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연구] - 북조선(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탄생 조선전쟁 사회주의체제와 유격대국가의 성립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연구] - 북조선(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탄생 조선전쟁 사회주의체제와 유격대국가의 성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강독한 저작의 주요내용 및 논지 요약
1. 북조선을 어떻게 해독할 것인가?
2.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탄생
4. 조선전쟁
5. 사회주의체제와 유격대국가의 성립
6. 북조선의 정치문화
7. 북조선의 국제관계
8. 북조선의 군사력
9. 북조선의 경제
10. 김일성의 사망과 김정일의 복상
11. 북조선의 미래

□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및 그 이유
1. 유격대국가에 대한 정의 및 설명

□ 강독내용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이해되지 않는 내용, 의문점 등
1. 새롭게 알게 된 사실
2. 이해되지 않는 내용
3. 의문점

□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본인의 평가 : 예컨대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자료, 분석의 시각 및 해석 등 해당 저작의 성과와 한계

□ 새로운 문제 제기 : 해당 저자작의 강독을 통해 관련 연구를 심화,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연구 주제나 영역 등
1. 주체농업 실패에 대한 원인 분석

본문내용

조 사업의 실패, 화학비료 부족, 주체농업의 잘못된 실천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이해가 되지는 않고 있다. 왜냐하면 해당 연구가 당시의 북조선 농업의 실태를 현상적으로만 파악할 뿐 그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한 분석이 없었기 때문이다. 일례로 화학비료가 부족하면 농업이 실패하는가? 그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유기농 재배로 충분히 농업생산력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체농법이 가지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적하는 노력이 글에서 나타나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점에서 왜 필자가 북조선 농업의 실패를 당시의 정치나 사상적인 측면에서 찾지 않고 단순히 생산요소에서만 찾았는지 그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3. 의문점
북조선의 군사력 부분을 설명할 때 북조선의 여러 비대칭 무기에 대한 설명이 빠져 있다는 점이 의문이다. 즉, 생화학 무기나 핵무기 등과 같은 무기체계는 북조선의 군사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가장 관심있게 봐야 할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언급을 하지 않고 넘어갔다. 아마도 이 부분은 필자가 인용한 영국의 국제전략연구소의 『밀리터리 밸런스』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하지만 북조선의 군사력 부분에서 상기의 비대칭전력은 반드시 파악해야 할 요소이며, 가장 중점적으로 봐야할 부분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본인의 평가 : 예컨대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자료, 분석의 시각 및 해석 등 해당 저작의 성과와 한계
해방 이후부터 최근 북조선의 식량위기까지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북조선 사회를 조망한 것은 필자의 방대한 지식이 있지 않으면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연구라는 점에서 이 글이 가지는 의미를 높이 평가하고 싶다. 특히 필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얻은 자료를 토대로 언급된 다양한 자료는 필자의 연구에 대한 엄청난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는 북조선을 ‘유격대국가’라는 모델은 외부요인을 통해 만들어진 모델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북조선의 태생과 여러 정치적 모습들을 보았을 때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연구업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지나치게 북조선과 일본과의 관계에서 역사적 의의를 부여하고 당시 북조선의 국제관계를 일본의 관점에서 바라본 점이 이 글의 한계라고 생각한다.
□ 새로운 문제 제기 : 해당 저자작의 강독을 통해 관련 연구를 심화,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연구 주제나 영역 등
1. 주체농업 실패에 대한 원인 분석
상기에서 언급한 바 있는 북조선의 주체농업 실패에 대한 연구를 단순히 1차원적인 원인 연구가 아닌 북조선에서 주체농업이 가지는 정치사회적 의미 등을 연계하여 그 실패 원인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분명 주체농업이 일정부분은 효과를 나타낸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그 시기와 최근의 농업생산량이 급감한 시기와의 비교분석을 통한다면 주체농업이 단순히 기후, 농업요소가 아닌 제3의 이유로 인하여 실패했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가 나타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주체농업이 가지는 힘, 즉 권위로 인하여 농지의 특성이 분명히 다른데도 불구하고 한 가지의 주체농법만을 획일적으로 적용했기 때문에 농업 생산량이 떨어졌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평야지대에서나 적용이 가능한 주체농법을 산간지대에서도 똑같이 적용하는 그 실태 때문에 북조선의 농업이 실패했다고 보는 것이다. 이는 주체농업 및 농법에 대해서 신성한 권위를 부여했기 때문에 아무도 그 방법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지도 감히 수정하여 실제 농사에 적용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조선의 주체농업 실패를 연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2.0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5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