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문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중국산문의 발전 역사

♢선진문학

♢한대문학

♢위진 남북조 문학

♢수당오대 문학

♢원대 문학

♢명대 문학

♢청대 문학

본문내용

통해 선발된 재녀들을 만나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백화신이 다시 모이게 되었다. 이러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경화연은 많은 사회문제를 제기하고 아울러 작가의 견해를 드러내고 있다. 생활상의 사치함과 인정에 맞지 않는 미신풍속 등이 미치는 해악을 제기 하고 있다. 하지만 유가사상이 뿌리 깊은 까닭에 문제제기나 해결방법의 제시가 근본적이지 못하고 표면적이라는 한계도 드러내고 있지만 작가가 여성들에게 어려서부터 독서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든가 자라서 남자들과 동등하게 시험을 치루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등 부녀자의 사회지위 향상을 요구한 점은 높이 살만하다.
3. 4대 견책소설
당시 소설작품들은 청말 정치상황에 대한 비판이 많았는데, 견책소설에 내세웠던 목표는 자산계급 공화사상의 영향을 받아 낡아빠지고 무능력한 구체제를 뒤엎고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는 것이다. 그 대표적 작품을 ‘4대 견책소설’이라 일컫는다.
1) 이보가의 『관장현형기』
이보가(李寶嘉)는 자가 백원(佰元)으로 강소 무진 사람이다. 관장현형기는 원래 『세계번화보』에 연재되었던 것으로 1906년에 모두 60회로 출판하였다. 작품의 내용은 주로 관장에서 벌어지는 탐관오리들의 매국과 부패행위를 고발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돈을 위해서라면 어떤 일도 서슴지 않는 추악한 관리들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2) 오옥요의 『이십년목도지괴현상』
오옥요(吳沃堯)는 자가 연인으로 광동 불산 사람이다. 북경에서 태어나 불산진에서 성장하였기 때문에 자칭 ‘아불산인(我佛山人)’이라고도 하였다. 이십년목도지괴현상은 모두 108회로 내용은 구사일생(九死一生)이라는 이름의 주인공이 20년 동안 보고들은 괴이한 이야기를 통해, 붕괴과정을 겪고 있던 청말 제국의 사회 상황을 그려낸 것이다. 작품에서 반영한 사회는『관장현형기』보다 훨씬 더 광범위 하고 사회 각계각층을 그려내고 있다. 그 중심내용은 관장에서 벌어지는 괴이한 현상을 폭로하는 것으로 전체 작품에 기록된 189건의 괴현상은 대부분 관장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이 밖에 서양인을 겁내는 관료들의 추태도 그려내고 있다. 작품은 많은 단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편 고사는 주인공 ‘구사일생’을 매개로 연결되고 있다. 단점으로는 작가의 감정이 지나치게 개입되어 묘사가 다소 장황하며 과장된 점이다.
3) 유악의 『노잔유기』
유악(劉)은 자가 철운이고 강소성 단도 사람이다. 노잔유기는 작가의 정치적 견해가 반영된 작품으로 작품에서 작가는 주인공 ‘노잔’을 통해 청말 사회의 만연된 부조리한 현상과 그로부터 사람들이 겪는 고통을 묘사하고 있다.
4) 증박의 『열해화』
증박(曾樸)은 자가 맹박(猛樸)으로 강소 상숙 사람이다. 이 작품은 증박의 친구 ‘김송잠’이 먼저 4,5회를 쓰고 나서 ‘증박’이 이어 쓴 것으로, 27년 동안 35회만을 쓰고 미완으로 남고 말았다. 작품은 ‘김문청’과 ‘박채운’의 고사를 실마리로 하여 다시 북경성 내외에서 활동하던 관료와 봉건 문인의 사상과 생활 및 사회 분위기를 통하여 청말의 정치, 경제, 외교, 사회생활을 묘사하였다. 다른 견책소설과 비교해 볼 때 보다 급진적이라 할 수 있다.
Ⅱ문언문과 백화문
1. 문언문
서면어(書面語)인 문언(文言)으로 씌어진 산문이다. 중국문학에서 백화문(白話文)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중국어 문자는 표의(表意) 문자이다. 따라서 말의 음가(音價)를 그대로 옮겨 적을 수 없다. 중국어는 말과 글의 차이가 현격하여, 옛 중국인들은 입으로 말하는 언어를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글로 쓰는 문장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서면어 문장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말과 괴리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러한 문장을 고문(古文) 또는 서면어(書面語)라고 부른다.
문언은 중국고전문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언어가 풍부하고 세련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구어(口語)를 바탕으로 건립되었으나, 봉건통치계급의 문화에 대한 약탈과 농단에 따라 점차로 서민들의 구어와 멀어져 갔다. 따라서 광대한 민중의 언어로 자리 잡을 수 없었다. 5·4 신문화운동 시기에는 문언을 반대하고 백화를 제창하였다
2. 백화문
중국어 서면어(書面語)인 백화(白話)로 쓰인 산문이다. 중국은 수 천년 동안 문언문(文言文)에 익숙해져 있어서 백화라고 해도 그 정도는 천차만별이다. 문언문에 가까운 백화도 있고 신문사설투의 백화도 있고 일반대화체의 백화도 있다. 고전문학 가운데 당(唐)의 변문(變文), 송(宋)·원(元)·명(明)·청(淸)의 화본과 소설 그리고 기타 통속문학작품은 대부분 백화로 씌어졌다. 송·원 이후에는 부분적 학술저작과 관방(官方)의 문서도 백화로 작성되었다.
물론 당시의 사대부들은 백화로 씌어진 문장을 경시하였다. 하지만 문법을 몰라도 아는 한자만 있으면 말하는 대로 적는 백화문이 일반민중들에게는 편리한 표현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특징은 기본적으로 북방어(北方語)를 기초로 하고, 일정 시대의 구어와 근접하여, 일반 사람들도 쉽게 받아들이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5·4 신문화운동 때, 백화로 씌어진 문학작품들의 역사적 지위를 긍정하는 한편, 현대의 구어(口語)를 기초로 하는 백화를 제창하여 신사상을 표현하고 신문학을 창작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였다.
Ⅲ실사와 허사
실사()는 실질적인 개념을 나타낸 것이며, 허사()는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실사는 문장이나 구의 주요성분이 되며, 허사는 문장의 수식 성분이나 첨가되는 정도의 역할만 담당한다. 실사는 시대적인 흐름이나 문화의 발달로 수많은 단어가 생겨나는 특징이 있지만 허사는 폐쇄적이라 거의 고정적으로 수에 있어 변함이 없다.
허사(虛辭)란 뜻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문장 안에서의 문법적 기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허사(虛辭), 허자(虛字)나 어조사(語助辭)라고도 한다.
중국어의 품사는 총 15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 감탄사와 의성사를 제외하고 13종류를 실사와 허사로 구분한다. 허사는 다시 쓰임새에 따라 개사·접속사·종결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실사: 명사, 동사, 형용사, 상태사, 구별사, 수사, 양사, 대사
*허사: 부사, 개사, 접속사, 조사, 어기사

키워드

중국,   산문,   문학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1.1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