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강독 -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유격대국가의 변화 가능성 유격대국가의 성격과 내용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강독 -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유격대국가의 변화 가능성 유격대국가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기는 어느 때보다 김일성 개인숭배가 자체되고 또 외형적으로 유일지도자적 이미지보다는 지도부 전체의 이미지가 강하게 비쳐졌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표피적인 현상일 뿐 내용과는 다른 것이다.
라. 유격대국가의 변화 가능성
유격대국가론은 이 체제의 변화조건과 가능성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만 그 변화가 정말 가능한지에 대한 유격대국가의 내적 논리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한 답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체제논리의 가공 폐기나 유격대국가의 변화문제가 체제와 그 논리의 수용자인 사회와의 관계가 면밀히 고려되지 않은 채 논의되는 느낌을 받는다. 지배권력의 도구로 채용된 체제논리들이 일련의 사회의식화 과정을 거쳐서 사회적 담화로 공고화 될 경우 이 논리의 변화나 붕괴는 곧 그 논리의 담지자인 체제 혹은 지배권력의 변화나 붕괴를 초래하기 마련이다.
유격대국가의 최대 변화계기를 조·일 화해로 보는 저자의 견해는 국가형성의 원인으로서의 피포위의식과 항일혁명전통의 신화화를 보는 입장에서는 논리적으로 당연하며 또 혜안이지만 그것의 일방적 강조는 자칫 너무 외인론적 사고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긴박한 국제환경이 부대의식의 일상화를 통해서 동원사회체제를 만들어 냈으며 항일혁명전통의 신화화가 개인숭배로 전환되어 체제존재 조건이 되어있는 현재의 유격대국가 상황에서 이 체제의 변화를 발생론적 원인의 변화만 가지고 논의하기 어렵다.
Ⅳ. 결 론
유격대국가란 김일성의 만주항일유격대 정신에 기초해 인민들에게 유격대식 학습과 훈련, 정신무장을 요구하는 국가라는 것이다. 물론 그 중심에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이론이 상당한 설득력을 가진 이유는 북한에서 60-70년대에 행해진 사상교육과 주체사상의 영향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즉 김일성의 항일유격대 계열과 권력을 분점 했던 남로 계, 소련 계, 연안 계 등이 숙청된 이후, 권력의 중심에는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출신의 김일성부대원들이 독점하게 되었다. 따라서 북한의 항일독립운동사는 김일성중심의 만주항일유격대의 전유물이 돼 버렸고, 항일운동사에서도 타계파의 공헌은 삭제되어야 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이 갖는 중요한 의미는 부제가 말해주고 있듯이 현재의 북한체제를 정규군국가로 개념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1980년대 중반 유격대국가론을 통하여 학계의 논쟁을 촉발했던 저자는 김정일의 북한에서 정규군 국가로의 변화를 감지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개념은 여러 가지 다듬어질 필요가 있으며,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예를 들면 정규군 국가로의 변화가 어떠한 수준의 변화를 말하는 것인지, 그러한 변화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는 왜 나타나게 되었는지 하는 물음에 대한 보다 정교한 답을 내어 놓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참고문헌〉
※ 와다 하루키,『북조선 :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론』, 출판사 돌베개 2002. 2
※ 이종석, 『유격대국가론의 성과와 한계』, 한국과 국제정치 20호 1994. 12
※ 이성봉,『북한연구의 새로운 논쟁 촉매제』통일한국 2007. 7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