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창초적 글쓰기
II.인터뷰 후기
II.인터뷰 후기
본문내용
다. 현대인들은 어렸을때 어머니를 혼자 소유 했던 것처럼 자신이 현재 좋아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혼자만 소유하려하고 그사람과 자신을 일치시키려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현대인의 소유욕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유래된 것이라니 정말 놀랍습니다.
지금까지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한가지만 묻겠습니다.
Q:지금까지의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다소 미흡한 적이 없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심도 있게 질문하려한 노력이 보입니다.
하지만 실패는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듯이 지금과 같이 꾸준히 노력한다면 무한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과찬의 말씀을 해주시니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인터뷰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제게 해주신 충고 겸허히 받아들여 후에 더욱더 성숙한 모습으로 찾아 뵙겠 습니다.
II.인터뷰 후기
무엇보다도 내게 어떤 강렬한 느낌을 준 대목은 프로이트가 자신의 꿈의해석 방법에 대한 소신을 논하는 부분인데 그 부분은 다음과 같다.
‘나는 여기서 꿈의 해석에 관해서 말해두어야 할 몇가지를 적어두고자 한다.
자신의 꿈이 아무 노력없이 해석되리라고 기대해서는 안될것이다. 내적인 여러 현상이나 보통은 주의하지 않는 다른 여러 감각을 지각하는 데에 이들 지각의 무리에 대해서 아무런 심적 동기의 저항이 없더라도 연습은 역시 필요하다. 소위‘원치않는 표상’을 포착하는 것은 그보다 훨씬 어렵다. 이것을 붙잡으려고 하는 살마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북돋워지는 기대를 품고 덤비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여기에 주어진 법칙을 지켜 일체의 비판,선입견,감정적 혹은 지적인 당파심을 분석중에는 억누르도록 명심해야 한다.‘
이부분에서 나는 나의 삶의 맥락에서 쉽게 놓칠수 있는 부분을 감지 했는데, 그 부분은 바로 가끔 아무 노력없이 대가없이 어떤 결과를 바라는 나자신의 안일한 태도에 대한 반성이다.
나는 이러한 잊었던 삶의 이러한 맥락의 발견을 통해 현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며 그 어떤 극렬한 고통 없이 찬란한 미래를 바랬던 내가 정말 어리석었구나 하는 깊은 삶의 반성을 하게되었다.
또한 프로이트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것이 단지 꿈의해석에 관한 단순한 학설은 아니란 생각을 문득 하게되었다.
프로이트가 진정으로 바랬던 것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억압된 욕망의 분출구인 꿈의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닌 꿈(여기서 말하는 꿈은 미래에 대한 소망)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하길 바랬던건 아닌가 생각한다.
현대인의 소유욕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유래된 것이라니 정말 놀랍습니다.
지금까지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한가지만 묻겠습니다.
Q:지금까지의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다소 미흡한 적이 없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심도 있게 질문하려한 노력이 보입니다.
하지만 실패는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듯이 지금과 같이 꾸준히 노력한다면 무한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과찬의 말씀을 해주시니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인터뷰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제게 해주신 충고 겸허히 받아들여 후에 더욱더 성숙한 모습으로 찾아 뵙겠 습니다.
II.인터뷰 후기
무엇보다도 내게 어떤 강렬한 느낌을 준 대목은 프로이트가 자신의 꿈의해석 방법에 대한 소신을 논하는 부분인데 그 부분은 다음과 같다.
‘나는 여기서 꿈의 해석에 관해서 말해두어야 할 몇가지를 적어두고자 한다.
자신의 꿈이 아무 노력없이 해석되리라고 기대해서는 안될것이다. 내적인 여러 현상이나 보통은 주의하지 않는 다른 여러 감각을 지각하는 데에 이들 지각의 무리에 대해서 아무런 심적 동기의 저항이 없더라도 연습은 역시 필요하다. 소위‘원치않는 표상’을 포착하는 것은 그보다 훨씬 어렵다. 이것을 붙잡으려고 하는 살마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북돋워지는 기대를 품고 덤비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여기에 주어진 법칙을 지켜 일체의 비판,선입견,감정적 혹은 지적인 당파심을 분석중에는 억누르도록 명심해야 한다.‘
이부분에서 나는 나의 삶의 맥락에서 쉽게 놓칠수 있는 부분을 감지 했는데, 그 부분은 바로 가끔 아무 노력없이 대가없이 어떤 결과를 바라는 나자신의 안일한 태도에 대한 반성이다.
나는 이러한 잊었던 삶의 이러한 맥락의 발견을 통해 현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며 그 어떤 극렬한 고통 없이 찬란한 미래를 바랬던 내가 정말 어리석었구나 하는 깊은 삶의 반성을 하게되었다.
또한 프로이트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것이 단지 꿈의해석에 관한 단순한 학설은 아니란 생각을 문득 하게되었다.
프로이트가 진정으로 바랬던 것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억압된 욕망의 분출구인 꿈의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닌 꿈(여기서 말하는 꿈은 미래에 대한 소망)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하길 바랬던건 아닌가 생각한다.
추천자료
[독후감]철제계단이 있는 천변풍경(동거문제) 독서감상문
[독후감]'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독서감상문
[독후감]'조선왕독살사건' 독서감상문
더불어 숲 독서감상
[독서감상문] 블루오션전략을 읽고 -경영서적-
[독서감상문]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를 읽고 - 현재의 나와 이책, 나에게 전달해주는 메...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 독서 감상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으로 바라본 덱스터
카프카의 변신 감상문
대한민국10대매너백서 줄거리 및 감상문
청소부밥 줄거리 및 감상문
민주주의와교육 줄거리 및 감상문
[음악 감상문] 음악회 감상문
갈매기의 꿈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