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p. 3
1. RISC란 무엇인가? --------------------------------p. 3
2. RISC의 특징 -----------------------------p. 3
3. RISC의 장점 -------------------------------- p. 4
Ⅱ.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p. 5
1. CISC란 무엇인가? ----------------------------- p. 5
2. CISC의 특징 ---------------------------------- p. 5
3. CISC의 장점 --------------------------- p. 6
Ⅲ. 앞으로의 전망-------------------------------------------- p. 6
Ⅳ. 참고사이트 ---------------------------------------------- p. 7
1. RISC란 무엇인가? --------------------------------p. 3
2. RISC의 특징 -----------------------------p. 3
3. RISC의 장점 -------------------------------- p. 4
Ⅱ.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p. 5
1. CISC란 무엇인가? ----------------------------- p. 5
2. CISC의 특징 ---------------------------------- p. 5
3. CISC의 장점 --------------------------- p. 6
Ⅲ. 앞으로의 전망-------------------------------------------- p. 6
Ⅳ. 참고사이트 ---------------------------------------------- p. 7
본문내용
후에 CISC 제조사들도 자신들의 제품에 RISC 디자인의 원칙들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펜티엄 4라든지 옵테론과 같은 CISC 프로세서들은 복잡한 지시들을 간단한 RISC 스타일로 바꾸어 주고 있다. 그리고 나면 강력한 RISC 스타일의 엔진을 이용해서 마이크로오퍼레이션 명령(micro-ops)를 실행시킨다. 또한 RISC 프로세서들이 64비트 프로세싱 파워시대를 연지 약 10년 후에 최초의 64비트짜리 x86 프로세서도 나타났다.
이제 컴퓨터 업계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그동안 클럭 주파수 속도는 급격하게 떨어졌으며 메모리 액세스 시간도 수백 배로 증가했다. 파워 버짓(power budget)과 그에 따른 온도 문제도 점점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들은 지금이야말로 RISC 디자인이 다시 한 번 컴퓨팅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썬에서는 이 RISC 프로세서 디자인의 새로운 시대를 래디컬 CMT(chip multithreading)라고 명명했다. 래디컬 CMT 프로세서란 지금의 듀얼 코어나 대칭적 멀티쓰레딩 디자인과는 차원이 다르다. 래디컬 CMT 디자인은 생소하고 아직 불분명한 용도를 위해 기존의 기술을 어설프게 수정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목표로 한 정보 처리량을 성취하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2-4개의 쓰레드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30개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래디컬 CMT 디자인은 새로운 코어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게 되며, 특정 클래스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쓰레드당 성능을 정확히 제공하도록 재단될 것이다. 또한 각 코어는 쓰레드간 스위치를 잘 실행하도록 설계돼, 하나의 쓰레드가 캐시 부적중(cache miss)이나 잘못된 분기예측(branch misprediction)으로 멈출 경우에도 코어 실행에 이상이 없도록 다른 쓰레드가 동원된다.
결국 래디컬 CMT는 일반 프로세서에 도입될 것이며 이 과정에도 약 10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일반 프로세서에서 래디컬 CMT를 채택할 때쯤이면 RISC 프로세서는 다시 한 번 프로세서 디자인을 바꿔 놓을 준비가 돼있을 것이다.
Ⅳ.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 ‘RISC의 정의‘
http://www.zdnet.co.kr/itbiz/column/hotissue/0,39030451,39131658,00.htm
http://blog.naver.com/nsesibong?Redirect=Log&logNo=60032815239
http://blog.naver.com/sabasin1004?Redirect=Log&logNo=80017350772
http://blog.naver.com/rooyoungsoo?Redirect=Log&logNo=17209777
http://lanian.tistory.com/tag/CISC
http://eecs.tistory.com/143
http://nearfri.egloos.com/1621691
이제 컴퓨터 업계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그동안 클럭 주파수 속도는 급격하게 떨어졌으며 메모리 액세스 시간도 수백 배로 증가했다. 파워 버짓(power budget)과 그에 따른 온도 문제도 점점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들은 지금이야말로 RISC 디자인이 다시 한 번 컴퓨팅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썬에서는 이 RISC 프로세서 디자인의 새로운 시대를 래디컬 CMT(chip multithreading)라고 명명했다. 래디컬 CMT 프로세서란 지금의 듀얼 코어나 대칭적 멀티쓰레딩 디자인과는 차원이 다르다. 래디컬 CMT 디자인은 생소하고 아직 불분명한 용도를 위해 기존의 기술을 어설프게 수정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목표로 한 정보 처리량을 성취하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2-4개의 쓰레드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30개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래디컬 CMT 디자인은 새로운 코어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게 되며, 특정 클래스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쓰레드당 성능을 정확히 제공하도록 재단될 것이다. 또한 각 코어는 쓰레드간 스위치를 잘 실행하도록 설계돼, 하나의 쓰레드가 캐시 부적중(cache miss)이나 잘못된 분기예측(branch misprediction)으로 멈출 경우에도 코어 실행에 이상이 없도록 다른 쓰레드가 동원된다.
결국 래디컬 CMT는 일반 프로세서에 도입될 것이며 이 과정에도 약 10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일반 프로세서에서 래디컬 CMT를 채택할 때쯤이면 RISC 프로세서는 다시 한 번 프로세서 디자인을 바꿔 놓을 준비가 돼있을 것이다.
Ⅳ.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 ‘RISC의 정의‘
http://www.zdnet.co.kr/itbiz/column/hotissue/0,39030451,39131658,00.htm
http://blog.naver.com/nsesibong?Redirect=Log&logNo=60032815239
http://blog.naver.com/sabasin1004?Redirect=Log&logNo=80017350772
http://blog.naver.com/rooyoungsoo?Redirect=Log&logNo=17209777
http://lanian.tistory.com/tag/CISC
http://eecs.tistory.com/143
http://nearfri.egloos.com/16216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