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위험요소)
Ⅱ. 고혈압의 위험요인(위험요소)
Ⅲ. 심근경색증의 위험요인(위험요소)
1. 콜레스테롤
2. 흡연력
3. 고혈압의 과거력
4. 당뇨병의 과거력
5. 거주지
6. 음주력
7. 기타
Ⅳ. 비만의 위험요인(위험요소)
Ⅴ. 여성유방암의 위험요인(위험요소)
참고문헌
Ⅱ. 고혈압의 위험요인(위험요소)
Ⅲ. 심근경색증의 위험요인(위험요소)
1. 콜레스테롤
2. 흡연력
3. 고혈압의 과거력
4. 당뇨병의 과거력
5. 거주지
6. 음주력
7. 기타
Ⅳ. 비만의 위험요인(위험요소)
Ⅴ. 여성유방암의 위험요인(위험요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9점, 40-44세가 36.02±3.58점의 순으로 45-49세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2.66, P=0.033).
첫 출산연령은 출산을 처음 한 연령에 따라 35세 이상에서 첫 출산을 한 대상자 42.05±3.50점, 31-34세에 첫 출산을 경험한 38.04±3.62점, 27-30세에 첫 출산을 한 37.21±4.01점, 23-26세에 첫 출산을 한 36.45±2.76점, 19-22세에 첫 출산을 한 35.25±2.23점의 순으로 35세 이상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0.542, P=0.000).
출산횟수는 출산을 하지 않았던 대상자 42.75±3.82점, 출산을 1-2회 한 37.47±3.60점, 5회 출산 37.47±2.74점, 3회를 출산한 36.97±3.85점, 4회 출산 한 36.28±3.85점의 순으로, 출산을 하지 않았던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543, P=0.000).
수유기간은 모유를 먹인 기간에 따라 수유를 한 적이 없는 대상자 39.39±3.65점, 1-2개월을 수유한 37.41±3.18점, 12-24개월 36.78±4.19점, 3년 이상 수유를 한 35.97±3.59점, 24-36개월 수유한 35.63±4.39점으로서 수유를 하지 않았던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6.597, P=0.000).
가족력에서는 가족 관계에 따라 자매인 경우 42.22±4.56점, 어머니가 있는
대상자 41.81±3.33점,(외)할머니 39.77±39.77점,(외)사촌 및 이모의 가족력 38.32±2.80점, 가족력이 없는 36.56±3.20점의 순으로 자매의 가족력이 있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1.041, 0.000).
비만도는 25-30% 38.31±3.97점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30%이상 36.94±2.47점, 20-25% 36.82±3.52점, 20% 이하가 36.29±4.41점의 순으로 25-30%의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156 P= .015).
흡연기간은 7년 이상의 흡연 42.00±4.77점, 4-6년을 흡연한 40.75±4.47점, 1-3년을 흡연한 39.00±5.41점, 1년 이하 흡연을 한 38.00±.00점 흡연을 하지 않은 37.05±3.50점의 순으로 7년 이상을 흡연한 대상자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247, P= 0.000).
음주기간은 주 3회 술을 마신다 42.87±4.34점, 그 다음이 주 1-2회 마시는 42.50±4.43점, 가끔 마신다 41.33±4.56점, 월 1회 정도 마신다 38.13±3.40점, 전혀 마시지 않는다 36.15±3.27점의 순으로 주 3회 마시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21.942, P=0.000).
머리염색은 월 1회 염색을 한다 39.48±3.30점, 2-3개월에 1회 한다 38.74±3.97점, 4-5개월에 1회 한다 37.94±3.63점, 5개월 이상 1회 한다 37.33±2.52점, 염색을 하지 않는다 35.30±3.09점의 순으로 월 1회 염색을 하는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5.181, P=0.000).
과거운동습관은 운동을 하지 않는다 38.24±3.55점, 월 1-2회 운동을 한다 37.70±2.98점, 주 1-2회 정도 운동을 한다 37.20±2.98점, 주 2-3회 운동을 한다 35.23±2.57점, 운동을 매일 한다 33.27±3.75점의 순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672, P=0.000).
식이습관에서 육식은 1일에 2-3회 육식을 한다 38.56±3.69점, 1일에 1회 육식을 한다 38.50±4.05점, 주 2-3회 육식을 한다 37.38±3.61점, 주 1-2회 육식을 한다 35.25±3.43점, 월 2-3회 정도 육식을 한다 35.60±3.56점의 순으로 하루에 육식을 2-3회 하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나타내었다(F= 6.129 P= 0.000).
채식은 주 1-2회에 채식을 한다 44.50±3.53점, 주 2-3회 채식을 한다 39.22±6.34점, 하루 1회 채식을 한다 38.38±3.52점, 하루 2-3회 채식을 한다 37.27±3.72점의 순으로 주 1-2회 채식을 하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950, P=0.021).
5) 일반적 특성이 위험요인인 월경력, 산과력, 수유기간, 가족력 및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결혼상태, 월수입, 교육정도, 직업, 연령으로 산출되었고, 유방암 위험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과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별 중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가족력이 가장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방암 발생정도를 R= .481로서 23.1%의 설명력을 가질 수 있었다. 머리염색은 가족력 다음으로 유방암 발생의 위험요인에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음주기간 R=.690, 운동습관 R=.765, 육식 R=.813, 수유기간 R=.846, 비만도 R=.885, 흡연기간 R=.916, 폐경연령 R=.937, 첫 출산 연령 R=.957, 채식 R=.980, 출산횟수 R=.986의 순위로 모든 변인을 첨가하면 97.3%의 설명력을 갖게 된다.
참고문헌
* 김기식(2009), 새로이 대두되는 고혈압 위험 표식인자, 대한내과학회
* 김희순 외 4명(2011),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아동의 생행동적 특성과 비만 위험요인, 아동간호학회
* 문홍주(2006), 급성 심근경색증과 협심증의 위험인자들의 차이, 한림대학교
* 송희영 외 2명(2004), 재택진료 잠재적 이용자의 혈압 수준에 따른 뇌혈관 질환 위험요인 분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 서형석(2006), 일부 종합검진 수검자들의 고혈압 위험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 허혜경 외 2명(2005), 일 지역 여성의 유방암 위험요인과 유방암 조기검진 행위 분포, 여성건강간호학회
첫 출산연령은 출산을 처음 한 연령에 따라 35세 이상에서 첫 출산을 한 대상자 42.05±3.50점, 31-34세에 첫 출산을 경험한 38.04±3.62점, 27-30세에 첫 출산을 한 37.21±4.01점, 23-26세에 첫 출산을 한 36.45±2.76점, 19-22세에 첫 출산을 한 35.25±2.23점의 순으로 35세 이상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0.542, P=0.000).
출산횟수는 출산을 하지 않았던 대상자 42.75±3.82점, 출산을 1-2회 한 37.47±3.60점, 5회 출산 37.47±2.74점, 3회를 출산한 36.97±3.85점, 4회 출산 한 36.28±3.85점의 순으로, 출산을 하지 않았던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543, P=0.000).
수유기간은 모유를 먹인 기간에 따라 수유를 한 적이 없는 대상자 39.39±3.65점, 1-2개월을 수유한 37.41±3.18점, 12-24개월 36.78±4.19점, 3년 이상 수유를 한 35.97±3.59점, 24-36개월 수유한 35.63±4.39점으로서 수유를 하지 않았던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6.597, P=0.000).
가족력에서는 가족 관계에 따라 자매인 경우 42.22±4.56점, 어머니가 있는
대상자 41.81±3.33점,(외)할머니 39.77±39.77점,(외)사촌 및 이모의 가족력 38.32±2.80점, 가족력이 없는 36.56±3.20점의 순으로 자매의 가족력이 있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1.041, 0.000).
비만도는 25-30% 38.31±3.97점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30%이상 36.94±2.47점, 20-25% 36.82±3.52점, 20% 이하가 36.29±4.41점의 순으로 25-30%의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156 P= .015).
흡연기간은 7년 이상의 흡연 42.00±4.77점, 4-6년을 흡연한 40.75±4.47점, 1-3년을 흡연한 39.00±5.41점, 1년 이하 흡연을 한 38.00±.00점 흡연을 하지 않은 37.05±3.50점의 순으로 7년 이상을 흡연한 대상자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247, P= 0.000).
음주기간은 주 3회 술을 마신다 42.87±4.34점, 그 다음이 주 1-2회 마시는 42.50±4.43점, 가끔 마신다 41.33±4.56점, 월 1회 정도 마신다 38.13±3.40점, 전혀 마시지 않는다 36.15±3.27점의 순으로 주 3회 마시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21.942, P=0.000).
머리염색은 월 1회 염색을 한다 39.48±3.30점, 2-3개월에 1회 한다 38.74±3.97점, 4-5개월에 1회 한다 37.94±3.63점, 5개월 이상 1회 한다 37.33±2.52점, 염색을 하지 않는다 35.30±3.09점의 순으로 월 1회 염색을 하는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5.181, P=0.000).
과거운동습관은 운동을 하지 않는다 38.24±3.55점, 월 1-2회 운동을 한다 37.70±2.98점, 주 1-2회 정도 운동을 한다 37.20±2.98점, 주 2-3회 운동을 한다 35.23±2.57점, 운동을 매일 한다 33.27±3.75점의 순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672, P=0.000).
식이습관에서 육식은 1일에 2-3회 육식을 한다 38.56±3.69점, 1일에 1회 육식을 한다 38.50±4.05점, 주 2-3회 육식을 한다 37.38±3.61점, 주 1-2회 육식을 한다 35.25±3.43점, 월 2-3회 정도 육식을 한다 35.60±3.56점의 순으로 하루에 육식을 2-3회 하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나타내었다(F= 6.129 P= 0.000).
채식은 주 1-2회에 채식을 한다 44.50±3.53점, 주 2-3회 채식을 한다 39.22±6.34점, 하루 1회 채식을 한다 38.38±3.52점, 하루 2-3회 채식을 한다 37.27±3.72점의 순으로 주 1-2회 채식을 하는 대상자의 점수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950, P=0.021).
5) 일반적 특성이 위험요인인 월경력, 산과력, 수유기간, 가족력 및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결혼상태, 월수입, 교육정도, 직업, 연령으로 산출되었고, 유방암 위험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과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별 중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가족력이 가장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방암 발생정도를 R= .481로서 23.1%의 설명력을 가질 수 있었다. 머리염색은 가족력 다음으로 유방암 발생의 위험요인에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음주기간 R=.690, 운동습관 R=.765, 육식 R=.813, 수유기간 R=.846, 비만도 R=.885, 흡연기간 R=.916, 폐경연령 R=.937, 첫 출산 연령 R=.957, 채식 R=.980, 출산횟수 R=.986의 순위로 모든 변인을 첨가하면 97.3%의 설명력을 갖게 된다.
참고문헌
* 김기식(2009), 새로이 대두되는 고혈압 위험 표식인자, 대한내과학회
* 김희순 외 4명(2011),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아동의 생행동적 특성과 비만 위험요인, 아동간호학회
* 문홍주(2006), 급성 심근경색증과 협심증의 위험인자들의 차이, 한림대학교
* 송희영 외 2명(2004), 재택진료 잠재적 이용자의 혈압 수준에 따른 뇌혈관 질환 위험요인 분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 서형석(2006), 일부 종합검진 수검자들의 고혈압 위험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 허혜경 외 2명(2005), 일 지역 여성의 유방암 위험요인과 유방암 조기검진 행위 분포, 여성건강간호학회
추천자료
현대인의 건강위험요소
임상영양학-심장혈관계질환
뇌혈관사고, 뇌졸중
심근경색증 환자의 퇴원 후 간호
심장질환의 진단적검사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당남염, 심근경색증 환자 간호 사례보고서
심근경색증(MI) 케이스 스터디
AMI(acute myocardial infarction) ER case study 급성심근경색증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 심근경색증 우선순위 간호진단
[암간호] 위암 (암의 정의 및 발생률, 위의 위치와 구조, 위암의 정의 및 종류, 위암의 발생...
★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의 원인(요인)과 증상, 동맥경화증의 정의와 종류(분류), 동맥경화 ...
[간호학]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