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실험일시 및 온도
□실험목적
□실험기구 및 시료
□실험방법
□주의사항
□실험결과 및 토의
□결론
□실험일시 및 온도
□실험목적
□실험기구 및 시료
□실험방법
□주의사항
□실험결과 및 토의
□결론
본문내용
인으로는,
첫째, 잔골재를 말릴때 드라이어를 사용하였는데, 정확히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되는 시점을 육안으로 판단한 후 원추형 몰드로 체크했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다.
둘째, 플라스크에 골재를 넣고 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골재의 부유물과 물이 섞여 많은 양의 거품이 생겼는데, (휴지를 사용하여 제거) 이러한 거품이 정확한 비중 측정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의 측정을 통해서 콘크리트의 중요 재료로 이용되는 잔골재의 일반적인 성질과 콘크리트 배합 설계시의 절대 용적과 혼합(사용)수량, 잔골재의 공극상태를 알 수 있다.
비중의 측정을 통해서 비중이 큰 잔골재는 강도가 큰 골재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잔골재의 흡수량은 골재 알 속의 빈틈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며, 흡수율이 낮은 골재는 동결에 대한 내구성이 큰 골재라는 것을 알수 있었다.
골재의 빈틈이 적으면(입자가 고름) 콘크리트 배합 설계시 사용 수량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지고, 건조 수축이 작아지며, 마멸 저항과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즉, 비중이 높고 흡수율이 낮을수록(공극률이 낮으므로) 좋은 골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첫째, 잔골재를 말릴때 드라이어를 사용하였는데, 정확히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되는 시점을 육안으로 판단한 후 원추형 몰드로 체크했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다.
둘째, 플라스크에 골재를 넣고 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골재의 부유물과 물이 섞여 많은 양의 거품이 생겼는데, (휴지를 사용하여 제거) 이러한 거품이 정확한 비중 측정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의 측정을 통해서 콘크리트의 중요 재료로 이용되는 잔골재의 일반적인 성질과 콘크리트 배합 설계시의 절대 용적과 혼합(사용)수량, 잔골재의 공극상태를 알 수 있다.
비중의 측정을 통해서 비중이 큰 잔골재는 강도가 큰 골재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잔골재의 흡수량은 골재 알 속의 빈틈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며, 흡수율이 낮은 골재는 동결에 대한 내구성이 큰 골재라는 것을 알수 있었다.
골재의 빈틈이 적으면(입자가 고름) 콘크리트 배합 설계시 사용 수량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지고, 건조 수축이 작아지며, 마멸 저항과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즉, 비중이 높고 흡수율이 낮을수록(공극률이 낮으므로) 좋은 골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추천자료
박막 재료의 표면처리 및 식각 실험
[재료과학] 금속 현미경 실험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 인장실험
재료의 전기 화학적 성질 실험 보고서
재료의 연성 인성 판정 충격실험
재료공학 - 면저항 측정 실험
[Display 공학] TFT-LCD실험, AMOLED의 유기재료로 박막증착하여 특성비교 (PEDOT:PSS, PDY-132)
생물학 실험 - 실험기기 및 기구 사용법 - 재료 및 방법, 결과, 논의
생물 - 현미경 및 실험용 초자류의 원리 및 조작 ( 실험목적, 실험원리, 실험 재료, 실험 방법 )
인장시험 기계공학 실험 역학 및 재료
기계공학실험 - 금속재료 실험
재료공정 실험 - BMG(Bulk Metallic Glass)에 관해서
콘크리트 재료 및 콘크리트 기본 실험 결과 정리
샤르피 충격 실험 : 충격에 대한 저항 즉 시험편을 충격적으로 파단할 때 충격으로 인한 흡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