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의 유형
마취의 유형과 장단점
수술전기의 간호과정
수술당일 아침간호
수술중기
마취의 유형과 장단점
수술전기의 간호과정
수술당일 아침간호
수술중기
본문내용
설명해 주며 , 보호자에게는 대기실의 위치를 알려준다
⑪수술 전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 수술 후 과정에 대한 교육
①회복실에서 받게 될 처치의 내용과 사용될 기구들에 대해 설명한다
②간호사가 수술 후에 대상자로부터 사정할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③심호흡과 기침운동, 다리운동, 자세변경과 움직이는 방법 및 환부를 지지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④수술 후의 통증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⑤수술 후 대상자가 처음으로 움직일 때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주의사항과 활동제한에 대해 설명한다
⑥일반적으로 회복 정도에 따라 식이도 변경됨을 알려준다.
⑦수술 후 드레싱과 배액에 대해 설명한다.
⑧수술 후 중환자실에 가게 될 경우에는 중환자실에 대해 미리 설명해 주면서 중환자실을 돌아보게 한다.
2> 신체적 준비
수술 전 준비에는 영양과 수분 , 배설 , 위생 , 휴식 , 약물 , 귀중품과 보철의 관리, 특별한 처방, 수술부위의 피부준비 등과 같은 부분이 포함된다.
( + 항색전용 스타킹, 항색전용 스타킹의 착용기준 : 부적절한 동맥순환 , 불충분한 정맥귀환, 후경골 및 족배맥의 변화 , 종아리 통증, 다리의 표재성 정맥의 이완 )
*수술당일 아침간호
①V/S checked(BP ,BT)
②심리적인 상태
③skin preperation 여부
④밤사이 소변량과 대변횟수
⑤환자의 의치,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
⑥귀금속 등의 제거
⑦수술복착용 시 속옷을 모두 벗었는지 , 끈이 뒤로가게 입었는지
⑧메니큐어 지웠는지
⑨금식을 잘하고 있는지
⑩수술 후 검사결과가 나왔는지
* 수술중기
1. 수술중 간호사의 역할
①대상자 보호
마취된 대상자는 주위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을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상해를 입기 쉽다.
- 움직이고 체위를 취하는 동안에 피부가 상처입지 않게 보호한다
- 관절의 정상운동 범위의 한계내에서 대상자의 체위를 유지시킨다
-침상난간과 안전벨트와 같은 적절한 안전기구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보호한다.
-체위: 수술 동안의 적절한 체위는 간호사, 외과의, 마취의가 나누어야 할 주요한 책임감이다. 수술중 적절한 체위는 수술부위에 최적의 시야확보와 접근성과 마취와 주요기능 (활력징후, 호흡, 심혈관 기능) 을 사정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②대상자 관찰
- 약에 대한 반응, 행동변화, 생리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③기록의 유지
거즈의 관찰, 수술중 사용된 기구와 바늘의 숫자 계산, 수술 시 사용된 전기기구의 기본위치, 작동된 모니터, 지혈대의 위치, 압박 정도 , 삽입물의 종류와 수, 드레싱, 배액기구, 검사물과 배양, 투약, 대상자의 체위, 억제대의 종류 등 간호 중재에 초점을 두고 기록한다
2. 수술실 간호사
- 소독간호사(scrub nurse)
①멸균상에서 멸균기구와 물품을 수술의에게 전달해 준다. 수술에 따라 많은 기구가 필요하므로 다양한 기구 및 사용법에 대해 광범위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②수술 시 사용된 거즈, 주사 , 바늘 , 기구의 수를 센다.
③사용한 기구를 처리한다.
-순회간호사(circulating nurse)
①적당한 수술체위를 취한 채 수술대 위에 누인다.
②수술부위만 노출되도록 대상자를 잘 덮어주며 , 수술의와 소독간호사가 멸균가운과 장갑을 착용하는 것을 도와준다.
③소독간호사가 멸균물품을 집을 수 있도록 멸균물품이 든 꾸러미를 펼친다.
④생검한 검사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⑤수술실의 조명을 조절한다
⑥수술중 부족한 물품과 기구를 보충한다
3.수술 후 대상자를 위한 준비
병실에 수술침상 준비, 수술 후 대상자의 병실에 수액걸대 , 흡인기구, 산소흡입기구나 traction과 같은 정형외과적 기구 등 특수기구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고 미리 준비해야 한다.
⑪수술 전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 수술 후 과정에 대한 교육
①회복실에서 받게 될 처치의 내용과 사용될 기구들에 대해 설명한다
②간호사가 수술 후에 대상자로부터 사정할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③심호흡과 기침운동, 다리운동, 자세변경과 움직이는 방법 및 환부를 지지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④수술 후의 통증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⑤수술 후 대상자가 처음으로 움직일 때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주의사항과 활동제한에 대해 설명한다
⑥일반적으로 회복 정도에 따라 식이도 변경됨을 알려준다.
⑦수술 후 드레싱과 배액에 대해 설명한다.
⑧수술 후 중환자실에 가게 될 경우에는 중환자실에 대해 미리 설명해 주면서 중환자실을 돌아보게 한다.
2> 신체적 준비
수술 전 준비에는 영양과 수분 , 배설 , 위생 , 휴식 , 약물 , 귀중품과 보철의 관리, 특별한 처방, 수술부위의 피부준비 등과 같은 부분이 포함된다.
( + 항색전용 스타킹, 항색전용 스타킹의 착용기준 : 부적절한 동맥순환 , 불충분한 정맥귀환, 후경골 및 족배맥의 변화 , 종아리 통증, 다리의 표재성 정맥의 이완 )
*수술당일 아침간호
①V/S checked(BP ,BT)
②심리적인 상태
③skin preperation 여부
④밤사이 소변량과 대변횟수
⑤환자의 의치,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
⑥귀금속 등의 제거
⑦수술복착용 시 속옷을 모두 벗었는지 , 끈이 뒤로가게 입었는지
⑧메니큐어 지웠는지
⑨금식을 잘하고 있는지
⑩수술 후 검사결과가 나왔는지
* 수술중기
1. 수술중 간호사의 역할
①대상자 보호
마취된 대상자는 주위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을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상해를 입기 쉽다.
- 움직이고 체위를 취하는 동안에 피부가 상처입지 않게 보호한다
- 관절의 정상운동 범위의 한계내에서 대상자의 체위를 유지시킨다
-침상난간과 안전벨트와 같은 적절한 안전기구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보호한다.
-체위: 수술 동안의 적절한 체위는 간호사, 외과의, 마취의가 나누어야 할 주요한 책임감이다. 수술중 적절한 체위는 수술부위에 최적의 시야확보와 접근성과 마취와 주요기능 (활력징후, 호흡, 심혈관 기능) 을 사정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②대상자 관찰
- 약에 대한 반응, 행동변화, 생리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③기록의 유지
거즈의 관찰, 수술중 사용된 기구와 바늘의 숫자 계산, 수술 시 사용된 전기기구의 기본위치, 작동된 모니터, 지혈대의 위치, 압박 정도 , 삽입물의 종류와 수, 드레싱, 배액기구, 검사물과 배양, 투약, 대상자의 체위, 억제대의 종류 등 간호 중재에 초점을 두고 기록한다
2. 수술실 간호사
- 소독간호사(scrub nurse)
①멸균상에서 멸균기구와 물품을 수술의에게 전달해 준다. 수술에 따라 많은 기구가 필요하므로 다양한 기구 및 사용법에 대해 광범위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②수술 시 사용된 거즈, 주사 , 바늘 , 기구의 수를 센다.
③사용한 기구를 처리한다.
-순회간호사(circulating nurse)
①적당한 수술체위를 취한 채 수술대 위에 누인다.
②수술부위만 노출되도록 대상자를 잘 덮어주며 , 수술의와 소독간호사가 멸균가운과 장갑을 착용하는 것을 도와준다.
③소독간호사가 멸균물품을 집을 수 있도록 멸균물품이 든 꾸러미를 펼친다.
④생검한 검사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⑤수술실의 조명을 조절한다
⑥수술중 부족한 물품과 기구를 보충한다
3.수술 후 대상자를 위한 준비
병실에 수술침상 준비, 수술 후 대상자의 병실에 수액걸대 , 흡인기구, 산소흡입기구나 traction과 같은 정형외과적 기구 등 특수기구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고 미리 준비해야 한다.
추천자료
흉부수술환자 간호
OS진단명 수술명 수술후 간호
수술환자 케이스및 무균술의 원칙, 수술시 간호사의 역할
수술전후 간호와 합병증
수술실 간호사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외과적 무균술의 원칙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의 실제와 이론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환자 간호 사례 연구
위절제술의 과정과 간호 - 수술 간호실습 (수술실 / 회복실).pptx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성인간호학 수술전후 간호
폐암 간호(암의단계, 전이, 임상증상, 수술치료, 방사선치료, 화학치료, 레이저요법, 면역요...
[성인간호학A+] 위전절제술 대상자의 수술 간호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