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론] 기관 분석 - 판암사회복지관 & 익산시 장애인종합복지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행정론] 기관 분석 - 판암사회복지관 & 익산시 장애인종합복지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판암사회복지관

1. 설립목적
2. 미션
3. 비전
4. 조직목표
5. 개인 소견


익산시 장애인종합복지관

1. 설립목적
2. 미션
3. 비전
4. 조직목표
5. 개인 소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기타 치료사가 32명이 치료를 담당하여 치료인원수가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재활프로그램의 경우 2007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평가의 경우 2004년부터 현재까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인원은 큰 폭의 변화는 없으나 2008년 이후 정체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담은 2004년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참여 인원은 초기에 비해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상담자의 부재로 인한 문제와 더불어 지역상담기관의 활성화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추후지도와 자문활용에 있어서도 2007년도 이후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복지관으로서의 책무성을 다하려는 조직 구성원의 노력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특히 익산시 장애인복지관의 조직원들의 역할인식과 사례관리자들의 책무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등이 이러한 결과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익산시 장애인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복지관 자체적으로 VMI와 SMS-SA 그리고 SMS-SQ를 통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익산시 장애인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질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며 또한 프로그램 계획과 운영 모두 적절하다는 점을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개선방안으로서 향후 프로그램의 객관적인 매뉴얼이 시급하다고 보며, 장애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회기가 지금의 1년을 2년과 3년으로 정하여 치료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익산시 장애인복지관 운영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을 제고함으로서, 지역자원연계망 구축을 위한 기반 확장과 장애인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장애인들의 인식 고양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범수(2005).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학현사.
김영환(2009). 장애인 복지관 이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범(2007). 장애인복지관 역할의 변화방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판암사회복지관, http://www.panam.or.kr/xe/
익산시 장애인복지관, http://www.iksanjb.or.kr/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31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0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