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 빗면의 경사도에 따른 물체의 이동시간 ◀
♠ 실험목적
♠ 준비물
♠ 가설 설정
♠ 변인 통제
♠ 실험 설계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실험하면서 생각했던 점들...
♠ 자료 해석
♠ 실험 후 느낀 점
♠ 실험목적
♠ 준비물
♠ 가설 설정
♠ 변인 통제
♠ 실험 설계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실험하면서 생각했던 점들...
♠ 자료 해석
♠ 실험 후 느낀 점
본문내용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 긴 빗면을 사용하거나 나의 측정 오차 값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당장 실천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으므로 다음 실험 때부터는 예전처럼 2cm정도의 높이 차를 두어 실험 설계를 해보아야겠다.
▶ 빗면의 경사도에 따른 물체의 이동시간 ◀
♠ 실험목적
가설 설정과 검증
♠ 준비물
스탑 왓치, 두께(2cm)가 같은 책 7권, 두께가 1cm인 책 한 권, 가운데가 뚫린 원통형의 빗면(지름 4cm, 길이 140cm), 플라스틱으로 된 구 (지름 0.8cm), 자, 필기 도구
♠ 가설 설정
■ 경사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내려오는 데 시간이 더 적게 걸릴 것이다.
♠ 변인 통제
① 떨어뜨리는 물체, 빗면이 되는 물체, 실험자는 실험 내내 일정하게 유지 한다.
→ 물체의 무게, 빗면의 재질과 길이, 실험자의 오차 는 이동 속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② 물체를 빗면에 놓을 때 힘을 주어 밀지 않도록 한다.
③ 물체 지름의 양끝 부분을 잡고 있다가 놓도록 한다.
→ 물체에 가해질 가능성이 있는 힘의 제어
④ 원통형의 빗면 외부와 내부에 동일한 지점을 잡아 선을 긋는다.
- 원통형 빗면의 외부에 표시된 선은 책과 접촉하도록 하고, 내부에 있는 선은 물체의 출발점을 표시한다.
⑤ 출발점을 기준으로 해서 물체를 떨어뜨린다.
⑥ 원통형 안쪽 부분에 출발점을 표시하고 물체를 그 곳에서 출발시킨다.
→ 물체의 이동거리 통제
♠ 실험 설계
① 경사면의 기울기를 설정할 때, 두께가 일정한 책(2cm)을 이용해서 한 권씩 높여 가도록 한다.
⇒ 지난 번 실험에서 설정한 1cm의 높이차는 측정자의 측정오차가 높이차로 일어나는 결과의 변화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므로 이번 실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높이의 변화를 2cm로 두었다.
② 책을 한 권씩 높여가면서 같은 높이에서 5번의 실험을 반복해서 최고치 와 최저치의 값을 뺀 3개의 측정값을 가지고 평균을 낸다.
③ 빗면의 경사도는 곧 빗면과 지면의 높이 차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자로 높이를 측정하고, 시간은 스탑 와치로 눌러가며 잰다.
※ 높이 측정을 할 때, 빗면이 되는 물체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고, 지 면과 책까지의 높이를 재도록 한다.
④ 물체가 원통형의 빗면을 통과해서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시간을 측 정하도록 한다.
⑤ 구의 형태를 띄고,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떨어뜨 린다.
⑥ 원통형 외내부에는 동일한 위치에 책과 접촉하는 부분인 선과 물체가 출발하는 선을 긋고, 원통형 내부에는 물체를 출발시킬 지점을 표시한다.
♠ 실험 방법
① 편평한 바닥에 책을 한 권 놓고, 판지의 한 쪽 끝은 책에 한쪽은 바닥에 두어 경사면을 만든다.
※ 원통형의 빗면에 그어진 선을 경계면으로 책과 맞닿게 한다.
② 바닥에서 빗면의 선까지의 높이를 재어서 기록해 둔다.
※ 이때, 책의 높이가 2cm이므로 일일이 측정할 필요는 없다. 가끔 확인 해주는 정도로...^^;;;
③ 물체를 원통형 내부에 표시된 지점에 두고 물체가 출발할 때 스탑와치를 누른다.
④ 물체가 원통형을 통과해서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스탑와치를 누른다.
⑤ 물체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0.1 초 단위로 기록한다.
⑥ 같은 높이에서 5번의 실험을 반복한다.
⑦ 최고치와 최저치의 값을 빼고 세 번의 측정값을 기록하고, 평균값을 낸다.
♠ 실험 결과
높 이(cm)
실 험 횟 수
시 간(s)
(5cm)
1 차
4. 8
2 차
4. 7
3 차
4. 8
평 균
4. 8
(7cm)
1 차
3. 6
2 차
3. 4
3 차
3. 5
평 균
3. 5
(9cm)
1 차
2. 9
2 차
3. 0
3 차
3. 0
평 균
3. 0
(11cm)
1 차
2. 6
2 차
2. 5
3 차
2. 4
평 균
2. 5
(13cm)
1 차
2. 2
2 차
2. 2
3 차
2. 2
평 균
2. 2
(15cm)
1 차
1. 9
2 차
1. 9
3 차
2. 0
평 균
1. 9
♠ 실험하면서 생각했던 점들...
◇ 개선점
빗면 간 높이의 차를 2cm씩 두어 지난 실험처럼 다른 높이에서 동일한 값이 나오는 경우는 없었다.
⇒ 나의 측정오차에 관계없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더 큰 값의 높이 변화
“ 측정 오차값 〈 높이 변화에 따른 시간의 차이”
◇ 문제점
빗면의 길이가 길어서 혼자 실험하기에 무리가 있다.
⇒ 조원끼리 짝을 지어서 물체를 떨어뜨리는 사람, 시간을 측정하는 사 람으로 나누어 실험을 해보도록 해야 할 것 같다.
⇒ 그러나... 몇 주째 문제점으로 제기되고만 있을 뿐 개선되지 못했다.
♠ 자료 해석
① 경사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경사도가 높아질수록) 내려오는 시간이 짧아진다
☞ 가설 검증~!!
② 높이는 일정하게 높아짐에 반해 빠르기는 일정하게 빨라지지 않는다.
③ 각 높이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자.(단위 : 초)
1.3 ⇒ 0.5 ⇒ 0.5 ⇒ 0.3 ⇒ 0.3
⇒ 빗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높이에 따른 속도의 변화가 크지 않다.
④ 높이와 시간의 변화는 비례관계이지만 정비례는 아니다.
⑤ 일정한 높이가 되어야 물체는 움직인다.
- (5cm)의 높이는 물체가 움직이기 위한 최저 높이는 아니지만 (3cm)의 높이에서는 물체가 움직이지 않았다.
⑥ 이 실험에서 나의 측정 오차는 0.2 초 내에 포함된다.
♠ 실험 후 느낀 점
우선 나의 측정 오차 값을 보고 놀랐다. 지난 실험까지는 0.3 ~ 0.4정도의 오차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0.2 초라는 놀랄만한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 이는 저번에도 말했지만 실험을 하는 횟수가 거듭될수록 실험을 하는 요령을 터득할 수 있어서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지 않았나 하는 나의 생각이다.
또한 지난번 실험을 하면서 느꼈던 것을 바탕으로 이번 실험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았는데 이러한 면들이 나에게 있어 참 의미가 있는 것 같다.
한 가지만 더 덧붙인다면....
다음 실험에서는 빗면을 조금 더 늘려서 실험해 보고 싶은 욕심이 든다. 원통형의 속이 비고 긴 빗면을 구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긴 하지만 이러한 나의 생각이 언제나처럼 생각만으로 끝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러나 이것은 당장 실천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으므로 다음 실험 때부터는 예전처럼 2cm정도의 높이 차를 두어 실험 설계를 해보아야겠다.
▶ 빗면의 경사도에 따른 물체의 이동시간 ◀
♠ 실험목적
가설 설정과 검증
♠ 준비물
스탑 왓치, 두께(2cm)가 같은 책 7권, 두께가 1cm인 책 한 권, 가운데가 뚫린 원통형의 빗면(지름 4cm, 길이 140cm), 플라스틱으로 된 구 (지름 0.8cm), 자, 필기 도구
♠ 가설 설정
■ 경사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내려오는 데 시간이 더 적게 걸릴 것이다.
♠ 변인 통제
① 떨어뜨리는 물체, 빗면이 되는 물체, 실험자는 실험 내내 일정하게 유지 한다.
→ 물체의 무게, 빗면의 재질과 길이, 실험자의 오차 는 이동 속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② 물체를 빗면에 놓을 때 힘을 주어 밀지 않도록 한다.
③ 물체 지름의 양끝 부분을 잡고 있다가 놓도록 한다.
→ 물체에 가해질 가능성이 있는 힘의 제어
④ 원통형의 빗면 외부와 내부에 동일한 지점을 잡아 선을 긋는다.
- 원통형 빗면의 외부에 표시된 선은 책과 접촉하도록 하고, 내부에 있는 선은 물체의 출발점을 표시한다.
⑤ 출발점을 기준으로 해서 물체를 떨어뜨린다.
⑥ 원통형 안쪽 부분에 출발점을 표시하고 물체를 그 곳에서 출발시킨다.
→ 물체의 이동거리 통제
♠ 실험 설계
① 경사면의 기울기를 설정할 때, 두께가 일정한 책(2cm)을 이용해서 한 권씩 높여 가도록 한다.
⇒ 지난 번 실험에서 설정한 1cm의 높이차는 측정자의 측정오차가 높이차로 일어나는 결과의 변화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므로 이번 실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높이의 변화를 2cm로 두었다.
② 책을 한 권씩 높여가면서 같은 높이에서 5번의 실험을 반복해서 최고치 와 최저치의 값을 뺀 3개의 측정값을 가지고 평균을 낸다.
③ 빗면의 경사도는 곧 빗면과 지면의 높이 차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자로 높이를 측정하고, 시간은 스탑 와치로 눌러가며 잰다.
※ 높이 측정을 할 때, 빗면이 되는 물체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고, 지 면과 책까지의 높이를 재도록 한다.
④ 물체가 원통형의 빗면을 통과해서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시간을 측 정하도록 한다.
⑤ 구의 형태를 띄고,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떨어뜨 린다.
⑥ 원통형 외내부에는 동일한 위치에 책과 접촉하는 부분인 선과 물체가 출발하는 선을 긋고, 원통형 내부에는 물체를 출발시킬 지점을 표시한다.
♠ 실험 방법
① 편평한 바닥에 책을 한 권 놓고, 판지의 한 쪽 끝은 책에 한쪽은 바닥에 두어 경사면을 만든다.
※ 원통형의 빗면에 그어진 선을 경계면으로 책과 맞닿게 한다.
② 바닥에서 빗면의 선까지의 높이를 재어서 기록해 둔다.
※ 이때, 책의 높이가 2cm이므로 일일이 측정할 필요는 없다. 가끔 확인 해주는 정도로...^^;;;
③ 물체를 원통형 내부에 표시된 지점에 두고 물체가 출발할 때 스탑와치를 누른다.
④ 물체가 원통형을 통과해서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스탑와치를 누른다.
⑤ 물체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0.1 초 단위로 기록한다.
⑥ 같은 높이에서 5번의 실험을 반복한다.
⑦ 최고치와 최저치의 값을 빼고 세 번의 측정값을 기록하고, 평균값을 낸다.
♠ 실험 결과
높 이(cm)
실 험 횟 수
시 간(s)
(5cm)
1 차
4. 8
2 차
4. 7
3 차
4. 8
평 균
4. 8
(7cm)
1 차
3. 6
2 차
3. 4
3 차
3. 5
평 균
3. 5
(9cm)
1 차
2. 9
2 차
3. 0
3 차
3. 0
평 균
3. 0
(11cm)
1 차
2. 6
2 차
2. 5
3 차
2. 4
평 균
2. 5
(13cm)
1 차
2. 2
2 차
2. 2
3 차
2. 2
평 균
2. 2
(15cm)
1 차
1. 9
2 차
1. 9
3 차
2. 0
평 균
1. 9
♠ 실험하면서 생각했던 점들...
◇ 개선점
빗면 간 높이의 차를 2cm씩 두어 지난 실험처럼 다른 높이에서 동일한 값이 나오는 경우는 없었다.
⇒ 나의 측정오차에 관계없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더 큰 값의 높이 변화
“ 측정 오차값 〈 높이 변화에 따른 시간의 차이”
◇ 문제점
빗면의 길이가 길어서 혼자 실험하기에 무리가 있다.
⇒ 조원끼리 짝을 지어서 물체를 떨어뜨리는 사람, 시간을 측정하는 사 람으로 나누어 실험을 해보도록 해야 할 것 같다.
⇒ 그러나... 몇 주째 문제점으로 제기되고만 있을 뿐 개선되지 못했다.
♠ 자료 해석
① 경사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경사도가 높아질수록) 내려오는 시간이 짧아진다
☞ 가설 검증~!!
② 높이는 일정하게 높아짐에 반해 빠르기는 일정하게 빨라지지 않는다.
③ 각 높이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자.(단위 : 초)
1.3 ⇒ 0.5 ⇒ 0.5 ⇒ 0.3 ⇒ 0.3
⇒ 빗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높이에 따른 속도의 변화가 크지 않다.
④ 높이와 시간의 변화는 비례관계이지만 정비례는 아니다.
⑤ 일정한 높이가 되어야 물체는 움직인다.
- (5cm)의 높이는 물체가 움직이기 위한 최저 높이는 아니지만 (3cm)의 높이에서는 물체가 움직이지 않았다.
⑥ 이 실험에서 나의 측정 오차는 0.2 초 내에 포함된다.
♠ 실험 후 느낀 점
우선 나의 측정 오차 값을 보고 놀랐다. 지난 실험까지는 0.3 ~ 0.4정도의 오차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0.2 초라는 놀랄만한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 이는 저번에도 말했지만 실험을 하는 횟수가 거듭될수록 실험을 하는 요령을 터득할 수 있어서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지 않았나 하는 나의 생각이다.
또한 지난번 실험을 하면서 느꼈던 것을 바탕으로 이번 실험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았는데 이러한 면들이 나에게 있어 참 의미가 있는 것 같다.
한 가지만 더 덧붙인다면....
다음 실험에서는 빗면을 조금 더 늘려서 실험해 보고 싶은 욕심이 든다. 원통형의 속이 비고 긴 빗면을 구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긴 하지만 이러한 나의 생각이 언제나처럼 생각만으로 끝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