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일성의 역할 ②발기인 - 이동광 오성륜 엄수명
③회장 - ? ④조직범위 - 만주 국내 ⑤전시체제, 보천보 전투와 김일성
⑥의미
6. 소련으로 월경
①당시 상황 : 1937-1만여 명, 1940.4 - 1500여명 철저한 고립 분산
②김일성부대의 현황 : 200여명 그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격대의 조직
2. 민생단문제
3.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독립사의 건립
4.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독립사의 건립
5. 미혼진회의와 김일성
6. 보천보 침공 작전
7. 동남부 치안숙정공작과 김일성부대
8. 동북항일연군의 마지막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은 소련 령 내의 오케얀스카야 야영학교에 있었고 당시 미국의 만주 폭격을 예상하여 사보타지 활동을 조직하고자 모스크바를 두 번 방문하였다고 한다, 당시 김일성은 하바로브스크 근처에서 활동하고 있었다고 한다.
김일성은 1941년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일성의 항일유격대 계열과 권력을 분점 했던 남로 계, 소련 계, 연안 계 등이 숙청된 이후, 권력의 중심에는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출신의 김일성부대원들이 독점하게 되었다. 따라서 북한의 항일독립운동사는 김일성중심의 만주항일유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일성부대’ 등에 대해 많은 환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졸업 후 만주 등지에 무장투쟁을 하겠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변은진, 앞의 책, p. 503 참조.
또한 중일전쟁 말기 들어 총포, 화약류의 절취사고가 많이 발생한 점도 이를 뒷받침 한다.
1940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