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장애인의 성
1. 장애인의 성이란?
1) 장애유형별 성(性)
(1) 뇌성마비 장애인의 성
(2) 지적장애인들의 성
(3) 척추장애인들의 성
2) 장애인의 성 - 그들을 바라보는 도구
Ⅱ. 장애인의 성 : 현실의 벽(壁)
1. 장애인의 성 - 그 현실에 대하여
1) 장애인 성폭력 문제
(1) 여성장애인 성폭력 피해의 특성
(2) 여성장애인 성폭력 피해 실태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
2) 장애인의 성욕구와 해소방법
(1) 장애인의 성욕구 해결 실태
(2) 영화에 나타난 성욕구 해결의 사례
(3) 성욕구 해결문제 방안
2. 장애인의 성교육
1) 장애인 성교육의 문제점
2) 장애인 성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3) 장애여성을 위한 성교육
3. 장애인의 이성교재
1) 장애인이 말하는 이성교재
2) 장애인의 사랑을 다룬 영화들
4. 장애인의 결혼
1) 여성장애인의 결혼실태
2) 장애인의 결혼사례
5.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1) 장애인의 임신, 출산의 어려움
2)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제도적 장치
3)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 전담의료기관
Ⅲ. 장애인의 성 : 새로운 문(門)
1.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이란 무엇인가?
2.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을 이루기 위해
1. 장애인의 성이란?
1) 장애유형별 성(性)
(1) 뇌성마비 장애인의 성
(2) 지적장애인들의 성
(3) 척추장애인들의 성
2) 장애인의 성 - 그들을 바라보는 도구
Ⅱ. 장애인의 성 : 현실의 벽(壁)
1. 장애인의 성 - 그 현실에 대하여
1) 장애인 성폭력 문제
(1) 여성장애인 성폭력 피해의 특성
(2) 여성장애인 성폭력 피해 실태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
2) 장애인의 성욕구와 해소방법
(1) 장애인의 성욕구 해결 실태
(2) 영화에 나타난 성욕구 해결의 사례
(3) 성욕구 해결문제 방안
2. 장애인의 성교육
1) 장애인 성교육의 문제점
2) 장애인 성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3) 장애여성을 위한 성교육
3. 장애인의 이성교재
1) 장애인이 말하는 이성교재
2) 장애인의 사랑을 다룬 영화들
4. 장애인의 결혼
1) 여성장애인의 결혼실태
2) 장애인의 결혼사례
5.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1) 장애인의 임신, 출산의 어려움
2)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제도적 장치
3) 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 전담의료기관
Ⅲ. 장애인의 성 : 새로운 문(門)
1.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이란 무엇인가?
2.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을 이루기 위해
본문내용
회에서 그들만의 방법으로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문(門)이 필요한 것이다.
1.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이란 무엇인가?
뇌성마비 1급 장애 '핑크 스튜디오' 출간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장애인은 천사가 아닙니다. 우리는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욕망 을 가진 평범한 인간입니다. 우리에게도 이성을 만나고 섹스하고 사랑할 권리가 있습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한 시간씩 인터넷 방송국 '민중의 소리' 라디오 방송을 통해 흘러 나오는 조윤경(34)씨의 목소리는 어느 누구 못 지 않게 씩씩하고 활기차다. '조윤경의 장애인 푸른 아우성'은 뇌 성마비 1급 장애를 가진 조씨가 혼자서 대본을 쓰고 진행을 한다.
조씨가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주로 하는 이야기는 '장애인의 성과 사랑'이다. 다른 평범한 사람들이 하듯 성과 사랑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하다 보니 '핑크 스튜디오'라는 별명도 붙었다.
장애인도 다른 사람들처럼 사랑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아직도 장애인 화장실을 남여 공용으로 만들어 놓는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장애인도 성인이고 남자거나 여자인데 사회는 장애인이면 그저 장애인, 무성으로 대하잖아요. 이것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죠" 이런 문제의식으로 라디오 방송보다 먼저 시작한 것이 '장애인 푸른 아우성(장아성)'이라는 장애인 단체의 대표다.
인터넷 카페를 운영하며 여러 단체들에서 요청이 오는 대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는 것도 조씨의 일이다. 단체 이름에서 엿보이는 것처럼 성교육 전문 강사 구성애 씨와의 인연도 깊다. 장애인의 성에 대해 장애인인 자신보다 더 많은 고민과 열린 생각을 가진 구씨를 만난 것을 인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으로 꼽았다. 지금은 씩씩하고 당차기만 한 여자이자 엄마이지만, 조씨는 중증 장애를 안고 태어났고 여관방에 기거하는 가난과 자신을 돌보던 어머니의 병과 죽음도 겪었으며 자신과 같은 장애를 안고 태어난 큰 아들을 잃는 아픔도 이겨냈다.
또 특수학교를 박차고 나와 검정고시로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대학생이 되어 상담심리를 공부하고 있으며, 비장애인 남성과 사랑하고 결혼해서 아이를 낳아 키우는 평범하지 않은 사연으로 이미 방송 프로그램에 두 세 차례 출연해 유명세를 치렀다. 이번에 내놓은 책 '조윤경의 핑크 스튜디오'(일송북 펴냄)는 그 때 다 하지 못한 이야기와 방송 뒤의 이야기, 라디오 방송 이야기, 칼럼까지 묶었다. 오른손 집게손가락 하나로 타자를 치는 데만 6개월이 넘게 걸렸다. 조씨는 이 책을 통해 "장애인으로서 꿈꾸기 어려운 사랑과 결혼, 출산을 모두 겪어낸 나처럼 여러분도 마음껏 사랑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다"고 말했다.
⇒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이다. 비장애인이 원하는 성이 곧 장애인이 원하는 성이다. 사람들은 모두 밥을 먹는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수저로 먹는 방법도 있고, 또는 주사기를 통해 먹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밥을 먹는 방법이 아니라, 모두가 똑같은 밥을 먹고 있다는 그 사실이다. 성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누군가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처럼, 다른 누군가도 그와 조금은 다른 방법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 방법에 있어 그것을 탓하거나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장애인들이 보다 아름다운 사랑과 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장애인이 누리는 것과 동일한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과 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을 이루기 위해
장애인이 원하는 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나 이상적으로 많은 것들이 요구된다. 먼저 현실적으로 장애인의 사회생활과 성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인 차원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시설이 보다 세부적이며 구체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적으로 필요한 것은 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인식이다. 아직도 장애인을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점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인 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개선되었을 때 비로소 장애인이 원하는 성과 생활이 실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 장애인 스스로의 인식이 바뀌어야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콤플렉스로 생각하며 그것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자신을 부끄럽게 여기면 밖으로 나가는 일이 적어지고, 결국 자신만의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장애인의 성적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 있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며 당당한 성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장애인이 사회로 나오기 위해서는 그들 스스로의 인식이 바뀌어야 하며, 그러한 장애인이 많아지면 사회에서 장애인의 자리도 그 만큼 커지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보다 빨리 인식하고 그것을 개선함으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존하는,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및 출처
<참고문헌>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2002). 김창엽 외. (주)도서출판 삼인.
장애여성의 삶과 복지(2007). 공미혜 김경화 김현지 주경미. 도서출판 신정.
<인터넷 자료>
http://www.jausung.org/http://www.988-7373.net
http://blog.naver.com/maingate1?Redirect=Log&logNo=90002519261
http://blog.daum.net/illicitlove/6269105
http://blog.naver.com/qinghua_77?Redirect=Log&logNo=10004518915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위드뉴스 http://www.withnews.com/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
1.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이란 무엇인가?
뇌성마비 1급 장애 '핑크 스튜디오' 출간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장애인은 천사가 아닙니다. 우리는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욕망 을 가진 평범한 인간입니다. 우리에게도 이성을 만나고 섹스하고 사랑할 권리가 있습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한 시간씩 인터넷 방송국 '민중의 소리' 라디오 방송을 통해 흘러 나오는 조윤경(34)씨의 목소리는 어느 누구 못 지 않게 씩씩하고 활기차다. '조윤경의 장애인 푸른 아우성'은 뇌 성마비 1급 장애를 가진 조씨가 혼자서 대본을 쓰고 진행을 한다.
조씨가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주로 하는 이야기는 '장애인의 성과 사랑'이다. 다른 평범한 사람들이 하듯 성과 사랑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하다 보니 '핑크 스튜디오'라는 별명도 붙었다.
장애인도 다른 사람들처럼 사랑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아직도 장애인 화장실을 남여 공용으로 만들어 놓는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장애인도 성인이고 남자거나 여자인데 사회는 장애인이면 그저 장애인, 무성으로 대하잖아요. 이것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죠" 이런 문제의식으로 라디오 방송보다 먼저 시작한 것이 '장애인 푸른 아우성(장아성)'이라는 장애인 단체의 대표다.
인터넷 카페를 운영하며 여러 단체들에서 요청이 오는 대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는 것도 조씨의 일이다. 단체 이름에서 엿보이는 것처럼 성교육 전문 강사 구성애 씨와의 인연도 깊다. 장애인의 성에 대해 장애인인 자신보다 더 많은 고민과 열린 생각을 가진 구씨를 만난 것을 인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으로 꼽았다. 지금은 씩씩하고 당차기만 한 여자이자 엄마이지만, 조씨는 중증 장애를 안고 태어났고 여관방에 기거하는 가난과 자신을 돌보던 어머니의 병과 죽음도 겪었으며 자신과 같은 장애를 안고 태어난 큰 아들을 잃는 아픔도 이겨냈다.
또 특수학교를 박차고 나와 검정고시로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대학생이 되어 상담심리를 공부하고 있으며, 비장애인 남성과 사랑하고 결혼해서 아이를 낳아 키우는 평범하지 않은 사연으로 이미 방송 프로그램에 두 세 차례 출연해 유명세를 치렀다. 이번에 내놓은 책 '조윤경의 핑크 스튜디오'(일송북 펴냄)는 그 때 다 하지 못한 이야기와 방송 뒤의 이야기, 라디오 방송 이야기, 칼럼까지 묶었다. 오른손 집게손가락 하나로 타자를 치는 데만 6개월이 넘게 걸렸다. 조씨는 이 책을 통해 "장애인으로서 꿈꾸기 어려운 사랑과 결혼, 출산을 모두 겪어낸 나처럼 여러분도 마음껏 사랑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다"고 말했다.
⇒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이다. 비장애인이 원하는 성이 곧 장애인이 원하는 성이다. 사람들은 모두 밥을 먹는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수저로 먹는 방법도 있고, 또는 주사기를 통해 먹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밥을 먹는 방법이 아니라, 모두가 똑같은 밥을 먹고 있다는 그 사실이다. 성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누군가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처럼, 다른 누군가도 그와 조금은 다른 방법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 방법에 있어 그것을 탓하거나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장애인들이 보다 아름다운 사랑과 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장애인이 누리는 것과 동일한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과 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 장애인, 그들이 원하는 성을 이루기 위해
장애인이 원하는 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나 이상적으로 많은 것들이 요구된다. 먼저 현실적으로 장애인의 사회생활과 성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인 차원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시설이 보다 세부적이며 구체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적으로 필요한 것은 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인식이다. 아직도 장애인을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점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인 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개선되었을 때 비로소 장애인이 원하는 성과 생활이 실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 장애인 스스로의 인식이 바뀌어야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콤플렉스로 생각하며 그것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자신을 부끄럽게 여기면 밖으로 나가는 일이 적어지고, 결국 자신만의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장애인의 성적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 있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며 당당한 성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장애인이 사회로 나오기 위해서는 그들 스스로의 인식이 바뀌어야 하며, 그러한 장애인이 많아지면 사회에서 장애인의 자리도 그 만큼 커지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보다 빨리 인식하고 그것을 개선함으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존하는,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및 출처
<참고문헌>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2002). 김창엽 외. (주)도서출판 삼인.
장애여성의 삶과 복지(2007). 공미혜 김경화 김현지 주경미. 도서출판 신정.
<인터넷 자료>
http://www.jausung.org/http://www.988-7373.net
http://blog.naver.com/maingate1?Redirect=Log&logNo=90002519261
http://blog.daum.net/illicitlove/6269105
http://blog.naver.com/qinghua_77?Redirect=Log&logNo=10004518915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위드뉴스 http://www.withnews.com/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
추천자료
[장애인복지론]여성장애인에 대한 연구
■■ (장애인복지) 장애인 고용제도 및 시책의 변천 그리고 전망과 과제■■
여성 장애인 성폭행에 대한 장애인복지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장애인의 정의와 분류 및 장애인복지 실태와 프로그램 분석
[장애인복지] 장애인 의무 고용제도의 이해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07년 최신 레포트)
장애인문제와 자립에 대한 과제 및 장애인복지의 개선방안
한국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과 새로운 방향 설정 보고서 - 장애인의 개념과 유형, ...
내부기관 장애의 경제적 어려움 (장애인복지론: [또 다른 장애를 가진 그들 내부기관 장애인...
[사회복지행정론] 기관 분석 - 판암사회복지관 & 익산시 장애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실천현장 중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고 사회복지사로...
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와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고 사회복지사로서 역할...
[사회복지실천현장 중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고 사회복지사로...
자신이 장애인복지를 실천하는 전문가라고 가정하고 한 시점의 생애주기 가정하에 장애인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