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상화의 개념
2. 사회적 역할 가치화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역할 가치화(S.R.V.)의 7가지 이론적 배경
(1) 무의식(Prevalence of Unconsciousness)의 의식화
(2) 일탈 극복을 위한 역할(Role in Deviancy-Unmaking)의 중요성
(3) 취약성(Vulnerability)의 예방
(4) 발달모델(Developmental Model)의 지향
(5) 긍정적 모방과 모델링(Imitation & Modeling)의 추구
(6) 이미지와 상징(Imagery & Symbolism)의 개선
(7)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
2. 사회적 역할 가치화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역할 가치화(S.R.V.)의 7가지 이론적 배경
(1) 무의식(Prevalence of Unconsciousness)의 의식화
(2) 일탈 극복을 위한 역할(Role in Deviancy-Unmaking)의 중요성
(3) 취약성(Vulnerability)의 예방
(4) 발달모델(Developmental Model)의 지향
(5) 긍정적 모방과 모델링(Imitation & Modeling)의 추구
(6) 이미지와 상징(Imagery & Symbolism)의 개선
(7)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
본문내용
거의 무의식으로 만들어지지만 개인의 역할 기대나 사회적 가치평가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가치절하를 받고 있는 특정 사람들에 대한 많은 이미지는 세대를 거쳐 전승되어왔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사람에 관한 이미지는 많은 매체를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치절하된 사람들과 관련된 곳에서, 특히 이들이 휴먼서비스의 수혜자인 경우에는 다음의 7가지 방식에 의해서 이미지는 영향을 받는다.
① 위치와 시설을 포함한 서비스 세팅
② 타인과 맺는 관계
③ 서비스에서 하는 활동과 리듬
④ 장애인들에게 부여되는 호칭과 꼬리표
⑤ 장애인들이 받는 서비스에 사용되는 명칭과 꼬리표
⑥ 개인적인 외모
⑦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금과 모금활동
이상의 내용들을 가치 절하된 사람들과 관련해서 볼 때 무의식적으로 실천하면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의식화된 상태에서 일을 해야한다. 바로 개인의 능력이 향상될수록 이미지는 향상되며 좋은 이미지를 가진 사람은 높거나 긍정적인 역할 기대를 받게 되며, 높은 역할 기대에 따른 능력향상의 기회 등 좋은 조건을 제공받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통해 이미지향상과 능력증진에 노력해야 한다.
(7)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
통합이란 정상적인 지역사회 안에서 한 개인이 가치 있는 방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인이란,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치가 절하된 사람들의 집단이 아닌 개인 그 자체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참여는 단지 해당 장소에 몸이 함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방식으로,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격리는 필연적으로 분리의 형태를 띄며 분리된 사람들은 푸대접을 받게 된다. 이런 푸대접을 방지하고 부정적인 이미지 양산을 막고 사회적인 역할의 교육을 위해서 사회 통합은 필요하다.
그렇지만 한 사람이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일원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기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장애인들이 여러 해 동안 혹은 때때로 전 생애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생활기술을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여타 지역사회로부터 소외된 채, 배운 기술을 실제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지 못한 채 살아간다면 지역사회 생활기술을 배우는 것은 통합에 아무런 의미를 주지 못하고 지역사회에 동화될 수 있는 자질이 길러지기를 끝없이 기다리는 ‘영원한 학생’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통합은 교육과 훈련의 과정이 참여의 과정과 동시에 일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함께 모아 놓고 이동의 자유, 일상 생활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선택 즉 기상 및 취침시간, 목욕시간 및 방법, 옷 고르기, 메뉴선택 등의 결정을 박탈해 버리는 것은 비인간호의 표본이며 권리의 발탁이다. 장애인도 사회로부터 소외된 인간으로서가 아니고 사회에 통합된 인간으로 어렸을 때부터 정상집단의 성원이 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듯 울픈스버거는 특히 지역사회와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물리적 통합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라고 했다.
통합이란 어떤 사회의 한 부분이 되며, 배제되지 않는 것이며, 다른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살며, 다른 사람들과 같은 수준에서, 불필요한 어떤 명칭이 붙여지지 않는 것이며, 비장애인 친구와 접촉할 수 있고, 그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들과 동일한 권리와 특권을 갖는다는 것이다. 또 통합이라는 말은 분리나 고립이라는 말과 반대가 되는 말이다. 그리고 이 통합이라는 말은 몰 개성화나 거부에 대한 반대의 개념이다.
사람에 관한 이미지는 많은 매체를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치절하된 사람들과 관련된 곳에서, 특히 이들이 휴먼서비스의 수혜자인 경우에는 다음의 7가지 방식에 의해서 이미지는 영향을 받는다.
① 위치와 시설을 포함한 서비스 세팅
② 타인과 맺는 관계
③ 서비스에서 하는 활동과 리듬
④ 장애인들에게 부여되는 호칭과 꼬리표
⑤ 장애인들이 받는 서비스에 사용되는 명칭과 꼬리표
⑥ 개인적인 외모
⑦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금과 모금활동
이상의 내용들을 가치 절하된 사람들과 관련해서 볼 때 무의식적으로 실천하면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의식화된 상태에서 일을 해야한다. 바로 개인의 능력이 향상될수록 이미지는 향상되며 좋은 이미지를 가진 사람은 높거나 긍정적인 역할 기대를 받게 되며, 높은 역할 기대에 따른 능력향상의 기회 등 좋은 조건을 제공받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통해 이미지향상과 능력증진에 노력해야 한다.
(7)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
통합이란 정상적인 지역사회 안에서 한 개인이 가치 있는 방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인이란,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치가 절하된 사람들의 집단이 아닌 개인 그 자체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참여는 단지 해당 장소에 몸이 함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방식으로,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격리는 필연적으로 분리의 형태를 띄며 분리된 사람들은 푸대접을 받게 된다. 이런 푸대접을 방지하고 부정적인 이미지 양산을 막고 사회적인 역할의 교육을 위해서 사회 통합은 필요하다.
그렇지만 한 사람이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일원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기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장애인들이 여러 해 동안 혹은 때때로 전 생애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생활기술을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여타 지역사회로부터 소외된 채, 배운 기술을 실제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지 못한 채 살아간다면 지역사회 생활기술을 배우는 것은 통합에 아무런 의미를 주지 못하고 지역사회에 동화될 수 있는 자질이 길러지기를 끝없이 기다리는 ‘영원한 학생’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통합은 교육과 훈련의 과정이 참여의 과정과 동시에 일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함께 모아 놓고 이동의 자유, 일상 생활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선택 즉 기상 및 취침시간, 목욕시간 및 방법, 옷 고르기, 메뉴선택 등의 결정을 박탈해 버리는 것은 비인간호의 표본이며 권리의 발탁이다. 장애인도 사회로부터 소외된 인간으로서가 아니고 사회에 통합된 인간으로 어렸을 때부터 정상집단의 성원이 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듯 울픈스버거는 특히 지역사회와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물리적 통합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라고 했다.
통합이란 어떤 사회의 한 부분이 되며, 배제되지 않는 것이며, 다른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살며, 다른 사람들과 같은 수준에서, 불필요한 어떤 명칭이 붙여지지 않는 것이며, 비장애인 친구와 접촉할 수 있고, 그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들과 동일한 권리와 특권을 갖는다는 것이다. 또 통합이라는 말은 분리나 고립이라는 말과 반대가 되는 말이다. 그리고 이 통합이라는 말은 몰 개성화나 거부에 대한 반대의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