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케이블방송의 변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케이블방송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주제선정이유 및 개요
1. 케이블시장의 성장추이
2. 시장확산의 S-CURVE
3. 수용자 분류

Ⅱ. 전략적 방향설정
1. 가치사슬
2. 환경 분석
3. Five Force Model
4. SWOT분석 및 핵심역량

Ⅲ. 업체 비교
1. CJ미디어와 온미디어
2. 지상파 방송사

Ⅳ. 표준경쟁 및 지배적 디자인
Ⅴ. 혁신의 유형 및 패턴
1. 제품혁신
2. 점진적 혁신
3. 핵심역량 강화 혁신

Ⅵ. 혁신프로젝트 선택
1. 선별질문
2. 버라이어티 R&D 포트폴리오

Ⅶ. 협력전략 분석

Ⅷ. 결론 및 시장 변화 예상

Ⅸ. 참고자료

본문내용

지난 1995년 48개 종합유선방송 사업자(SO)와 24개 방송채널사용 사업자(PP)로 개국
2008년 1월 기준으로 총 103개 SO와 187개 PP로 증가
종사자는 2000년 8380명에서 2006년 2만2560명(외주인력 포함) 증가
가입자는 1995년 말 20만6886에서 5년째인 2000년 256만, 2008년 현재 1500만으로 성장
케이블의 방송시장점유율의 꾸준한 증가 및 사업자 확대에 따른 케이블 시장의 비약적 성장
매출과 시장점유율의 추이에 시장 확산의 S-Curve를 적용해 볼 때 2000년대 초반 급속한 성장기를 거쳐서 지금까지도 꾸준한 성장을 해오고 있다.
잠재적 진입자 위협
FTA 타결로 해외 자본들에 대한 규제 완화에 따른 외국의 대형 MPP들이 자유로운 진입과 투자가 가능해져 위협이 높아짐
구매자 위협
지상파와 비교해 시청자의 경우는 높은 위협, 광고주는 낮은 위협
경쟁자 위협
MPP들 간에는 치열한 경쟁, 하지만 SO 확보와 외부 콘텐츠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소규모의 PP들에 대해서는 경쟁 우위 확보
공급자 위협
SO들의 협상력이 강함, 따라서 주요 MPP들은 후방통합을 실시 SO들을 직접 또는 계열사를 통해 인수합병하고 있음

키워드

  • 가격4,5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9.01.06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513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