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시민단체 분석 - 한국여성단체연합] 개념, 역할과 기능, NGO(시민단체) 주요사업, NGO(시민단체) 업무, NGO(시민단체), 결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 시민단체 분석 - 한국여성단체연합] 개념, 역할과 기능, NGO(시민단체) 주요사업, NGO(시민단체) 업무, NGO(시민단체), 결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여성단체연합이란?
1) 단체의 소개
2) 단체의 창립 과정
3) 단체의 상징
4) 단체의 구성

2.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중요운동흐름
1) 교류 협력 활동
2) 법, 제도 개선 운동
3) 통일, 평화 운동
4) 민주화운동

3.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주요활동분야
1) 풀뿌리 여성운동 확산
2) 3.8 한국여성대회

4. 관련 시사점

5. 느낀점

6. 자료 출처

본문내용

바라지는 않는다. 미래의 인력을 위한 출산 장려 정책이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복지와 연계되어 많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장 내 성차별을 줄이기 위해 국가 측에서 회사에 적절한 보상을 해 주는 방법이 현명할 것이다.
따라서 군 가산점제을 시행한다면 차별당하는 층이 없게 모두가 형평성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적절한 부가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여성에게 적절한 출산 휴가와 재복직, 재취업 시 가산점을 시행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성별 비율을 최대한 맞출 수 있는 쪽으로 고용을 유도하고 정부의 시책대로 시행하는 기업에는 이에 상응하는 지원금을 통해 전체적인 업무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군 가산점제를 받을 수 없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인고용촉진법이라는 다른 세부 조항을 통해 그 차별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이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더욱 확대하여 업종을 늘리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여성연합은 군 가산점제를 마냥 반대하며 철폐를 주장할 것이 아니라 여성의 권리를 찾을 수 있는 제도와 병행하여 함께 시행하는 방향으로 운동을 해나간다면 남성연대의 의견에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 합의점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5. 느낀점
기말 발표와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여성연합이 무엇을 하는지, 어떤 단체인지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중, 고등학교 때 양성평등에 대한 내용을 교과서에서 배울 때는 사회의 성차별에 대해 실감하지 못했었는데 직접 여성단체의 활동 사례나 통계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정말 바꿔나가야 할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여성권한척도를 접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
세계 여성권한척도는 UNDP(유엔개발계획)가 발표하는 여성권한척도로 정치, 경제 분야의 중요한 정책결정의 행사에서 여성의 참여 정도를 지표화한 것이다. 2007년의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는 93개국 중 64위로 2006년에 비해 11단계 하락하였으며 이는 하위그룹에 속하는 결과이다. 이 자료는 여성의원비율, 여성행정관리직, 여성전문기술직, 그리고 남녀소득비의 하위개념을 가지는데 우리나라는 특히 남녀소득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여자들이 그만큼 일자리를 많이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점과 일을 해도 남자보다 더 적은 임금으로 노동한다는 뜻이어서 차별이 있음을 확실이 느낄 수 있었다.
앞서 군 가산점제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여성들의 일자리에 대한 복지 정책이 꼭 개선되어야 함을 느꼈었다. 과거에는 남자만 공부하고 일자리를 가지는 것이 당연시되었지만 남녀평등의 시대가 열리면서 여성의 사회 진출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의 가부장적인 사고방식은 더 이상 구식에 지나지 않는다. 이번에 우리나라 최초로 여성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여자도 사회 어느 곳에서든 자신의 능력을 다 할 자세와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남성을 이기기 위해 여성의 권리를 신장시키자는 의견은 아니다. 그렇게 되면 남성연대에서 주장하는 역차별의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전통적인 성역할에서의 남성주의를 주장하는 통념이 아직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서 여성운동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여성운동의 정신이 여자만이 아닌 그리고 남자만이 아닌 남녀 모두 공동의 참여를 이끄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도 장차 사회인이 될 성인으로서 내가 어느 곳에 그동안 배운 것들을 쓸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아야겠다. 이런 인터넷 조사를 할 때마다 적재적소에서 자신의 견해를 내세우고 다른 이들과 교류하는 새로운 단체나 사람들을 알게 된다. 그럴 때마다 나는 내가 관심이 없던 분야인데, 자신들이 추구하는 것을 위해 단결하여 행동하는 사람들도 있구나 하면서 놀라게 된다. 이번 여성연합을 접하면서도 그랬다. 나는 매년 3월 8일에 한국여성대회라는 행사가 있는 것조차 모르고 있었는데, 벌써 많은 사람들은 이 대회에 참여하고 캠페인에도 동참하며 사회 여러 이슈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2012년 지난 3월, 이 행사를 위해 서울광장에 모인 2000여 명의 참가자들을 기사 사진을 통해 봤을 때 정말 신기했다.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면서 내가 배우는 전공에 집중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겠지만, 다른 사람들은 더 넓은 사회에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또 내가 참여하거나 도울 수 있는 것은 없는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겠다. 신문기사나 블로그, 통계청 자료 등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복잡하기도 했지만 한 단체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막연하게만 알고 있던 NGO 단체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6. 자료 출처
- 한국여성단체연합 http://www.women21.or.kr/main2.php
- 한국여성대회 http://38women.co.kr/
-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 카페 & 블로그 http://blog.naver.com/1004need?Redirect=Log&logNo=40116901775
http://blog.naver.com/wntjrskfk?Redirect=Log&logNo=50018347485
http://blog.naver.com/weeklypass?Redirect=Log&logNo=120175529609
http://blog.naver.com/sbh5304?Redirect=Log&logNo=20093175239
http://blog.daum.net/grasswomen/5
- 뉴스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34737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876896
-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http://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C%97%AC%EC%84%B1%EB%8B%A8%EC%B2%B4%EC%97%B0%ED%95%A9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4.12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3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