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혜통과 명랑을 통해 본 밀교
1) 혜통과 명랑의 출신배경
2) 혜통과 명랑의 유학
3) 혜통과 명랑의 신접(神接) 증거
4) 혜통(진언종)과 명랑(신인종)의 활약상
(2) <신주>편의 ‘주문’의 역할과 나․당의 외교적 관계에 대한 고찰
3. 결론
2. 본론
(1) 혜통과 명랑을 통해 본 밀교
1) 혜통과 명랑의 출신배경
2) 혜통과 명랑의 유학
3) 혜통과 명랑의 신접(神接) 증거
4) 혜통(진언종)과 명랑(신인종)의 활약상
(2) <신주>편의 ‘주문’의 역할과 나․당의 외교적 관계에 대한 고찰
3. 결론
본문내용
있는데, 이것은 진언종보다 신인종에서 더욱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3. 결론
서론에서 밝힌바와 같이 <신주>편에는 단지 3편의 이야기만이 실려 있어 이를 근거로 하여 유추해낼 수 있는 정보가 만족할만한 양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문’이라는 것이 가진 매력과 흡입력에서 벗어나지 못해 좀더 탐구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고, 해결하지 못한 과제인 <의해>편과 따로 묶어서 다룬 의의를 <신주>편 안에서 곰곰이 새겨보다 보면 그 의미를 알 수 있지 않을까 해서였다. 단순히 <의해>편과 <신주>편을 비교함으로써 결론지어지는 의의와는 다른 의미로서 말이다.
결론은 두 가지로 집약될 수 있다. 첫 번째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중기까지 밀교인 진언종의 호법성과 신인종의 호국성이 서로 양립하며 신라사회에 내면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 번째는 밀교에서 등장하는 ‘주문’의 능동성과 힘과 영감을 어렴풋하게 느끼고 이를 통해 신라와 당나라 사이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아쉬운 것은은 ‘주문’의 성격을 정리함에 있어 『삼국유사』내의 다른 이야기들을 살펴보지 못한 점과 ‘밀교’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용어이해가 부족해 개념정리를 하지 못한 점이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혜통과 명랑을 통해 본 밀교
1) 혜통과 명랑의 출신배경
2) 혜통과 명랑의 유학
3) 혜통과 명랑의 신접(神接) 증거
4) 혜통(진언종)과 명랑(신인종 진언종의 별파로 명랑을 종조로 삼는 불교의 한 종파.
)의 활약상
(2) <신주>편의 ‘주문’의 역할과 나당의 외교적 관계에 대한 고찰
3. 결론
3. 결론
서론에서 밝힌바와 같이 <신주>편에는 단지 3편의 이야기만이 실려 있어 이를 근거로 하여 유추해낼 수 있는 정보가 만족할만한 양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문’이라는 것이 가진 매력과 흡입력에서 벗어나지 못해 좀더 탐구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고, 해결하지 못한 과제인 <의해>편과 따로 묶어서 다룬 의의를 <신주>편 안에서 곰곰이 새겨보다 보면 그 의미를 알 수 있지 않을까 해서였다. 단순히 <의해>편과 <신주>편을 비교함으로써 결론지어지는 의의와는 다른 의미로서 말이다.
결론은 두 가지로 집약될 수 있다. 첫 번째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중기까지 밀교인 진언종의 호법성과 신인종의 호국성이 서로 양립하며 신라사회에 내면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 번째는 밀교에서 등장하는 ‘주문’의 능동성과 힘과 영감을 어렴풋하게 느끼고 이를 통해 신라와 당나라 사이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아쉬운 것은은 ‘주문’의 성격을 정리함에 있어 『삼국유사』내의 다른 이야기들을 살펴보지 못한 점과 ‘밀교’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용어이해가 부족해 개념정리를 하지 못한 점이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혜통과 명랑을 통해 본 밀교
1) 혜통과 명랑의 출신배경
2) 혜통과 명랑의 유학
3) 혜통과 명랑의 신접(神接) 증거
4) 혜통(진언종)과 명랑(신인종 진언종의 별파로 명랑을 종조로 삼는 불교의 한 종파.
)의 활약상
(2) <신주>편의 ‘주문’의 역할과 나당의 외교적 관계에 대한 고찰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