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한양의 생활공간 - 청계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론
(1)청계천의 명칭
(2)청계천의 역사
(3)청계천을 통해 본 생활사
①청계천의 다리
②청계천으로 나뉘어진 공간
③청계천의 위생 문제
④생활공간으로서의 청계천

3.맺음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주게 했다고 되어 있다.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 중에서 돈이 없어서 자는 곳을 해결할 수 없는 사람들은 다리 밑에 와서 잠을 자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다리는 비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거지들이 광통교와 수표교 아래 등지에서 살았다고 한다.
얼마전 복원된 청계천의 다리들이다. 왼쪽부터 오른쪽 순으로, 모전교, 광통교, 광교, 장통교, 삼일교, 임시보도교, 관수교, 세운교, 배오개다리, 새벽다리, 마전교, 나래교, 버들다리, 오간수교, 맑은내다리, 다산교, 영도교, 황학교, 비우당교, 무학교, 두물다리, 고산자교 이다.
②청계천으로 나뉘어진 공간: 북촌과 남촌
이 그림은 고산 김정호가 그린 수선전도 보물 853호, 서울 성북구 안암동1가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이다. 이 그림을 보면 청계천을 사이로 두고 북쪽을 북촌, 남쪽을 남촌이라 했다.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뒤는 산, 앞은 물이 흐르는 공간을 명당으로 쳤는데, 따라서 청계천의 북쪽에 경복궁을 비롯한 궁궐들이 위치한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청계천의 북쪽에 궁궐이 생기자, 자연히 그 주위에 고관대작들의 저택과 궁궐의 실무를 담당하는 중인들의 집, 궁궐에서 생활하는 궁녀들의 집 등이 생기게 되었다. 반면에 남촌에는 가난한 선비들이나 서민들이 많이 살았다. 예로부터 서울에는 ‘남주북병(南酒北餠)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는 남촌과 북촌의 구성원이 다르기 때문에 생겨난 말이다. 북촌에는 고관들이나 시전의 부자들이 많이 살고 있어서 떡을 해 먹을 수 있었지만, 남촌에는 가난한 선비들과 서민들이 살기 때문에 떡을 먹을 형편이 못 되어 술이나 빚어 먹었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라고 한다.
③청계천의 위생 문제
청계천은 서울의 생활하천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수질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쓰레기를 버리거나 생활폐수를 버렸으며, 심지어는 사람이 죽으면 시신을 개천 바닥에 그냥 버리기도 하였다. 더욱이 청계천에는 항상 물이 가득 흐르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비가 오지 않은 때에는 거의 물이 흐르지 않은 건천(乾川)이었기 때문에 버려진 쓰레기들은 그대로 쌓였으며, 그로 인하여 심한 악취가 났다. 청계천에 있던 쓰레기와 냄새가 깨끗하게 씻겨 내려가는 때는 비가 올 때였다. 주변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길은 모두 청계천으로 모여들었으므로 강물은 금새 불어났으며, 하천 바닥에 쌓여 있던 더러운 쓰레기들이 깨끗하게 씻겨 내려갔다.
조선 후기, 전염병들이 서울을 강타했다. 서울의 인구가 크게 늘어난 임진왜란 이후, 갑작스레 늘어난 인구들을 감당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던 서울에는 여러 문제가 생겨났다. 청계천변에 판자집들이 생겨나고, 청계천에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도 엄청나게 증가했다. 이 모두가 전염병이 생기기 좋은 조건인 것이다.
④생활공간으로서의 청계천
청계천은 서민들의 생활 공간이면서 휴식 공간이기도 했다. 큰비가 와서 더러운 쓰레기들이 씻겨 내려가면 다시 맑은 물이 흘렀다. 이럴 때의 청계천은 빨래터로 많이 이용되었는데, 서민 여인들은 이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고 설거지를 했으며, 아이들은 몸을 씻고 물장난을 쳤고, 노인들은 천변에서 휴식을 취했다.
3.맺음말
청계천은 분명히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상을 재구성해볼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 내가 처음 이 주제를 가지고 발표를 하고자 했을 때에, 쓰레기 고고학(garbage archaeology)을 통해서 이 주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청계천 복원과정이 전시행정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화장실 고고학을 통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못했다고 한다. 또한 청계천의 역사 등에 대한 자료는 접근하기 쉬웠으나 생활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자료는 제한되어 있어서 토론의 주제로서의 발표가 아닌 설명서의 역할만 하게 된 듯하여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 자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이경재, 『청계천은 살아 있다』, 2002, 가람기획
서울특별시중앙문화재연구소, 『서울 청계천 복원구간내 청계천 유적』,2004
서울시 청계천 공식 홈페이지(http://cheonggye.seoul.go.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com)
홍성태, 「청계천의 공간문화: 파괴, 정체, 그리고 희망」,2004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론
(1)청계천의 명칭
(2)청계천의 역사
(3)청계천을 통해 본 생활사
①청계천의 다리
②청계천으로 나뉘어진 공간
③청계천의 위생 문제
④생활공간으로서의 청계천
3.맺음말
*참고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