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비임균성요도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서론
ⅰ. 사례:「너 왜그래?」
ⅱ. 점점 증가하는 병〈비임균성 요도염〉

◈◈ 본론
ⅰ. 비임균성 요도염의 정의
ⅱ. 발병 원인
ⅲ. 증상
1) 남성의 경우
2) 여성의 경우
3) 요도 이외의 감염
ⅳ. 합병증
1) 남성의 경우
2) 여성의 경우
ⅴ. 진단&검사
ⅵ. 치료
ⅶ. 예방
1) 콘돔의 사용
2) 성병 예방약의 사용
3) 세정
4) 항생물질의 사용

◈◈◈ 결론

본문내용

profloxacin
Roxithromycin Itraconazole
또한 치료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술은 신체의 면역력을 악화 시키기 때문에 치료가 종결될 때까지 삼가는것 이 좋음
치료는 본인 뿐 아니라 성 상대까지 같이 해야 하며, 성상대자가 여러 명 인 경우 꼭 의사에게 알려 모든 상대자가 검사 및 치료를 받을 수있게 해 야한다.
본인과 성상대자의 치료가 종결될 때까지 삽입 성교를 포함한 모든 성접촉 은 삼가야 한다.
처방 된 약은 증상이 좋아 지더라도 끝까지 복용해야 하며 치료의 종결은 정확한 진단 하에 이루어 져야 한다.
증상이 있던 경우 치료 뒤 3~5일 내에 증상은 바로 좋아지는것이 일반적 이나 치료 중 증상이 쉽게 좋아지지 않는 경우는 내성을 갖고 있는 균에 의한 감염이나 다른 균에 의한 동반 감염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꼭 담 당 의사에게 알려 적절한 대책을 세우도록 해야한다.
ⅶ. 예방
모든 질병과 마찬가지로 비임균성 요도염도 발병 하기 전에 예방 하는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 과 같이 성교시의 어떻게 대처하느냐 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1) 콘돔의 사용
현재 까지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으로 콘돔이 올바르게 이용 되면 거 의 완전히 성병에 걸린는 것을 막을수 있다고 볼수있다. 콘돔은 삽입 성 교때 뿐만 아니라 구강 성교나 다른 접촉 방법 시에도 항상 착용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한다.
2) 성병 예방약의 사용
이것은 행위 전후에 국부에 발라서 병원체를 죽이는 것을 목적으로 주 로 크림상으로 되어있는 것이 많다. 이전 해군에서 조사된 것을 보면 하 사관 병들에게 배급해서 이것을 사용한 사람 49%, 사용하지 않고 성행 위를 한사람 44%, 그 각각의 성병에 걸린 비율은 1.5%와 6.4% 였다고 한다. 이는 이약의 이용이 상당히 효과가 있음을 알수있다.
3) 세정
관계가 끝난 후 곧 국부를 충분히 씻어서 깨끗이 하는 것도 예방상 상당 한 도움이 된다. 가능하면 세정전문 액을 사용하면 효과를 한층 높일수 있으며, 그 주위를 충분히 넓게(배꼽 밑에서부터 넓적다리 안쪽까지) 씻 어주어야 한다. 또한 관계 후 곧 소변을 보는 것도 일종의 요도 세정으로 임병 등에 걸리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4) 항생 물질의 사용
항생물질의 약은 관계 직전이나 직후에 이용하면 발병을 막을 수 있지만 나중에 이용할 경우는 수 시간 이내가 아니면 효과가 불확실해지는 단점 이 있다.
◈◈◈ 결론
본문에서 알아본 비임균성 요도염을 포함하여 ‘성병’이라 하면 ‘남녀 간 또는 동성애를 포함하여 성행위에 의해 전염하는 병’ 이라 정의된다. 하지만 뭐가 어찌 되었든 성병이나 생식기 쪽 에 병이 생기면 몸을 파는 여성으로부터 옮는 불결한 병, 또는 난잡한 성관계에 의한 병 이라 고만 생각하는 인식이 잡혀있기 때문에 치료는 둘째 치고 아예 병원을 찾아가지 못하는 환자들도 있어 더 심각한 2차 합병증을 일으켜 더 병을 키운 뒤에나 뒤늦게 병원을 찾는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다.
이는 무지와 뒤틀린 성(性)의식 으로부터 나온 폐해라고 볼수있다. 따라서 비임균성 요도염 뿐만아니라 성병에 대한 예방, 치료 대책을 개인적 으로 뿐만 아니라 보다 제도적, 체계적으로 세우고 부부 이외의 다른 누구도 관계를 갖지 못하도록 하는 이상론 적인 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상 어떻게 해서든 조금이라도 그 수를 줄이도록 하는 대책을 생각해야 한다는 결론이 된다.
그러기 위한 여러 제도적 개선 방법 으로는 첫째 성교육과 성병 지식의 올바른 보급이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학교나 각종 교육기관 에서의 실질 적이고 현실적인 지식 전파는 물론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신문,잡지,티비 등의 매스컴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좀더 효과적으로 전달할수 있을 것이라 본다. 물론 이것에는 표현이나 시각의 점 등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혐오스러운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는것이 좋을것이다.
둘째 정기적인 건강 진단으로 인한 성병 예방 으로 좀더 현실 적으로 접근하여 성인 이외 학생들에게도 정기적 진단을 할수 있도록 해서 성병에 걸린 사람은 철저하게 치료 하는것도 유효한 방법이라 할수있다. 그러기 위해선 많은 관심과 제도적인 변화가 이루어 저야 하겠지만, 이는 단지 병을 발견하고 치료한다고 하는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성병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주기적 검사가 있게되면 스스로도 걸리지 않도록 노력 하고 설사 다시 걸린다 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빨리 완치하려 노력할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효과가 있을수 있을 것이라본다.
셋째 성병 예방에 필요한 사회적 시설 구축 이다. 이는 위에 제시한 두가지 의견이 현실적으로 이루어 졌을 때 좀더 많은 효과를 볼수있는 방법으로 성병을 치료하고 환자의 여러 가지 상담에 응해 성병 예방 박멸의 중심이 되기위한 시설을 우리가 자연스럽게 접하기 쉬운 위치에 적당히 배치해 두는 것을 말한다.
이 3가지 의견을 모두 포함 한다 할수 있는 것은 넷째 성병 예방에 대한 정부의 실질적인 방침 이라 할수있다. 정부 에서는 현재 마련되어 있는 성병 예방을 위한 법과 함께 좀더 효율적인 예방을 위해 여러 복지 시설 및 제도 마련에 필요한 투자에 좀더 신경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사회적 조건도 물론 중요하지만 모두 좀더 현실적으로 본다면 간접적 효과라고 볼수있다. 결국 성병 예방에 직접 도움이 되는 것은 각 개인이 어떤 주의를 지키고 어떤 의식으로 바라보고 생각하는데 있다고 할수 있다 본다.
▶ 출처
병리학 (현문사)
의학용어 (현문사)
성병 예방과 치료법 (현대 건강 연구회)
인터넷 환경일보http://www.hkbs.co.kr/default.asp
건강샘 http://www.healthkorea.net/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
성병정보센터http://www.stdcare.net/std4.htm
강한남자 멘파워 비뇨기과 http://blog.daum.net/nosea007
건강이야기 http://blog.daum.net/e-vven/17116453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