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성병 에이즈(AIDS)
Ⅱ. 성병 매독
1. 키스만으로도 전염
2. 사람에 따라 다른 매독 증상
Ⅲ. 성병 비임균성요도염
Ⅳ. 성병 연성하감
1. 증상
2. 치료
Ⅴ. 성병 캔디다질염
1. 염증성 질염
2. 위축성 질염
Ⅵ. 성병 임질
1. 증상
2. 치료
Ⅶ. 성병 간염
1. A형 간염
2. B형 간염
3. C형 간염
4. D형 간염
Ⅷ. 성병 첨규콘딜롬(곤지름)
1. 감염 및 전파경로
2. 증상
3. 진단 및 치료
4. 관리 및 예방
참고문헌
Ⅱ. 성병 매독
1. 키스만으로도 전염
2. 사람에 따라 다른 매독 증상
Ⅲ. 성병 비임균성요도염
Ⅳ. 성병 연성하감
1. 증상
2. 치료
Ⅴ. 성병 캔디다질염
1. 염증성 질염
2. 위축성 질염
Ⅵ. 성병 임질
1. 증상
2. 치료
Ⅶ. 성병 간염
1. A형 간염
2. B형 간염
3. C형 간염
4. D형 간염
Ⅷ. 성병 첨규콘딜롬(곤지름)
1. 감염 및 전파경로
2. 증상
3. 진단 및 치료
4. 관리 및 예방
참고문헌
본문내용
염은 어떤 사람에서는 매우 중한 병으로 진행하지만 다른 사람에서는 그렇지 않다. C형 간염에 걸린 거의 대부분의 사람은 일생동안 바이러스를 지니고 살아야 한다. 많은 환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간이 손상을 받는다. 그러나 대부분 증상은 없다.
급성 간염과 만성 간염의 증상은 서로 다르며, 급성간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① 대개 아무런 증상이 없다.
② 어떤 사람은 황달(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것)이 생긴다.
③ 어떤 사람은 경한 독감증상을 느끼기도 한다.
만성 간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사람은 정도 차이는 있지만 간의 손상을 받는다. 피로, 복통, 식욕감퇴, 간헐적인 오심(메슥거림),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어떤 경우는 간경화(간에 흉터가 생겨서 딱딱해 지는 것)로 진행하여 간이식이 필요한 상태까지 악화될 수도 있다.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은 서로 다르다.
급성간염은 저절로 치유되는 질환이다. C형간염으로 입원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는 아무런 증상이 없거나 감기와 같은 증상이 있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고 음식이나 활동을 제한할 필요도 없다.
만성C형간염에 감염되고 간 기능이 손상된 사람에 대한 치료는 다음과 같으며,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임상연구에 참여 할 수도 있다.
① 인터페론 주사
② 인터페론과 Ribavarin의 병용요법
4. D형 간염
D형 간염은 B형간염 환자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이며, 그리 흔한 질환은 아니다.
B형과 D형 간염이 같이 감염된 사람은 급작스럽고 매우 심한 증상이 나타나서 심하면 사망을 할 수 있다.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여 중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도 높고 평생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위험도 높아진다.
급성간염은 대개 저절로 낫게 되며, 효과적인 치료방법도 없고 음식이나 활동을 제한할 필요도 없지만 아주 증상이 심하여 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입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Ⅷ. 성병 첨규콘딜롬(곤지름)
Human papillomavirus에 의해 성기주위에 사마귀를 형성하는 질환이다. 성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접촉 후 3개월 이내에 내-외음부, 회음부, 항문 주위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융기가 나타난다. 향후 자궁경부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에서는 성병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고 한다.
1. 감염 및 전파경로
Papovavirus군의 human papillomavirus(HPV)이다. 바이러스형에 따라 특정한 병변과 관련되어 있다. 병원소는 인간으로, 성행위로 감염된다. 잠복기는 대개 2~3개월이지만, 1~20개월까지도 가능하다. 불분명하지만 눈에 보이는 병변이 있는 동안으로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 활동이 활발한 젊은 성인에서 흔히 나타난다. HIV 감염자에서는 감염률이 높고 감염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에이즈 환자에서 자궁경부암이 많은 이유와 관련된다. 소아에서 관찰되면 성적학대를 의심하여야 한다.
2. 증상
각화하여 융기한 첨형 콘딜롬이 외음부의 습윤부에 생긴다. l mm 이하~수 cm의 크기까지 다양하다. 여성에서는 자궁경부에 편평 콘딜롬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종 종양을 합병한다. 또, 유두상으로 첨형 콘딜롬이 외음부에 생긴다. 3/4 정도는 무증상으로 나타나지만, 가려움, 열감, 통증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면역억제 환자에서는 병변이 거대화되기 쉽다.
3. 진단 및 치료
임상적 진단만으로도 충분하다. 감별진단이 필요한 때는 조직학적으로 확진한다. 회음부 병변은 3~5%의 초산액을 도포하면 두드러지게 된다.
5% 5-FU 크림도포나 액체질소 처리, 탄산가스 레이저, Interferon 등이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조기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이 좋다.
4. 관리 및 예방
병변부위와의 직접접촉을 피한다. 콘돔의 사용이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며, 심할 때는 신생아의 감염 예방을 위해 제왕절개도 고려된다.
참고문헌
남산스님(2000), 남산스님의 숨겨진 민간요법과 놀라운 치료법, 아카데미북
대한에이즈예방협회(1996), 에이즈(AIDS)예방-무엇이 문제인가?
마티클로이젠, 유태우 역(2007), 내 몸 사용설명서, 김영사
안성목(1996), 두산 세계대 백과 사전 28, 서울 : 동아 출판사
추영국 외 9인 공저(2000), 신경향 성의 과학, 아카데미서적
Mossuz-Lavau·Janine(2003), 현대인의 성생활 : 21세기판 킨제이 보고서, 이마고
급성 간염과 만성 간염의 증상은 서로 다르며, 급성간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① 대개 아무런 증상이 없다.
② 어떤 사람은 황달(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것)이 생긴다.
③ 어떤 사람은 경한 독감증상을 느끼기도 한다.
만성 간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사람은 정도 차이는 있지만 간의 손상을 받는다. 피로, 복통, 식욕감퇴, 간헐적인 오심(메슥거림),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어떤 경우는 간경화(간에 흉터가 생겨서 딱딱해 지는 것)로 진행하여 간이식이 필요한 상태까지 악화될 수도 있다.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은 서로 다르다.
급성간염은 저절로 치유되는 질환이다. C형간염으로 입원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는 아무런 증상이 없거나 감기와 같은 증상이 있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고 음식이나 활동을 제한할 필요도 없다.
만성C형간염에 감염되고 간 기능이 손상된 사람에 대한 치료는 다음과 같으며,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임상연구에 참여 할 수도 있다.
① 인터페론 주사
② 인터페론과 Ribavarin의 병용요법
4. D형 간염
D형 간염은 B형간염 환자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이며, 그리 흔한 질환은 아니다.
B형과 D형 간염이 같이 감염된 사람은 급작스럽고 매우 심한 증상이 나타나서 심하면 사망을 할 수 있다.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여 중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도 높고 평생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위험도 높아진다.
급성간염은 대개 저절로 낫게 되며, 효과적인 치료방법도 없고 음식이나 활동을 제한할 필요도 없지만 아주 증상이 심하여 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입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Ⅷ. 성병 첨규콘딜롬(곤지름)
Human papillomavirus에 의해 성기주위에 사마귀를 형성하는 질환이다. 성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접촉 후 3개월 이내에 내-외음부, 회음부, 항문 주위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융기가 나타난다. 향후 자궁경부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에서는 성병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고 한다.
1. 감염 및 전파경로
Papovavirus군의 human papillomavirus(HPV)이다. 바이러스형에 따라 특정한 병변과 관련되어 있다. 병원소는 인간으로, 성행위로 감염된다. 잠복기는 대개 2~3개월이지만, 1~20개월까지도 가능하다. 불분명하지만 눈에 보이는 병변이 있는 동안으로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 활동이 활발한 젊은 성인에서 흔히 나타난다. HIV 감염자에서는 감염률이 높고 감염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에이즈 환자에서 자궁경부암이 많은 이유와 관련된다. 소아에서 관찰되면 성적학대를 의심하여야 한다.
2. 증상
각화하여 융기한 첨형 콘딜롬이 외음부의 습윤부에 생긴다. l mm 이하~수 cm의 크기까지 다양하다. 여성에서는 자궁경부에 편평 콘딜롬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종 종양을 합병한다. 또, 유두상으로 첨형 콘딜롬이 외음부에 생긴다. 3/4 정도는 무증상으로 나타나지만, 가려움, 열감, 통증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면역억제 환자에서는 병변이 거대화되기 쉽다.
3. 진단 및 치료
임상적 진단만으로도 충분하다. 감별진단이 필요한 때는 조직학적으로 확진한다. 회음부 병변은 3~5%의 초산액을 도포하면 두드러지게 된다.
5% 5-FU 크림도포나 액체질소 처리, 탄산가스 레이저, Interferon 등이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조기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이 좋다.
4. 관리 및 예방
병변부위와의 직접접촉을 피한다. 콘돔의 사용이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며, 심할 때는 신생아의 감염 예방을 위해 제왕절개도 고려된다.
참고문헌
남산스님(2000), 남산스님의 숨겨진 민간요법과 놀라운 치료법, 아카데미북
대한에이즈예방협회(1996), 에이즈(AIDS)예방-무엇이 문제인가?
마티클로이젠, 유태우 역(2007), 내 몸 사용설명서, 김영사
안성목(1996), 두산 세계대 백과 사전 28, 서울 : 동아 출판사
추영국 외 9인 공저(2000), 신경향 성의 과학, 아카데미서적
Mossuz-Lavau·Janine(2003), 현대인의 성생활 : 21세기판 킨제이 보고서, 이마고
추천자료
미생물에 대한 5가지 면역반응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면역반응의 특성과 항원처리과정 및 과민반응
수동면역 (受動免疫, passive immunization)
세포면역기능 검사법
후천성 혈전성향과 항혈전 치료제
성병에 대한 이해와 분석
염증성 심장질환과 후천성 심장판막질환
선천성 면역, 후천성면역,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면역이야기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인체 면역 시스템과 스포츠 관련성 감염.pdf
[병리학]유전 질환과 면역체계 -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질환 및 유전자의 이상에 의한 질환, ...
[의학] 후천성면역결핍증 에이즈(AID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