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검사] 당뇨병의 진단(당뇨병 요당검사, 혈당검사, 경구내당성검사, 당화혈색소 측정, C-펩타이드검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뇨병 검사] 당뇨병의 진단(당뇨병 요당검사, 혈당검사, 경구내당성검사, 당화혈색소 측정, C-펩타이드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당뇨병의 진단

I. 요당검사

II. 혈당검사

III. 경구 내당성 검사(OGTT)

IV. 당화혈색소 측정

V. C-펩타이드 검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색소 측정
표. 성인의 경구 대당성 검사에 의한 당뇨병 기준(WHO) : 포도당 75g 투여
당화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 Hb-Alc)는 혈중의 포도당이 비효소적 반응에 의해 헤모글로빈의 NH2기에 결합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그 수치는 헤모글로빈에 대한 Hb-Alc의 비율(%)로 표시한다.
정상인의 당화혈색소 양은 총 혈색소의 6.5-7.5%인데, 혈당이 높아지면 Hb-Alc 수치도 상승하게 되므로 당뇨병의 경우에는 총 혈색소에 대한 비율이 정상인보다 2배 정도인 11%로 증가된다. 또한 당화혈색소의 양은 혈당처럼 쉽게 변하지 않아서 검사 이전의 1-4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전반적 당뇨병 관리지표로 이용된다. 3-6개월에 한 번 정도 검사하는 것이 좋다.
그림 .정상인, 소아당뇨병 환자, 성인당뇨병 환자의 전형적인 포도당 내성곡선
V. C-펩타이드 검사
C-펩타이드(connecting peptide)는 인슐린이 프로인슐린(Proinsuhn)으로부터 분할될 때 생성되므로, C-펩타이드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면 당 섭취 후에 인슐린이 분비되는 시각과 양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당뇨병 관리에서 인슐린 투여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아는 데 도움을 준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