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요 내용 요약
Ⅱ. 중요한 포인트
Ⅲ.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의문점
Ⅳ. 평가(성과와 한계)
Ⅴ. 문제제기
Ⅱ. 중요한 포인트
Ⅲ.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의문점
Ⅳ. 평가(성과와 한계)
Ⅴ. 문제제기
본문내용
극장국가 체제로 유지되고 있음. 정규군국가에서는 혁명적 군인정신, 총폭탄정신, 자폭정신 등의 고취. (유격대국가에서는 속도전, 전격적, 섬멸전 사용)
Ⅲ.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의문점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 더 이상 유격대국가론이 적용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를 와다는 김정일 체제의 구조에서 찾고 있다. 김일성이 생전 강조했던 것과는 다른 구호를 내걸고 군대의 역할을 재정의하는 방식이다. 김일성의 만주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한 유격대를 중심으로 한 국가 이데올로기가 김정일 시대 들어 인민군을 중심으로 한 정규군국가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점은 상당히 독창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유격대국가론에서 왜 김정일은 정규군국가 체제로 가는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부분은 아쉽게도 설명이 충분치않다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김정일이 김일성 사후 직면한 국제적 환경과 경제적인 어려움 등이 발생한 과정을 설명했지만 아버지대의 유격대를 이어받지 않고 정규군에 방점을 찍게 된 연유에 대해 충분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생각해보면 와다가 주장한 정규군국가는 어쩌면 김일성 시대의 유격대국가론에서 성격만 살짝 변화된 것에 다름아닌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즉, 결과적으로는 김일성이나 김정일 모두 군을 강화했다는 점에 있어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북한이 김정일 정권 들어 정규군국가로 전환했지만 당국가 체제에 있어 이전 체제와 큰 틀에서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볼 때 와다의 이 같은 고찰이 북한 사회를 바라봄에 있어서 어느 정도 새로운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서는 되짚어 볼 일이라 생각한다.
Ⅳ. 평가(성과와 한계)
-시민운동가이기도 한 와다의 저작은 책의 전 챕터를 사실과 의견을 적절히 조합해 20년에 가까운 북한사를 간명하게 설명해 냈다는 점에서 훌륭한 논문이라고 생각한다. 북한과 일본 부분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차피 과거이지만 역사의 한 면에 대해 일본인으로서 못내 아쉬움을 드러내는 모습도 읽을 수 있었다. 일본인으로서는 상당히 접근하기 민감한 ‘일본인처’, ‘메구미 사건’ 등을 서술함에 있어서도 담담하게 풀이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북한 연구서이자 통사’라는 칭송을 북한학을 공부하는 학자들로부터 받고있는 와다의 연구는 분명 방대한 역사를 꿰뚫어보는 통찰력과 핵심을 건드리는 능력, 함축적인 문장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 등에 있어 북한학에 오래도록 남을 역작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북한 역사책 한 권 읽는 것만큼의 내용을 습득하면서도 한장한장 읽기에 조심스러웠던 부분도 많았다.
Ⅴ. 문제제기
-와다가 마지막 보론을 통해 ‘김정일 체제가 정규군국가에서 혹시 좀 더 변화해 간다고 하면 그것은 정규국가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 부분을 읽으며 북한의 내적인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는 학자도 결국에는 북한의 최종 종착지를 정규국가로 전망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나아가 김정을 체제는 정규군국가에서 어떠한 체제로 변모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Ⅲ.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의문점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 더 이상 유격대국가론이 적용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를 와다는 김정일 체제의 구조에서 찾고 있다. 김일성이 생전 강조했던 것과는 다른 구호를 내걸고 군대의 역할을 재정의하는 방식이다. 김일성의 만주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한 유격대를 중심으로 한 국가 이데올로기가 김정일 시대 들어 인민군을 중심으로 한 정규군국가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점은 상당히 독창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유격대국가론에서 왜 김정일은 정규군국가 체제로 가는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부분은 아쉽게도 설명이 충분치않다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김정일이 김일성 사후 직면한 국제적 환경과 경제적인 어려움 등이 발생한 과정을 설명했지만 아버지대의 유격대를 이어받지 않고 정규군에 방점을 찍게 된 연유에 대해 충분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생각해보면 와다가 주장한 정규군국가는 어쩌면 김일성 시대의 유격대국가론에서 성격만 살짝 변화된 것에 다름아닌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즉, 결과적으로는 김일성이나 김정일 모두 군을 강화했다는 점에 있어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북한이 김정일 정권 들어 정규군국가로 전환했지만 당국가 체제에 있어 이전 체제와 큰 틀에서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볼 때 와다의 이 같은 고찰이 북한 사회를 바라봄에 있어서 어느 정도 새로운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서는 되짚어 볼 일이라 생각한다.
Ⅳ. 평가(성과와 한계)
-시민운동가이기도 한 와다의 저작은 책의 전 챕터를 사실과 의견을 적절히 조합해 20년에 가까운 북한사를 간명하게 설명해 냈다는 점에서 훌륭한 논문이라고 생각한다. 북한과 일본 부분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차피 과거이지만 역사의 한 면에 대해 일본인으로서 못내 아쉬움을 드러내는 모습도 읽을 수 있었다. 일본인으로서는 상당히 접근하기 민감한 ‘일본인처’, ‘메구미 사건’ 등을 서술함에 있어서도 담담하게 풀이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북한 연구서이자 통사’라는 칭송을 북한학을 공부하는 학자들로부터 받고있는 와다의 연구는 분명 방대한 역사를 꿰뚫어보는 통찰력과 핵심을 건드리는 능력, 함축적인 문장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 등에 있어 북한학에 오래도록 남을 역작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북한 역사책 한 권 읽는 것만큼의 내용을 습득하면서도 한장한장 읽기에 조심스러웠던 부분도 많았다.
Ⅴ. 문제제기
-와다가 마지막 보론을 통해 ‘김정일 체제가 정규군국가에서 혹시 좀 더 변화해 간다고 하면 그것은 정규국가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 부분을 읽으며 북한의 내적인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는 학자도 결국에는 북한의 최종 종착지를 정규국가로 전망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나아가 김정을 체제는 정규군국가에서 어떠한 체제로 변모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추천자료
김일성에 대한 논란
[북한 연구] - 북조선(유격 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 유격대 국가론
[북한 연구] - 북조선(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
[북한 연구] - 와다 하루키 - 북조선-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
북조선 -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강독 -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유격대...
와다하루키의 북조선 -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 - 유격대 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북한연구 주요 저작 강독 - 북조선 탄생(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 반식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