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 엿같은 세상속에서 일어나는 작은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영화에 이르기까지

2. 영화의 시점

3. 유토피아는 가능한가?

4. 이상과 실제 사이의 간극

5. 비극적 말로가 던져주는 메시지

6. 재역전의 역전, 그리고 또 다시 `역전`

7. 결론 - 변화를 위해 행동하라!

본문내용

들어 가는 그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존 스토트는(John Stott) "꿈이 없으면 캠페인의 방향과 열정을 잃어버리게 되고, 힘든 노력과 실제적인 프로젝트가 없으면 꿈은 공중으로 사라져 버린다."라고 말하였다. 우리가 가져야 할 것은 두 가지, 곧 '꿈'과 '노력'이다. 이것이 유토피아에 근접하게 할 수 있는 우리에게 주어진 중요한 자산이다. 이것이 기타 동물들과 다른 인간만이 소유한 독특한 능력이다. 신은 인간에게 꿈을 꿀 수 있도록 '이상'을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주었고, 그것을 위해 자신을 헌신할 수 있는 '의지'를 주셨다. 이제 앞에서 언급했던 유토피아를 이루어가는 것의 핵심적인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도 정치적인 문제도 아닌 도덕적인 문제"라는 필자의 논증에 답변할 차례가 온 것 같다. 이 세상에 일어나는 착취와 억압, 그리고 차별 등의 핵심 원인은 간단하다. 인간이 악해서이다. 인간이 이기적이어서 남의 것을 빼앗아 자신만 독점한다. 트레버가 입버릇처럼 중얼거리듯이 이기적인 인간들로 채워진 이 지구는 '엿' 같아 보인다. 버크민스터 풀러는 지구는 '우주를 떠다니는 작은 우주선(행성)'이라고 말했다. 우리 모든 인류는 같은 운명에 처해있는 말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민족주의가 지나치다못해 서로 간에 전쟁을 그치지 않는다. 강한 나라가 약한 나라들을 착취하는 것을 두고 '적자생존'의 법칙에 따를 뿐이라고 태연하게 여길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토피아를 깨는 가장 결정적인 문제는 인간의 사악함의 문제, 곧 '도덕적인 문제'이다. 트레버가 제시한 이론이 실제적인 것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행동'하려고 몸부림쳤기 때문이다. 오늘날 유토피아적인 이론을 제시하는 것은 이제 식상하다. 문제는 행동하려고 하는 것이다. 북반구와 남반구간의 경제적인 문제, 종교 간의 분쟁, 낙태와 안락사와 같은 생명 윤리의 문제, 결혼과 이혼 그리고 재혼이라는 성윤리적인 문제, 핵무기를 비롯한 전쟁의 문제 등 이런 복잡다단한 현대 사회의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까? 우리는 트레버의 충고를 새겨들어야만 할 것이다. 조금이라도 더 낳은 사회, 즉 '유토피아'에 근접한 사회를 위해서라면 말이다.
"사람들은 너무 겁을 많이 먹는 것 같아요. 어떤 변화에 대해서요. 세상이 항상 그렇게 엿 같진 않은 것 같아요. 처지가 아무리 나빠도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은 바꾸기가 힘든가 봐요. 그래서 결국은 포기하고 자신한테 지는 거죠."

키워드

사회,   개혁,   유토피아,   희생,   구조,   혁명,   긍정,   결과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1.06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