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노령에서의 한인공산주의 운동
◉초기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본론
1.한국공산주의 운동
<표 1>국내외 한국공산주의 단체의 제원
◉조선노농총동맹
◉서울청년회
◉북풍회
◉화요회
◉고려공산청년회&조선공산당
2.한국공산주의의 해체
결론
◉조선공산당의 해체
◉박헌영
참고문헌
◉노령에서의 한인공산주의 운동
◉초기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본론
1.한국공산주의 운동
<표 1>국내외 한국공산주의 단체의 제원
◉조선노농총동맹
◉서울청년회
◉북풍회
◉화요회
◉고려공산청년회&조선공산당
2.한국공산주의의 해체
결론
◉조선공산당의 해체
◉박헌영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코민테른 집행 위원회 정치서기국은 같은 해 10월 [조선의 농민과 노동자의 임무에 관한 테제]를 발표하였다. 흔히 10월테제로 불리워지는 이 테제는 이후의 조선공산주의 운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10월테제]는 조선공산당의 과거의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략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테제는 과거의 실패의 원인을 조선 공산당의 당원은 거의 지식인과 학생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파벌주의에 빠졌다는 데 찾았다. 그리하여 조선공산당은 산업노동자와 빈농을 시급히 포섭하여야 하며 토지개혁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 농민혁명을 목표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한편 이 테제는 통일전선에 대해서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우선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을 강화하고 쁘띠 부르조아의 민족혁명운동에는 완전한 독자성을 부여해 주며, 그 다음에 모든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과 과감하게 투쟁함으로써 타협적인 민족개량주의와 민족혁명운동을 분리해내면서 민족주의 혁명운동을 성취해내야 한다고 지시하였다. 이것은 사회주의자들이 신간회 해소운동을 벌이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결론
⊙조선공산당의 해체
28년 12월 코민테른은 조선공산당의 승인을 취소하였다. 파벌 청산과 노동자 빈동에 기초한 당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고 해외조직이었던 만주총국과 일본총국도 코민테른의 일국일당원칙에 따라 차례로 해체 선언을 하였다. 그후 코민테른의 승인을 받는 공산당을 재건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단계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대표적 사례로 박헌영의 [경성콤그룹]
)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위하여 1939년 조직된 공산주의 비밀조직
을 들 수 있다.
⊙박헌영
박헌영은 1900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조선공산주의 운동의 초기부터 참여하였으며 일제의 탄압과 고난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로 흔들림 없이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는 12차 조선공산당 사건과 관련해 재판을 받던 가운데 안경을집어던지기도 하고 인분을 먹기도 하는 등 미친 척함으로써 병보석으로 풀려나자 러시아로 잠적하였다가 상해로 돌아와 조봉암 및 김단야와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곧 체포되어 감옥살이를 하였고 1939년 석방되자 리관술 김삼룡 정태식 리현상 등과 더불어 [경성콤그룹]을 조직하였다. 이 조직 역시 1941년 붕괴되어 박헌영을 제외한 전원이 체포되었다. 박헌영은 전라도 광주의 한 벽돌공장의 노동자로서 은신해 있다가 해방을 맞이한다.
참고문헌
⊙김준엽, 김찬순 「한국공산주의 운동사1∼5」 청계연구소, 1986
⊙윤대원, 「식민지시대 민족해방운동」 한길사, 1990
⊙이정식 스칼라피노 지음, 한홍구옮김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1」 돌베개, 1986
⊙이정식 지음, 김성환 옮김 「조선노동당 약사」 이론과 실천, 1987
⊙http://kr.yahoo.com/
⊙http://www.chosun.co.kr/
⊙http://www.empas.com/
⊙http://www.naver.com/
⊙http://www.nkorea.or.kr/
결론
⊙조선공산당의 해체
28년 12월 코민테른은 조선공산당의 승인을 취소하였다. 파벌 청산과 노동자 빈동에 기초한 당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고 해외조직이었던 만주총국과 일본총국도 코민테른의 일국일당원칙에 따라 차례로 해체 선언을 하였다. 그후 코민테른의 승인을 받는 공산당을 재건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단계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대표적 사례로 박헌영의 [경성콤그룹]
)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위하여 1939년 조직된 공산주의 비밀조직
을 들 수 있다.
⊙박헌영
박헌영은 1900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조선공산주의 운동의 초기부터 참여하였으며 일제의 탄압과 고난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로 흔들림 없이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는 12차 조선공산당 사건과 관련해 재판을 받던 가운데 안경을집어던지기도 하고 인분을 먹기도 하는 등 미친 척함으로써 병보석으로 풀려나자 러시아로 잠적하였다가 상해로 돌아와 조봉암 및 김단야와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곧 체포되어 감옥살이를 하였고 1939년 석방되자 리관술 김삼룡 정태식 리현상 등과 더불어 [경성콤그룹]을 조직하였다. 이 조직 역시 1941년 붕괴되어 박헌영을 제외한 전원이 체포되었다. 박헌영은 전라도 광주의 한 벽돌공장의 노동자로서 은신해 있다가 해방을 맞이한다.
참고문헌
⊙김준엽, 김찬순 「한국공산주의 운동사1∼5」 청계연구소, 1986
⊙윤대원, 「식민지시대 민족해방운동」 한길사, 1990
⊙이정식 스칼라피노 지음, 한홍구옮김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1」 돌베개, 1986
⊙이정식 지음, 김성환 옮김 「조선노동당 약사」 이론과 실천, 1987
⊙http://kr.yahoo.com/
⊙http://www.chosun.co.kr/
⊙http://www.empas.com/
⊙http://www.naver.com/
⊙http://www.n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