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질환의 진단적검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질환의 진단적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간당 약 2~3cc의 속도로 IV pump를
통하여 주입되도록 함
* 동맥내압은 팔에서 측정하는 혈압보다 약 10mmHg 정도 높게 나옴
합병증
ㆍ출혈 (시스템의 연결부위가 빠져서)
ㆍ삽입부위의 혈종
ㆍ국소 또는 전신감염
ㆍ동맥색전 (카테터를 삽입한 말초동맥 부위)
간호
① 정보를 제공한 후 동의서를 받음
② 변환기는 심장 높이에 두고 연결튜브의 이상 유무와 실혈을 확인하고 튜브가
빠지거나 꼬이지 않도록 함
③ 검사를 통해서 동맥혈을 채혈할 때에는 three way 연결자를 이용함
④ 만약 요골동맥에 도관이 삽입되어 있으면 색깔, 온도, 모세혈관 충만, 말초감각 등
손가락의 순환상태와 신경상태를 2시간마다 관찰하도록 하고 카테터 삽입 부위의
발적이나 감염증상을 관찰하며 규정에 따라 드레싱
⑤ 동맥 내 도관을 통해 직접 동맥압을 측정할 때에도 간접 혈압측정법(팔에서 측정)을
실시해서 비교해 보아야 함
(2) 동맥내압 (Intra-arterial pressure)
정의
ㆍ폐수종의 주요 지표로 좌심방압을 반영하므로 간접적으로 좌심실 기능을 나타내 줌
ㆍ중환자실의 침상 옆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 할 수 있음
ㆍ심박출량 측정과 병행하면 심맥관 상태를 알 수 있으며 만약 심박출량이 적고
폐동맥 쐐기압이 20mmHg 이상이면 과심실 기능부전(승모판이 정상일 경우)을 의심
할 수 있음ㆍ폐동맥 쐐기압의 감소 : 저혈량증이나 후부하 감소에서 나타날 수 있음
* 정상치 : 4~12mmHg이며 18mmHg 초과 시 폐모세혈관 내의 혈액성분이 폐포 내
로 이동하여 폐울혈이 생기고 25~30mmHg 초과 시 폐수종이 발생
※ Swan-Ganz 도관 :4개의 관강(port)이 있음
- 첫 번째 관강 (우심방 관강) : 우심방에 도달하여 CVP를 측정, 수액을 주입
하며 혈액 채취를 위해 정맥에 접근
- 두 번째 관강 (폐동맥관강) : PA 평균압, PAWP 등을 측정
- 세 번째 관강 : 풍선 팽창용으로 풍선에 공기를 넣거나 빼는데 사용
- 네 번째 관강 : 온도감응 포트(thermistor port)로서 심박출량을 측정
ㆍ심전도 감시 하에 끝에 풍선이 달린 Swan-Ganz 도관 또는 풍선도관을 삽입
검사과정
도관
삽입
① 도관은 경피침을 이용하거나 또는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또는
상완정맥 등을 절개하여 삽입하면 대정맥을 지나 우심방을 향해 천천히 들어감
② 도관이 우심방으로 들어갈 때 풍선을 팽창시키면 도관은 혈액의 흐름에 따라
삼첨판을 통해 우심실, 폐동맥 혈관을 따라 흐르다가 마침내 폐동맥분지에
색전처럼 혈관을 막게 되고 풍선이 팽창되면 수초 동안 폐동맥 혈액의 흐름
이 차단됨 ; 폐동맥 쐐기압
③ 측정 후 즉시 풍선에서 공기를 빼내면 저절로 도관이 후진되어 다시 폐동맥
으로 돌아 나와 그곳에 머물면서 계속적으로 폐동맥압을 나타냄
압력
측정
ㆍ정기적으로 관찰되는 수치
- 폐동맥 수축기압 (pulmonary artery systolic pressure, PASP)
- 폐동맥 이완기압 (pulmonary artery diastolic pressure, PADP)
- 폐동맥 쐐기압(PAWP)과 심박출량
ㆍ폐동맥 수축기압 : 우심실의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나타냄
ㆍ폐동맥 이완기압 : 우심실의 충만압을 의미
⇒ 우심기능과 폐저항 평가, 폐기능 이상과 승모판막 협착이 없는 경우에 폐동
맥 쐐기압은 좌심방압과 좌심실 이완기말 충만압을 반영해 주는 지표가 되므
로 폐동맥 쐐기압을 통해좌심기능을 평가할 수 있음
합병증
ㆍ혈액역동검사는 침습적인 방법으로 도관 삽입부위 감염과 혈액감염의 위험이 동반됨
ㆍ검사로 인하여 심내막염, 풍선파열, 선의 잘목된 연결, 또는 부적절한 시술로 인한
공기색전증, 우심실로 후진하는 도관 끝의 심실 자극으로 인한 심실부정맥, 풍선의
과도한 팽창이나 도관 끝의 날카로움으로 인한 폐동맥 파열이 나타날 수 있음
ㆍPA도관의 삽입으로 생길 수 있는 합병증에는 폐동맥 경색, 폐동맥 색전증, 심방판막
의 손상, 심근손상 등이 있음, 또한 도관이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는 심장판막이 완전
하게 닫히지 않을 수 있음
간호
① 도관을 삽입하기 전에 환자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명해 줌
ㆍ과정이 불편할 수 있으나 아프지는 않다는 것
ㆍ도관 삽입 부위에는 국소마취를 한다는 것
⇒ 환자를 지지함으로써 협조를 얻을 수 있고 불안을 줄일 수 있음
② 헤파린 희석용액을 압력 하에 주입하여 도관이 막히지 않도록 함
③ 적절한 간격(보통 1~4시간마다)으로 우심방(RA) 압력, 폐동맥압(PAP), 폐동맥 쐐기
압(PAWP) 등을 측정하여 기록 - 이 압력의 동향은 치료에 지침을 제공함
④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변환기(transducer)는 우심방 높이에 있어야 하며 환자의
자세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⑤ 폐동맥 쐐기압(PAWP)을 측정하는 동안 환자는 주로 머리를 45° 정도 올린 앙와위
로 있거나 또는 옆으로 약간 돌린 앙와위를 유지함
⑦ 폐동맥 쐐기압(PAWP)을 측정한 후 풍선이 폐혈관의 분기점에 남아있다면 간호사
는 환자에게 기침을 하도록 하거나 자세를 바꾸도록 하여 도관의 위치가 옮겨지도록
시도하고 성공하지 못했다면 즉시 의사에게 알림
⑧ 도관부위는 폐쇄드레싱을 무균적으로 교환함
⑨ 삽입부위에 발적, 발열, 부종, 삼출물 등이 있는지 그리고 봉합이 완전한지 면밀하
게 관찰함
(3) 폐동맥 쐐기압 (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PAWP)
정의
ㆍ열 측정기가 달린 폐동맥 카테터를 사용하여 열 희석법으로 측정
검사과정
① 5~10mL의 생리식염수나 포도당 용액을 차게 하거나 또는 실온에서 카테터를 통해
우심방에 주입함
용액은 우심방에서 혈액과 혼합되고 심장 내로 흘러 들어감
② 카테터의 끝에 위치한 온도감지기가 찬 용액으로 인한 혈액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이 정보를 심박출량 컴퓨터에 전달하면 수치로 환산함
* 성인 심박출량의 정상범위는 4~8L/분
(4) 심박출량 (Cardiac output) 검사
◇ 참고문헌 ◇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2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2005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1.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