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팔구의 보부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저산팔구(苧産八區)의 보부상

충청남도 저산팔구 상무사우사(商務社右社)

결론 및 소감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및 소감
'사농공상(士農工商)'. 같은 백성일지라도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가장 천시받는 것이 조선시대였다. 참고로 했던 책의 구절을 빌리면 '살아서 이익 없고 죽어도 손해 없는 자'가 되는 것이 보부상이라 한다. 상업을 천시하는 풍조가 조선 후기로 갈수록 천천히 해소되고, 보부상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 배경에는 그들의 조직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한 조직 중의 하나가 이번에 조사하면서 알게 된 충청남도 저산팔구 상무좌우사였다. 너무나도 익숙한 지명인 부여가 한 때 활발했던 모시 생산과 유통의 중심지였다는 사실이 재미있었다. 보부상이 조선 말기에 들어와 그 활동이 두드러졌기 때문에 보부상 자체에 대한 옛 문헌이 많지 않았고, 또 저산8읍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아 힘들었다. 보부상에 대한 문헌과 저산8읍에 대한 정보 간에 서로 연관을 시키려다 보니 빠뜨린 것이 많이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문헌 및 자료
네이버 부보상 카페(http://cafe.naver.com/bubosang)
조재곤, 『근대 격변기의 상인 보부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시간여행 역사속으로』, 2004.5.24, KBS 미디어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