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감상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간과 사회: 함께 살아가는 법

2. 사회생활을 위한 개인의 합리적 원천들

3. 사회생활을 위한 개인의 종교적 원천들

4. 여러 민족의 도덕성

5. 특권계급의 윤리적 태도

6.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윤리적 태도

7. 혁명을 통한 정의

8. 정치적 힘에 의한 정의

9.정치에서의 도덕적 제 가치의 보존

10.개인의 도덕과 사회의 도덕 사이의 갈등

- 나의 견해 -

본문내용

력하는 도덕적 존재라고 하더라도 그 개인이 사회 속으로 들어갔을 때에는 자신의 지위와 안위를 위해 비도덕적인 상태로 변화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인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회에서 개인일 때는 도덕적 일 지라도 사회에 속하면 비도덕적으로 된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였다. 결국 인간은 비도덕적 인간이며 죄인일 수 밖에 없고 인간은 타락적 세상 속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니버는 비도덕적 사회가 도덕적인 사회가 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의 끊임없는 도덕적 이상의 추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개인의 엄격한 도덕적 훈련이 적당한 정치적 전략이 있다고 해서 필요 없는 것은 아니다. 개인들이 공동체 생활을 할 경우도 개인적 도덕규범을 지켜야 할 경우가 많다. 자신들이 속한 집단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갈 시에는 경우에 따라서 그 집단을 벗어남으로써 자신들의 개인적 이상을 지켜야 할 것이다. 니버가 말하는 개인의 이상주의 사회의 이익을 벗어나는 그 무엇도 다 포함되는 듯하다. 이러한 개인의 이성과 윤리적 측면이 사회와 마주 쳤을 시 개인 자신의 이상을 추구할 수 없다고 니버는 말한다.
개인도덕과 사회도덕 사이는 불가피하게 부조화와 충돌을 피할 길이 없다. 개인의 도덕과 사회적인 도덕이 양립하는 방향에서 상호 조화를 이루며, 인간의 도덕적인 노력을 강조하며 정치적으로도 그에 합당하게 노력을 해야 한다. 모순관계인 듯 하지만 내 생각에 이것은 희망이란 단어가 인간에게 주어지고 은혜라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생각된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고 더욱 좋은 가치들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