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북지원의 변화
2. 북한의 심각한 식량난
3. 대북지원의 현황(2000년 이후)
4. 2008년도 식량 수급 전망
5. 앞으로의 대북지원
2. 북한의 심각한 식량난
3. 대북지원의 현황(2000년 이후)
4. 2008년도 식량 수급 전망
5. 앞으로의 대북지원
본문내용
위한 취로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차관으로 제공하는 식량은 무상지원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등 이에 따른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전체 차관규모를 무상으로 전환하는 것보다는 일부만 무상으로 전환하고 나머지는 현재와 같은 형식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 편집부 편 『통일한국 2008년 4월호(통권 제292호)』 2008년 북한 농업 전망과 남북한 협력과제 - “인도적 지원과 개발협력 연계시키는 방안 마련해야” 평화문제연구소, 2008. 4. p87.
<참고자료>
1. 강철환 저 『북한 北韓 2008年 2月號(通卷 434號)』 “노출되지 않는 대북지원 물자전용과 대북지원 쌀의 실효성과 투명성이 필요” 북한연구소, 2008. 2.
2. 편집부 편 『통일한국 2008년 4월호(통권 제292호)』 2008년 북한 농업 전망과 남북한 협력과제 - “인도적 지원과 개발협력 연계시키는 방안 마련해야” 평화문제연구소, 2008. 4.
3. 임상철 저, 『북한 北韓 2008年 1月號(通卷 433號)』, “2008년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 대외 원조 불구 절대 부족량 1,060톤 예상”, 북한연구소, 2008. 1.
4. 강동완 저, 『북한 北韓 2008年 3月號(通卷 435號)』, “대북지원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 대북지원의 목표와 방향을 재설정하고 인식 전환이 필요”, 북한연구소, 2008. 3.
5. 김윤곤 저 『햇볕정책 햇빛 보려면』, 서울 : 중앙 M&B, 1999.
6. 홍익표, 진시원 공저, 『남북한 통합의 새로운 이해』, 서울 : 오름, 2004.
<참고자료>
1. 강철환 저 『북한 北韓 2008年 2月號(通卷 434號)』 “노출되지 않는 대북지원 물자전용과 대북지원 쌀의 실효성과 투명성이 필요” 북한연구소, 2008. 2.
2. 편집부 편 『통일한국 2008년 4월호(통권 제292호)』 2008년 북한 농업 전망과 남북한 협력과제 - “인도적 지원과 개발협력 연계시키는 방안 마련해야” 평화문제연구소, 2008. 4.
3. 임상철 저, 『북한 北韓 2008年 1月號(通卷 433號)』, “2008년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 대외 원조 불구 절대 부족량 1,060톤 예상”, 북한연구소, 2008. 1.
4. 강동완 저, 『북한 北韓 2008年 3月號(通卷 435號)』, “대북지원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 대북지원의 목표와 방향을 재설정하고 인식 전환이 필요”, 북한연구소, 2008. 3.
5. 김윤곤 저 『햇볕정책 햇빛 보려면』, 서울 : 중앙 M&B, 1999.
6. 홍익표, 진시원 공저, 『남북한 통합의 새로운 이해』, 서울 : 오름,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