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증인의 소송법상 의무
III. 증인의 소송법상 권리
IV. 증언거부권의 행사와 제314조의 관계
II. 증인의 소송법상 의무
III. 증인의 소송법상 권리
IV. 증언거부권의 행사와 제314조의 관계
본문내용
314조 소정의 “기타 사유로 인하여 진술할 수 없는 때”로 보아 전문법칙의 예외로서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2. 판례의 태도
(判) (참고인 조서 작성 후, 증인으로 출석하여 증언을 거부한 사안에서) 제314조는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 진술을 요할 자가 사망, 질병 기타 사유로 인하여 진술을 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조서 또는 서류를 증거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서 “기타사유로 진술 할 수 없는 때”에는 법정에 출석한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행사하여 증언을 거절한 때도 포함된다[92도1244].
3. 학설의 태도
(1) 판례에 찬성하는 견해
제314조는 서증의 증거능력을 지나치게 제한하여 확실한 범죄인을 처벌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규정이라는 견해이다.
(2) 판례에 반대하는 견해(多)
전문법칙의 예외규정은 가능한 한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하므로, 출석한 증인의 진술거부는 제314조의 “기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4. 검토
정당한 이유없이 증언을 거부한 경우에는 별도의 제재규정(제161조)이 마련되어 있는 바, 법 제314조의 적용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다. 판례에 반대하는 견해가 타당하다.
2. 판례의 태도
(判) (참고인 조서 작성 후, 증인으로 출석하여 증언을 거부한 사안에서) 제314조는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 진술을 요할 자가 사망, 질병 기타 사유로 인하여 진술을 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조서 또는 서류를 증거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서 “기타사유로 진술 할 수 없는 때”에는 법정에 출석한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행사하여 증언을 거절한 때도 포함된다[92도1244].
3. 학설의 태도
(1) 판례에 찬성하는 견해
제314조는 서증의 증거능력을 지나치게 제한하여 확실한 범죄인을 처벌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규정이라는 견해이다.
(2) 판례에 반대하는 견해(多)
전문법칙의 예외규정은 가능한 한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하므로, 출석한 증인의 진술거부는 제314조의 “기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4. 검토
정당한 이유없이 증언을 거부한 경우에는 별도의 제재규정(제161조)이 마련되어 있는 바, 법 제314조의 적용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다. 판례에 반대하는 견해가 타당하다.
추천자료
민법 권리금과 권리금계약
[청소년권리][청소년인권][청소년인권침해]청소년의 권리, 청소년인권의 개념, 청소년권리의 ...
아동권리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아동권리의 문제점을 정리해 보시오
우리나라에서 아동권리가 잘 이행되는 부분(긍정적인 면)과 아동권리가 잘 이행되지 않는 부...
아동권리의 각 유형에 대한 기본개념을 쓰고, 어린이집에서 아동권리를 존중할 수 있는 실천...
[아동안전관리]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의 4대 권리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
[아동복지 공통] 2.아동권리 이념의 발달과정을 기술하고, UN의 아동권리협약이 우리나라 아...
[아동복지론] 아동권리의 개념과 유형 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아동권리 존중의 실례...
<<아동복지>>UN의 아동권리협약의 개념을 기술하고, 이 협약이 세계 아동권리 향상에 미친 영...
상가권리금 : 상가권리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상가권리금의 결정을 미치는 요인 분석
아동복지론-아동의 기본권리와 기본원칙에 대해 설명하고 권리주체로서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
UN 아동권리협약의 4가지 권리 중 우리 주변에서 실천되지 않는 사례(개인 사례 기사내용 등)...
아동권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권리에 대한 국제협약 내용을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