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급성 대사성 합병증 (Acute metabolic complication)
① 당뇨병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2
②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 (hyperosmolar nonketotic coma) ․․․․․․․․․․․6
③ 저혈당 (hypoglycemia)
2. 만성 합병증 (Chronic complication)
1) 대혈관 장애 : 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8
① 관상동맥질환 및 심근병증 (coronary artery disease)
② 뇌혈관 질환 (cerebrovascular disease)
③ 기타 말초혈관질환 (peripheral vascular disease)
2) 소혈관 장애 : 3대 합병증 (triopathy)
① 망막병증 (retinopathy) ․․․․․․․․․․․․․․․․․․․․․10
② 신장병증 (nephropathy) ․․․․․․․․․․․․․․․․․․․․․11
③ 신경병증 (neuropathy) ․․․․․․․․․․․․․․․․․․․․․14
3) 복합적 합병증
① 감염
② 피부병변
③ 당뇨병성 족부병변 (diabetic foot) ․․․․․․․․․․․․․․․․․․․․16
3. 고혈압의 치료 ․․․․․․․․․․․․․․․․․․․․18
① 당뇨병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2
②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 (hyperosmolar nonketotic coma) ․․․․․․․․․․․6
③ 저혈당 (hypoglycemia)
2. 만성 합병증 (Chronic complication)
1) 대혈관 장애 : 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8
① 관상동맥질환 및 심근병증 (coronary artery disease)
② 뇌혈관 질환 (cerebrovascular disease)
③ 기타 말초혈관질환 (peripheral vascular disease)
2) 소혈관 장애 : 3대 합병증 (triopathy)
① 망막병증 (retinopathy) ․․․․․․․․․․․․․․․․․․․․․10
② 신장병증 (nephropathy) ․․․․․․․․․․․․․․․․․․․․․11
③ 신경병증 (neuropathy) ․․․․․․․․․․․․․․․․․․․․․14
3) 복합적 합병증
① 감염
② 피부병변
③ 당뇨병성 족부병변 (diabetic foot) ․․․․․․․․․․․․․․․․․․․․16
3. 고혈압의 치료 ․․․․․․․․․․․․․․․․․․․․18
본문내용
당뇨병이 동반되면 훨씬 증가한다. 실제로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은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 거의 2배에 달한다.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은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인 당뇨병성 망막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즉 확장기 및 수축기 혈압과 비증식성 및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사이에 관련성이 존재한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 알부민뇨의 발생과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과 진행을 촉질할 수 있다. 더욱이 고혈압의 효과적인 조절은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1) 병태생리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의 병인과 혈압강하제의 약리 작용에 대한 이해는 합리적인 치료의 선택에 도움을 준다.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을 일으키는 2가지의 일관된 기전은 말초 저항성 증가와 혈장 용적의 팽창이다.
말초 혈관 저항성의 증가와 안지오텐신 Ⅱ 및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혈관 작용 물질에 대한 혈관 수축반응의 항진은 당뇨병성 고혈압 병태에서 주된 기전으로 생각된다. 특히 혈관 작용물질에 대한 혈압 반응의 증가는 혈압이 정상이거나 경도의 고혈압이 있고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에서도 관찰되므로, 당뇨병에서 고혈압 발생 기전에 혈관 반응성의 항진이 주된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2) 비약물 치료
다음과 같은 원칙이 적용된다.
① 비만은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및 이상지질혈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체중 감소는 고혈압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비약물요법이 된다.
② 운동과 알코올 섭취 제한은 고혈압 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비약물요법이다. 많은 환 자에서 무증상의 허혈성 심질환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운동전에 전문가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③ 흡연은 허혈성 심질환의 중요한 위험 인자이므로 당뇨병과 고혈압을 동반한 환자는 반드시 금연하도록 한다.
④ 고혈압을 가진 당뇨병 환자는 염분에 예민성이 있으므로 염분 제한은 매우 유용한다.
3) 약물 치료
심혈관계 위험 인자로 고혈압과 당뇨병의 상승적 효과를 고려하여 수축기 확장기 혈압을 130/85mmHg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약물요법으로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높은 정상 범위(130-139/85-89mmHg) 혈압에서도 약물 치료가 추천된다.
① 부작용
혈압 강하제 투여에 의한 부작용은 당뇨병 환자에서 더 자주 관찰된다. 당뇨병 환자는 압수용기 예민도의 감소 및 기립성 저혈압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혈압강하제 투여에 대한 부적절한 기립성 혈압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경험한 환자는 기립 후 즉시, 기립 후 1분, 그리고 보행 중 혈압을 측정한다.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면 기립시의 혈압을 치료 목표로 고려한다.
비약물 치료
·이상 체중으로 체중 감소
·가능한 하루 8g에 가깝게 염분 제한
·섬유소, 칼륨 및 칼슘이 충분한 식이
·금연
·하루 알코올 섭취양은 60cc 미만으로
·유산소 운동
혈압 ≤130/85mmHg로 조절되면
비약물 요법 계속
혈압 ≥130/85mmHg로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 추가
1차 혈압강하제의 단독 혹은 병용요법
·소량의 이뇨제
·칼슘 길항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혹은 안 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특히 알 부민뇨가 있을 때)
1차 혈압강하제의 병용요법으로 조절되 지 않으면 2차 혈압강하제 추가
2차 혈압강하제
·베타 차단제
(심근경색증후에는 1차 혈압강하제)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예;clonidine)
·Labetalol (알파,베타 차단제)
그림1.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 치료
② 티아자이드 이뇨제
티아자이드 이뇨제는 고혈압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서 효과적인 혈압강하제다. 그러나 여러 가지 대사이상, 즉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요산혈증, 고칼슘혈증,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 등을 일으킨다. 혈청 칼륨과 마그네슘의 감소는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부정맥을 일으키고, 말초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③ 베타 차단제
교감신경 자극제에 대한 수용체에는 α수용체, β수용체가 있으며 β수용체에는 β1, β2가 있다. β1은 심박수, 심수축력 증가 등의 심자극 작용, lipidysis, 장운동억제 등에 관여하며 β2 수용체 자극은 혈관확장, 기관지 확장등의 평활근 이완작용과 glycogenolysis를 나타낸다.
베타 차단제는 심근경색증후가 있는 환자에게 1차 혈압강하제, 심근경색 증후가 없는 환자에게는 2차 혈압 강하제로 쓰인다.
단점 - 말초 혈류 저하, 인슐린 저항성 악화, 인슐린 분비 감소, 지질대사 이상
④ 칼슘 통로 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칼슘 통로 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대사성 부작용이 없어 당뇨병 환자에서 유용한 1차 혈압강하제이다. 이 약제는 신장과 다른 중요한 기관의 혈류량을 개선시킨다. 칼슘 통로 차단제는 협심증을 동반한 당뇨병성 고혈압 환자에게 유용하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특히 조기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 도움이 된다. 최근 연구에서 당뇨병성 신증환자에서 특이한 신장 보호작용이 알려졌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칼슘통로 차단제의 병합요법은 단백뇨를 더욱 감소시키고, 신병증의 형태적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칼슘길항제 단점 - 심부전과 중대한 전도장애에서 verapamil과 diltiazem 사용 금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 고칼륨혈증 및 신혈관 협착시 신기능 약화, 마른 기침
⑤ 알파 아드레날린 차단제
알파 아드레날린 차단제 prazosin과 doxazosin은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유용한 1차 혈압강하제이다. 인슐린 작용과 지질대사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성기능 장애도 일으키지 않는다. 약제 사용시 체액 저류 현상이 나타나며, 소량의 이뇨제 병용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단점 - 기립성 저혈압과 관련(특히 초기 용량에서)
Reference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내분비학 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p430-446, 1998
2. 김영설·김진우·최영길 : 당뇨병 치료의 최신지견, 도서출판 한의학, pp115-285, 1999
3. 이향련·서문자·이정희 외 : 성인간호학, 수문사 pp1171-1200, 2000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은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인 당뇨병성 망막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즉 확장기 및 수축기 혈압과 비증식성 및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사이에 관련성이 존재한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 알부민뇨의 발생과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과 진행을 촉질할 수 있다. 더욱이 고혈압의 효과적인 조절은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1) 병태생리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의 병인과 혈압강하제의 약리 작용에 대한 이해는 합리적인 치료의 선택에 도움을 준다.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을 일으키는 2가지의 일관된 기전은 말초 저항성 증가와 혈장 용적의 팽창이다.
말초 혈관 저항성의 증가와 안지오텐신 Ⅱ 및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혈관 작용 물질에 대한 혈관 수축반응의 항진은 당뇨병성 고혈압 병태에서 주된 기전으로 생각된다. 특히 혈관 작용물질에 대한 혈압 반응의 증가는 혈압이 정상이거나 경도의 고혈압이 있고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에서도 관찰되므로, 당뇨병에서 고혈압 발생 기전에 혈관 반응성의 항진이 주된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2) 비약물 치료
다음과 같은 원칙이 적용된다.
① 비만은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및 이상지질혈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체중 감소는 고혈압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비약물요법이 된다.
② 운동과 알코올 섭취 제한은 고혈압 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비약물요법이다. 많은 환 자에서 무증상의 허혈성 심질환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운동전에 전문가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③ 흡연은 허혈성 심질환의 중요한 위험 인자이므로 당뇨병과 고혈압을 동반한 환자는 반드시 금연하도록 한다.
④ 고혈압을 가진 당뇨병 환자는 염분에 예민성이 있으므로 염분 제한은 매우 유용한다.
3) 약물 치료
심혈관계 위험 인자로 고혈압과 당뇨병의 상승적 효과를 고려하여 수축기 확장기 혈압을 130/85mmHg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약물요법으로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높은 정상 범위(130-139/85-89mmHg) 혈압에서도 약물 치료가 추천된다.
① 부작용
혈압 강하제 투여에 의한 부작용은 당뇨병 환자에서 더 자주 관찰된다. 당뇨병 환자는 압수용기 예민도의 감소 및 기립성 저혈압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혈압강하제 투여에 대한 부적절한 기립성 혈압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경험한 환자는 기립 후 즉시, 기립 후 1분, 그리고 보행 중 혈압을 측정한다.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면 기립시의 혈압을 치료 목표로 고려한다.
비약물 치료
·이상 체중으로 체중 감소
·가능한 하루 8g에 가깝게 염분 제한
·섬유소, 칼륨 및 칼슘이 충분한 식이
·금연
·하루 알코올 섭취양은 60cc 미만으로
·유산소 운동
혈압 ≤130/85mmHg로 조절되면
비약물 요법 계속
혈압 ≥130/85mmHg로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 추가
1차 혈압강하제의 단독 혹은 병용요법
·소량의 이뇨제
·칼슘 길항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혹은 안 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특히 알 부민뇨가 있을 때)
1차 혈압강하제의 병용요법으로 조절되 지 않으면 2차 혈압강하제 추가
2차 혈압강하제
·베타 차단제
(심근경색증후에는 1차 혈압강하제)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예;clonidine)
·Labetalol (알파,베타 차단제)
그림1.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 치료
② 티아자이드 이뇨제
티아자이드 이뇨제는 고혈압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서 효과적인 혈압강하제다. 그러나 여러 가지 대사이상, 즉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요산혈증, 고칼슘혈증,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 등을 일으킨다. 혈청 칼륨과 마그네슘의 감소는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부정맥을 일으키고, 말초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③ 베타 차단제
교감신경 자극제에 대한 수용체에는 α수용체, β수용체가 있으며 β수용체에는 β1, β2가 있다. β1은 심박수, 심수축력 증가 등의 심자극 작용, lipidysis, 장운동억제 등에 관여하며 β2 수용체 자극은 혈관확장, 기관지 확장등의 평활근 이완작용과 glycogenolysis를 나타낸다.
베타 차단제는 심근경색증후가 있는 환자에게 1차 혈압강하제, 심근경색 증후가 없는 환자에게는 2차 혈압 강하제로 쓰인다.
단점 - 말초 혈류 저하, 인슐린 저항성 악화, 인슐린 분비 감소, 지질대사 이상
④ 칼슘 통로 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칼슘 통로 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대사성 부작용이 없어 당뇨병 환자에서 유용한 1차 혈압강하제이다. 이 약제는 신장과 다른 중요한 기관의 혈류량을 개선시킨다. 칼슘 통로 차단제는 협심증을 동반한 당뇨병성 고혈압 환자에게 유용하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특히 조기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 도움이 된다. 최근 연구에서 당뇨병성 신증환자에서 특이한 신장 보호작용이 알려졌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칼슘통로 차단제의 병합요법은 단백뇨를 더욱 감소시키고, 신병증의 형태적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칼슘길항제 단점 - 심부전과 중대한 전도장애에서 verapamil과 diltiazem 사용 금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 고칼륨혈증 및 신혈관 협착시 신기능 약화, 마른 기침
⑤ 알파 아드레날린 차단제
알파 아드레날린 차단제 prazosin과 doxazosin은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유용한 1차 혈압강하제이다. 인슐린 작용과 지질대사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성기능 장애도 일으키지 않는다. 약제 사용시 체액 저류 현상이 나타나며, 소량의 이뇨제 병용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단점 - 기립성 저혈압과 관련(특히 초기 용량에서)
Reference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내분비학 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p430-446, 1998
2. 김영설·김진우·최영길 : 당뇨병 치료의 최신지견, 도서출판 한의학, pp115-285, 1999
3. 이향련·서문자·이정희 외 : 성인간호학, 수문사 pp1171-120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