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형 협심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안정형 협심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목적

(2) 본론
1. 응급 환자 상태 기록
2. 문헌고찰
3. 건강력
4. 응급 처치 및 간호사항
5. 응급환자 간호사례 보고서

(3) 결론
1. 총 평가
2. 참고문헌

본문내용

3~6시간에 오르기 시작, 12~24시간후 최고가 되고,
12~48시간에 정상으로 돌아온다.
- Glucose 증가: 당뇨병, 뇌졸중 후 심근경색, 급성열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위절제,
요독증, 췌장질환
감소; insulin 과잉분비, 뇌하수체 전엽 기능 저하증, 당뇨병치료제의 과잉투
여 등
- CK 증가: 3~6시간 후 상승하고 24시간 최고치 되다가 3일 후 정상으로 돌아옴.
뇌, 심근, 골격근의 괴사 및 손상 시 증가
3) 특수화학검사
특수화학검사
검사결과
정상수치
단위
Free T4
1.01
0.89-1.96
ng/dl
TSH
0.28
0.35-5.5
u/U/mL
4) Chest PA ; Fibnocalafied healed Tbc in BUL.
Otherwise, unremarkable.
5) Angio coronary Angiography(혈관조영관상동맥<양측>)
Rt.radial approach was done difficult d/t tortous subclavian artery.
RCA: Mid-diffuse 30~40% stenosis
Digital-focal 40% stenosis
2nd RV branch-OS focal 30-40% stenosis with TIMI 2 flow
LAD: Proximal-diffuse 30-40% stenosis
LCx: Proximal-segmental subtotal occlusion with TIMI 2 flow
(RD 1.91mm, MLD 0.19mm)
2.5×20mm sized balloon at two sites(Max 8atm)
residual 71% stenosis (RD 2.42mm, MLD 0.69mm)
2.75×33mm sized cypher select stent implantation(Max 14atm)
No residual stenosis
Clinical Dx. Unstable angina
Cath.Lab.Dx. 1 vs disease with successful PCI for p-LCx
Recommend: Medical follow up and consider follow up
CAG after 9 months
4. 응급처치 및 간호사항
환 자 문 제
응 급 처 치
응급처치의 원리
결 과
Chest pain
모니터, sedation, N/S 1ℓ/pack 30gtt (angio needle 18G)
Chest pain의 원인이 심장 쪽으로 의심이 되어 맥박, SPO2, EKG를 확인한다.
100/70-64-20-36.4-98%
EKG-normal.
Chest pain
Nitroglycerin 0.6mg/tab(설하투여)
Chest pain 통증 경감을 위하여 설하 투여 시 흡수가 빨라 통증을 빨리 가라앉힐 수 있다.
통증이 경감되었다함.
R/O unstable angina
Plavix 75mg/tab
Aspirin 100mg/tab(씹어서)
H2 200mg/a
Clexane 60mg/a
항응고제 및 항 혈소판 제제를 투여 함으로써 심근 경색을 예방할 수 있음.
100/70-68-20-36.5-99%
통증 호소하지 않음
R/O unstable angina
Aspirin 100mg/tab(씹어서)
혈소판 제제를 투여 함 으로써 심근 경색을 예방할 수 있음.
100/70-66-20-36.4-99%
통증호소하지 않음
5. 응급환자 간호사례 보고서
일 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7시 30분
주관적 자료:
- “가슴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 얼굴을 찌푸리고, 가슴을 감싼다.
가슴 통증과 관련된 맥박, 혈압, 심장 리듬의 불안정 가능성
맥박, 혈압, 심장 리듬의 변화를 확인 시 정상으로 나타난다.
- 혈압, 맥박, 호흡, 온도, EKG를 확인한다.
-V/S 측정 시 100/70 -64-20-36.4이었다.
혈압, 맥박, 호흡, 온도, EKG가 정상으로 측정되었다.
7시 35분
주관적 자료:
- “가슴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 얼굴을 찌푸리고, 가슴을 감싼다.
가슴이 죄이는 듯한 느낌과 관련된 통증
대상자는 통증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사용하여 통증을 경감시킨다.
Nitroglycerin 0.6mg/tab를 설하 투여하였다.
대상자는 통증이 없어졌다고 말했다.
7시 40분
주관적 자료:
- “저에게 큰 병이 있는 건가요?”
- “목이 타는데 물을 먹어도 되나요?”
객관적 자료: 불안한 듯 두 눈을 감고 있다.
통증과 관련된 심리적 불안감
대상자는 검사를 통해 자신의 질환을 알게 되고 치료 방법을 찾는 등 자신의 질환을 받아들인다.
- EKG, V/S, X-ray, MRI등의 결과를 통해 자신의 질환을 파악한다.
- 앞으로 추가로 진행될 검사에 대해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 EKG, V/S, X-ray, MRI 등의 결과 정상으로 나타났다고 말씀드렸다.
- 정밀한 검사를 위해 echo와 관상동맥 조영 술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통증 경감을 위해 침상 45도 올렸다.
- 대상자는 현재까지 진행된 검사에서 정상이라는 말에 안정된 것 같아보였지만, 앞으로 추가로 진행될 검사에 대해 불안해 보였다.
- 더 이상 통증은 없다고 말했다.
(3) 결론
1. 총 평가: 박**님은 가슴통증을 호소하시며 ER로 내원하여 R/O로 Unstable angina로서 V/S나 EKG, CT, X-ray 상에는 정상으로 나왔다. 혈액 검사에서 Lymphocyte, Neutrophil, MCH, WBC, MPV, 일반화학검사에서 CRP, CK-MB, Glucose, r-GT, CK가 abnormal로 나타났다. 이 검사 결과로 심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았으나 심장 초음파 검사 시 심장의 기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관상동맥 혈관 조영 술을 시행하였을 때 일부 관상동맥이 막힌 것으로 나타났다. Unstable angina에서 급성 심근 경색으로 진단되었고, CAG와 함께 PCI 수술을 받은 후 안정된 상태로 퇴원하였다.
2. 참고문헌: 전시자 외 제4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1992년
http://druginfo.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2.04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