회주의 운동상에서 인민정권 노선의 정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민정권 노선은 서구에서 반 파쇼인민전선운동과 식민지 반식민지에서 반제 민족통일전선운동이 전개되면서 정립된 것이었다. 반제민족통일 전선 노선은 노농동맹에 기초한 소비에트 노선과 달리 조국광복회운동에서 보이듯이 식민지라는 조건 아래 노동자 농민뿐 아니라 반일지주 민족자본가등 모든 반제세력의 연합정권 수립을 지향하는 것이다. 강만길 외 지음,『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259~260 (백동현)
참고문헌
신용하 저,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경인문화사 2006
강만길 외 저,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5. 의의
조국광복회운동은 1930년대 중반 이후 국내 민족해방운동이 침체했던 상황에서 민족통일전성 조직의 형태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민족해방운동사 상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조국광복회 운동은 코민테른 제 6차 대회 이래의 이른바 ‘계급 대 계급’ 전술에서 벗어나 ‘반일과 독립’을 최고목표로 하는 반일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하고자 했다. 유격운동 초기 “일제 지주의 토지 몰수”나 “소비에트 건설” 과 같은 좌경적 노서에서 벗어나 민족의 독립을 최고의 목표로 모든 반일역량을 결집하여 민족통일전선을 실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운동 상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조국 광복회운동은 1920년대 말 민족 연합전선을 형성하고자 했던 흐름을 계승한 민족통일전선운동으로서 중일전쟁 이후에는 반전-반일을 주요한 매개로 인민전선운동을 시도하기도 했다.
둘째, 조국 광복회 운동은 1920년대 민족통일전선 운동으로 계승뿐만 아니라 국외 무장도립투쟁을 계승 발전한 것이었다. 즉 일제하 ‘국외 독립기지론’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던 1920년대 무장활동은 1930년대에 들어 사회주의 세력의 주도라는 변화가 있었을 뿐 여전히 민족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민족 해방 운동적 관점은 일관 되었다.
셋째, 조국광복회는 3부 체제나 민족혁명당에 비해 무장활동의 민중적 기반을 강화한 민족통일 전선체로서 인민정권의 담당제 역할도 하고자 했다. 이는 1930년대 중반 이후 사회주의 운동상에서 인민정권 노선의 정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민정권 노선은 서구에서 반 파쇼인민전선운동과 식민지 반식민지에서 반제 민족통일전선운동이 전개되면서 정립된 것이었다. 반제민족통일 전선 노선은 노농동맹에 기초한 소비에트 노선과 달리 조국광복회운동에서 보이듯이 식민지라는 조건 아래 노동자 농민뿐 아니라 반일지주 민족자본가등 모든 반제세력의 연합정권 수립을 지향하는 것이다. 강만길 외 지음,『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259~260 (백동현)
참고문헌
신용하 저,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경인문화사 2006
강만길 외 저,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추천자료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의 대표적인 인물(김일성, 양세봉, 지청천)
한국민족운동사_1930년대 이후의 시대적 배경과 항일무장투쟁의 의의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운동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만주지역의 항일유격...
한국민족운동사_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의 특징과 의의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조선혁명군, 조선 혁명군의 창립과 ...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조선의용대와 조선의용군, 조선 의용...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한국독립군,한국독립군의 창설과 투...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의 창립과 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