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제와 실재
2. 안정성과 안전성
3. 원용과 인용
4. 인정과 인증
5. 일체와 일절
6. 임대와 임차
7. 체제와 체재
8. 혼돈과 혼동
9. 확정과 획정
10. 반증과 방증
11. 난잡과 난삽
12. 군색하다와 궁색하다.
13. 구명과 규명
14. 개발과 계발
2. 안정성과 안전성
3. 원용과 인용
4. 인정과 인증
5. 일체와 일절
6. 임대와 임차
7. 체제와 체재
8. 혼돈과 혼동
9. 확정과 획정
10. 반증과 방증
11. 난잡과 난삽
12. 군색하다와 궁색하다.
13. 구명과 규명
14. 개발과 계발
본문내용
13. 구명과 규명
① 구명(究明) : 사물의 본질, 원인 따위를 깊이 연구하여 밝힘.
예문) 과학적인 연구에 의해 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구명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 이다.
② 규명(糾明) : 어떤 사실을 자세히 따져서 바로 밝힘.
예문) 범인이 허위 자백을 한 경위는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학문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을 말하고 규명이란 사설을 증명하고 캐내어 사실을 밝혀낸 결과물을 말한다.
14. 개발과 계발
① 개발(開發) :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개척하여 유용하게 만듦.
예문) 도시 개발.
② 계발(啓發) :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예문) 잠재된 능력을 계발하는 계기가 있어야한다.
그동안 없었던 것을 새로 만든 것이 개발이라면 계발은 있었던 능력을 향상시키려 할 때 쓰인다.
① 구명(究明) : 사물의 본질, 원인 따위를 깊이 연구하여 밝힘.
예문) 과학적인 연구에 의해 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구명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 이다.
② 규명(糾明) : 어떤 사실을 자세히 따져서 바로 밝힘.
예문) 범인이 허위 자백을 한 경위는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학문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을 말하고 규명이란 사설을 증명하고 캐내어 사실을 밝혀낸 결과물을 말한다.
14. 개발과 계발
① 개발(開發) :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개척하여 유용하게 만듦.
예문) 도시 개발.
② 계발(啓發) :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예문) 잠재된 능력을 계발하는 계기가 있어야한다.
그동안 없었던 것을 새로 만든 것이 개발이라면 계발은 있었던 능력을 향상시키려 할 때 쓰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