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샴푸의요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정일-샴푸의요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문과 해석

3. 드라마와 노래로 만들어진 샴푸의 요정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모티브로 장기호가 지은 ‘샴푸의 요정’ 이 쓰였다. 장기호는 “사랑과 평화”, “빛과 소금” 등의 멤버로서 90년대를 대표하는 아티스트였으며, 이 곡은 이후로도 그를 대표하는 곡이 된다. 가사는 이렇다.
네모난 화면 헤치며 살며시 다가와
은빛의 환상 심어준 그녀는 나만의 작은 요정
이른아침 안개처럼 내게로 다가와
너울거리는 긴머리 부드러운 미소로 속삭이네
그녀만 보면 외롭지 않아 슬픈 마음도 멀리 사라져
그녀는 나의 샴푸의 요정 이제는 너를 사랑할거야
이른 아침 안개처럼 내게로 다가와 너울거리는 긴머리
부드러운 미소로 속삭이네
그녀만 보면 외롭지 않아 슬픈 마음도 멀리 사라져
그녀는 나의 샴푸의 요정 이제는 너를 사랑할거야
멀리서 나 홀로 바라보던 그녀는 언제나 나의 꿈
그녀만 보면 외롭지 않아 슬픈 마음도 멀리 사라져
그녀는 나의 샴푸의 요정 이제는 너를 사랑할거야
이 노래와 장정일의 시의 공통점은 인공(人工)의 요정을 진짜 요정과 동등한 반열에 올려놓는다는 점이 있다. 하지만 상품 소비를 긍정적으로 보는가, 부정적으로 보는가에 따라 둘의 의미는 전혀 달라질 수 있다. 긍정적으로 보면 소비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요정이지만, 부정적으로 보면 이윤 창출이라는 의도를 숨긴 채 소비욕구를 부추기는 요괴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장정일의 시에서는 샴푸의 요정이 착하게만 묘사된 것은 아니다. ‘아시아 굴지의 미용주식회사’ 가 그녀의 뒤에 있다는 걸 대놓고 묘사한 점이 그것이다. 즉, 이 시에서는 그녀가 자본주의의 산물임을 의식하고 있다. 그러니까 장정일은 그녀가 15초동안 ‘속삭이고’ 가 아니라 ‘지껄이고’ 라고 쓴 것이다. 한편, 장기호의 노래에서는 이런 부정적인 이미지 대신 환상적인 이미지만이 가득하다. 대중가요로서 옮겨지려면, 공감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겠지만 원래 시와는 차이가 있다. 이는, 이 노래를 소비하게 될 것으로 보인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젊은이들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든 것이 넉넉해지고,
TV에 길들여진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샴푸 모델은 요정으로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듯 이 시는 현대의 대중문화를 비꼬는 면이 다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와 노래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해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다는 아이러니한 점이 재밌다고 할 수 있다.
4. 결론
장정일의 “샴푸의 요정” 은 1980년대 후반~1990년대의 문화예술계를 강타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부분으로서 주목받는다. 이 시기는 기존의 시의 전통이 지배적 위상을 잃기 시작할 즈음이자, 기존 세대와 다른 성장배경을 갖는 신세대가 출현하던 시점인 것이다. 대중문화에 탐닉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 시는, 한 시대의 단면을 선명히 나타내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본다.
5. 참고문헌
하희정.「빛과 소금, <샴푸의 요정>」.『대중가요의 미학』.2007년7월 29일
김태형.「DOOM-파멸의 시학」. ≪현대시학≫, 1994년 10월
이미순.「80년대 모더니즘 시 연구」. 『우리말글』제 26집. 2002년 12월. 289-307p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1.05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5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