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학교 1학년 국어 수업 실연 대본 - 메모하며 읽기
(인사 후, 모둠별로 출석을 점검한다.)
(전시 학습 확인을 한다.)
(동기유발)
(학습목표 제시)
(보충 심화)
(본문 읽기)
(내용학습)
(목표학습-개별)
(10분)
(목표학습- 모둠)
(5분)
(수준별 학습)
(정리)
*정리
(인사 후, 모둠별로 출석을 점검한다.)
(전시 학습 확인을 한다.)
(동기유발)
(학습목표 제시)
(보충 심화)
(본문 읽기)
(내용학습)
(목표학습-개별)
(10분)
(목표학습- 모둠)
(5분)
(수준별 학습)
(정리)
*정리
본문내용
아주 중요해요. 기억했나요?
(9)예를 한번 볼까요?
(10)지금까지 우리가 한 이야기는
(11)좀 더 자세하게 얘기해 볼게요.
(12)조금 다른 얘기를 할까요?
(13) 자, 끝난 게 아니에요. 하나 더 있어요.
(14)다음으로 얘기할 것은
(15)자, 이게 바로 그거예요.
(16)생각나는 이야기가 있어요. 이건 여담인데요,
(17)얘기가 다른 곳으로 갔네요. 하던 얘기로 돌아갈게요.
(18)...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었죠?
(19)끝난 게 아니에요. 하나 더 있어요.
(20)이상으로 ...에 대해 알아봤어요.
이해영(2004)에서는 강의 흐름의 파악을 돕는 담화표지를 기능에 따라 다음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학습 내용 개관, 전시 내용 정리, 다음 수업 내용 예고, 구체적인 학습 내용 소개, 관련 기학습 내용 환기, 선행 연구 내용 소개, 소주제 전환, 소주제 심화, 수업 내용 부분 정리, 설명 내용 지정, 특정 내용 부각, 용어 설명 및 개념 정의, 부연 설명, 순차적 나열 설명, 인과 관계의 내용 제시, 강의 내용 반복 알림, 청취 가능 확인, 이해 확인용 질문, 필기 금지, 휴식 알림 및 휴식 후 수업 시작 알림, 수업 종료 알림의 22가지 범주가 그것이다.
강의 청해에 도움을 주는 담화표지에 의해 학생들은 강의에서 주어진 정보를 내용의 중요도에 의해 평가하고, 하나의 내용이 다른 내용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 정보를 조직(organize)하며 강의의 흐름을 파악할 수가 있다. 이러한 강의 듣기 활동에서 담화표지는 강의 흐름의 지표 역할을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9)예를 한번 볼까요?
(10)지금까지 우리가 한 이야기는
(11)좀 더 자세하게 얘기해 볼게요.
(12)조금 다른 얘기를 할까요?
(13) 자, 끝난 게 아니에요. 하나 더 있어요.
(14)다음으로 얘기할 것은
(15)자, 이게 바로 그거예요.
(16)생각나는 이야기가 있어요. 이건 여담인데요,
(17)얘기가 다른 곳으로 갔네요. 하던 얘기로 돌아갈게요.
(18)...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었죠?
(19)끝난 게 아니에요. 하나 더 있어요.
(20)이상으로 ...에 대해 알아봤어요.
이해영(2004)에서는 강의 흐름의 파악을 돕는 담화표지를 기능에 따라 다음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학습 내용 개관, 전시 내용 정리, 다음 수업 내용 예고, 구체적인 학습 내용 소개, 관련 기학습 내용 환기, 선행 연구 내용 소개, 소주제 전환, 소주제 심화, 수업 내용 부분 정리, 설명 내용 지정, 특정 내용 부각, 용어 설명 및 개념 정의, 부연 설명, 순차적 나열 설명, 인과 관계의 내용 제시, 강의 내용 반복 알림, 청취 가능 확인, 이해 확인용 질문, 필기 금지, 휴식 알림 및 휴식 후 수업 시작 알림, 수업 종료 알림의 22가지 범주가 그것이다.
강의 청해에 도움을 주는 담화표지에 의해 학생들은 강의에서 주어진 정보를 내용의 중요도에 의해 평가하고, 하나의 내용이 다른 내용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 정보를 조직(organize)하며 강의의 흐름을 파악할 수가 있다. 이러한 강의 듣기 활동에서 담화표지는 강의 흐름의 지표 역할을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추천자료
토론학습(토론수업, 토의학습)의 정의, 토론학습(토론수업, 토의학습)의 의의와 특징, 토론학...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개별교육)의 개념과 전제조건,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개별교육)의 ...
독서토론학습(독서토론수업)의 의의, 독서토론학습(독서토론수업)의 준비와 진행, 독서토론학...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의 정의와 특징,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 필요성과 방법,...
마인드맵학습(마인드맵수업)의 의의와 토대, 국어과와 수학과 마인드맵학습(마인드맵수업) 사...
NIE(신문활용수업, 신문활용교육) 주안점, NIE(신문활용수업, 신문활용교육) 총체적언어교육...
현시적교수법(현시적수업모형)의 이론적 기초, 현시적교수법(현시적수업모형)의 단계와 과정,...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 목적과 전제조건,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 지도방...
동시감상지도(수업, 교육)방법, 철봉운동지도(수업, 교육)방법, 발표력향상지도(수업, 교육)...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교수법, 국어과(...
에너지절약교육활동(수업활동) 사례, 양성평등교육활동(수업활동) 사례, 발명교육활동(수업활...
과학과(과학수업, 과학교육)의 성격, 과학과(과학수업, 과학교육)의 목적, 과학과(과학수업, ...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특징과 방향,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내용체계, 국어과...
이 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참여구조의 특징 - 좋은 수업이란 어떤 수업인가? (수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