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수익구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네이버는 돈을 벌 수 밖에 없다.참 대단하다는 말 밖에 할 수 없다.

2) 쇼핑몰 운영자는 네이버의 봉이 될 수 밖에 없다. -- 물건 하나 팔아서 7000원 마진 남지 않으면 키워드 광고하지마라 !!즉, 판매가 7000원 이하면 아예 키워드 광고 꿈도 꾸지 말란 말씀이다.

3) 네이버가 이야기하는 "세부 키워드"는 광고주에게도 도움이 되지만 네이버에게도 돈이 되는 발상이다.교모한 속임수 같다는 생각이 든다.

본문내용

이버가 주장하는 세부키워드. 옳바른 의도이다.세부키워드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이런 것이다.이효리가 네이버 검색창에 "등산화"라고 쳤다.이때, 이효리는 과연 왜 등산화라고 쳤을까?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을 수 있다.1) 등산화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찾기위해 - 물론 이런 경우가 있을까? 그런데 어려운 단어에서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2) 등산화에 어떤 브랜드가 있는지 궁금해서3) 등산화를 구매하기 위해서등등 수많은 경우가 있을 것이다.이번엔 김태희가 "마인들 등산화 노르딕 타이거"라고 쳤다.자 이 경우,김태희는 분명 저 등산화가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리고 이것을 구매하기 위해서 키워드를 쳤을 가능성이 이효리 보다 훠~~~얼씬 높다.이때,
등산화 == 대표키워드마인들 등산화 노르딕 타이거 == 세부 키워드(확장 키워드)라고 한다.보통 대표 키워드의 경우, CPC 가격이 비싸다. 왜냐?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쳐보니까.하지만 세부 키워드는 사람들이 쳐 보는 횟수가 작다. 그만큼 70원일 가능성이 크다.자 그럼 답이 나왔다.답은 대표 키워드를 구매하는 것보다, 세부 키워드를 아주 많이 구매하는 것이 쇼핑몰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1.2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