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화해와 협력시대에 있어 시민단체의 역할 및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한국 시민단체의 핵심

3. 한국의 시민단체의 활동 현황

4. 남북 교류현황과 시민단체(NGO)의 대북지원
1) 인적 교류
2) 사회문화 협력 사업
3) 민간차원의 대북지원 사업

5. 남북화해와 협력시대에 있어 시민단체 활동
1) 진보적 통일운동 지향형
2) 대북지원형: 남북나눔운동
3) 혼합형: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Korean Sharing Movement)

6. 남남화합을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과 전망

7. 남북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과 전망

8.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다.
) http://acdpu.go.kr/new/302-3-2.htm
일곱째 시민단체들간의 네트워크(Network)를 형성해야 된다. 이는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활동하는 NGO들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북한에 대한 정보 교환은 물론 활동방식에 대한 상호 인식 공유가 필요하다. 특히 해외NGO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하여 지원방식에 대한 것은 물론 북한의 인권문제 등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 대하여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민단체의 역할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 정부는 더욱 적극적 차원에서 시민단체의 활동을 지원해야 된다. 과거와 같이 단체를 친정부화시켜 정부의 정책에 대한 정당성 확보만 주력하거나 또는 대리자 역할을 수행토록 하기보다는 정부와 선의의 정책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시민단체에 대한 인식 전환이 있어야 된다. 아직도 통일 또는 대북관련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의 인식은 빈약하다. 대북사업이나 통일문제에 있어 정부와 시민단체는 상호 역할 정립이 있어야 된다.
아직도 정부의 대북사업 지원이 일부 단체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민간단체 활동 지원에 있어 소극적이다.
) 이용선, 위의 글, 31쪽.
또한 정부의 통일정책 수립에 있어 시민단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 또는 실무위원회는 관리들에 의하여 독점되어 시민단체들의 참여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민간인들이 참여할 구조로 전환되어야 한다.
8. 결 론
지금까지 남북화해와 협력시대에 있어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민단체는 지금과 같은 남북화해 시대가 도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남북관계 개선이 정부나 또는 어느 한 단체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시민단체들은 어느 때보다 남북관계 개선에 적극적이었으며, 최근 남북관계 개선은 이런 성과물이기도 하다.
남북관계 개선에 있어 시민단체의 역할은 일반적인 역할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시민단체는 일반적으로 감시자와 참여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시민단체의 기본적 역할은 참여자이기보다는 감시자이지만 그러나 남북화합에 있어 시민단체는 참여자로서의 역할이 더욱 되고 있다.
앞으로 남북관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국민적 합의와 지지를 이끌어내야 되며, 이를 위해서 남한 사회내에서 대북정책에 대한 갈등, 사회내에 내재되어 있는 제반 문제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함으로서 남남화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남북관계개선은 북한이나 미국 등 강대국이 아닌 우리 자신에 의한 동력이 내부로부터 나와야 되며, 이는 남남간의 갈등이 해소되고 나아가 남북갈등 해소에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남북관계 개선은 시대적 흐름이기에 이를 우리는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된다. 남북관계 개선이 특정 정파나 특정 정치지도자의 독점물이 될 수 없으며, 또한 되어서도 안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광범위한 시민의 참여가 필요한 것이다. 이는 시민단체의 의하여 주도되어야 한다. 시민단체는 남북관계 개선이 민족의 염원인 통일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출발점이라는 인식 하에 정부와 경쟁자 때로는 협력자의 입장에서 남북화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해야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식, 『NGO 시민사회단체, 21세기의 희망인가』.서울: 동명사,1999.
김영래, 『이익집단정치와 이익갈등』, 서울: 한울,1997.
----, "비정부조직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연구」제4호(1998).
----, "NGO와 정부와의 상호작용 연구," 「국제정치논총」제39집3호(1999).
김창희, 「북한정치사회의 이해」. 서울:법문사, 2000.
김혁래, "한국의 시민사회와 비정부단체(NGO) 연구: 현황 및 발전전략,"『동서연구』9.(1997).
서경석, "한국에서의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단체의 역할," 「민주주의 포럼 제1차 국제회의자료집」, 서울: 세종연구소,1999.
시민의 신문사, 「민간단체총람 2000」, 1999.
------ , 「'97한국민간단체 총람」,1997.
박상필, 「NGO와 현대사회」. 서울.아르케, 2001.
박원순,「 NGO: 세계를 바꾸는 시민사회」.서울: 예당,1999.
박재영,「 국제기구정치론」.서울: 법문사,1998
박한식, 「북한의 실상과 전망」,서울: 동화연구소, 1991.
백영철, 「분단을 넘어 통일을 항해」.서울: 건국대 출판ㅂ, 2000.
양성철, 「북한정치연구」.서울: 박영사,1993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창립4주년 활동자료집』,2000.
유팔무·김호기 (편),『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서울: 한울,1996.
이신행 외 공저. 「시민사회운동」.서울: 법문사, 1999.
주성수.「시민사회와 제3섹터」. 서울: 한양대 출판부,1999.
통일교육원. 『통일의 이해』.2001.
통일부. 『2001 통일백서』,2001.
Cleary, Seamus. 1997. The Role of NGOs under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New York: St.Martins Press.
Macdonald, Laura.1997. Supporting Civil Society: The Political Rol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Central America. New York: St. Martin's Press.
Salamon, Lester M. 1994. "The Rise of Nonprofit Sector," Foreign Affairs, Vol 74 No.4.
_____ 1995. Partners in Public Service: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Salamon, Lester M., and Helmut K. Anheier. 1994. The Emerging Sector:An Overview.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추천자료

  • 가격2,7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1.19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