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사례연구 기록지
1. 대상자 사정 ...................................... 1
2. 자료 분석 ......................................... 4
Ⅱ. 정신간호 사정 도구 ........................... 6
Ⅲ. 간호 과정
1. 자료 분석 ........................................ 14
2. 간호 진단 ........................................ 15
3. 간호 계획 ........................................ 15
4. 간호 평가 ........................................ 16
* 참고문헌
Ⅰ. 사례연구 기록지
1. 대상자 사정 ...................................... 1
2. 자료 분석 ......................................... 4
Ⅱ. 정신간호 사정 도구 ........................... 6
Ⅲ. 간호 과정
1. 자료 분석 ........................................ 14
2. 간호 진단 ........................................ 15
3. 간호 계획 ........................................ 15
4. 간호 평가 ........................................ 16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걸었다”
ㆍ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는데 말을 천천히 하고 다른 내용을 말함.
ㆍ사고가 추상적이고 일관적이지 못함
· 망상에 대해 이야기함
(난 연예인이 될꺼다. 난 너무 멋있는거 같다. 난 초능력이 있다. 내 여자친구는 김태희다. 등)
· 주의가 산만하고 계속 돌아다니며 한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함.
· 지남력 장애(날짜, 요일을 모름.)
ㆍSchizophrenia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화장실을 잘 못 가서 답답한 것 같아요”
“원래 볼일을 잘 못 봐요”
ㆍ배변 횟수가 1/2~3day임
ㆍ수분 섭취가 하루 물 2잔(약 200ml)로 적음
· 복부팽만이 있음
· 식욕부진을 보임
ㆍSchizophrenia
ㆍSeroquel, Proimer약물 복용 - 부작용 : 변비
수분섭취 부족 및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2. 간호 진단
번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날짜
서명
# 1
2008. 10. 16
개인의 가치체계 혼란과 관련된 불이행
미해결
SN
# 2
2008. 10. 16
학령기 외상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미해결
SN
# 3
2008. 10. 16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미해결
SN
# 4
2008. 10. 16
수분섭취 부족 및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미해결
SN
진단
목적/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 1 개인의 가치체계 혼란과 관련된 불이행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약물의 효능을 알고 복용의 중요성,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1-① 약물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1-② 환자 개인의 학습양상에 맞는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함께 학습 목표를 정한다.
1-③ 환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확인한다.
1-④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작용을 설명한다.
1-⑤ 약물요법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정 농도가 유지되어야 효과가 지속되며 내성이 생기지 않는 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꾸준히 투약할 시 재발의 위험이 줄어듦을 설명한다.
- 투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의존 증상이나, 반동 작용으로 인해 더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한다.
1-⑥ 약물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설명한다.
- 두통, 무력증, 복통, 기립성 저혈압, 빈맥, 변비, 구강건조, 소화불량, 졸음, 어지러움, 불안, 발진, 피부건조, 지각이상, 운동이상, 연하장애, 배뇨곤란, 보행장애 등
ㆍ대상자의 학습능력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학습전략은 학습효과 증진에 기여한다.
ㆍ약물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용량을 투여해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 2 학령기 외상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분노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표출한다.
2. 대상자는 자신의 분노를 조절한다.
1-①대상자의 행동의 동기에 대해 확인한다.
1-②대상자와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하고 관계 형성한다.
1-③환경 내에 안전위험요소를 규명하여 없앤다.
1-④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를 제공한다.
(펀칭 백, 점토 만들기, 잡지에 글 쓰기)
2-①환자가 충동이 일어날 때 간호제공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격려한다.
2-②대상자가 폭력 행동시 미리 결정해 놓은 규칙대로 다루도록 약속한다.
2-③적절한 분노표현에 대해 재강화를 제공한다.
2-④충동적 행동 증가시 환자를 좀 더 보호적인 환경에 둔다(보호실)
· 대상자의 분노를 다른 방법으로 분출시키는 것은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할 위험을 떨어뜨린다.
# 3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사고 장애가 더 나빠지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사고 장애를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1-① 대상자의 사고 과정을 사정한다.
1-② 대상자를 간호 할 때마다 간단하고 쉽게 설명한다.
1-③ 대상자가 개인 적인 조용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스케줄을 잡는다.
1-④ 대상자와 함께 하루 일과표를 작성하고, 대상자가 잘 보이는 곳에 붙여 확인하도록 한다.
1-⑤ 대상자가 스스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 인내심을 가지고 행동한다.
- 새로운 기술이나 행동은 조금씩 반복하여 익히도록 한다.
1-⑥ 대상자의 기억력은 대부분 온전하므로 가족과 대상자와 함께 친숙한 사건을 이야기하거나 나누도록 격려한다.
1-⑦ 대상자가 생활하는 환경의 안전 관리법에 대하여 가족을 교육한다.
ㆍ대상자의 개인적인 시간을 통해 스스로를 안정시키고, 환경에 적응 할 수 있다,
ㆍ새로운 기술을 너무 많이 가르치거나 강요하면 달성하지 못함에 대한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ㆍ가족들과 친숙한 사건을 이야기 하면서 기억력과 사고 과정을 증진 시킬 수 있다.
ㆍ대상자의 환경이 자극적이거나, 위험한 환경은 사고 과정에 자극을 줄 수 있다.
3. 간호 계획
4. 간호 평가
일시
진 단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2008.
10. 31
# 1 개인의 가치체계 혼란과 관련된 불이행
I
1-①,②,③,④,⑤,⑥ 수행함
SN
E
ㆍ대상자는 이제 약을 꾸준히 먹겠다고 말함
ㆍ가족들은 약물의 부작용을 3가지 이상 말함.
2008.
10. 31
# 2 학령기 외상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I
1-①,②,③,④ 수행함
2-①,②,③,④ 수행함
SN
E
· 대상자의 분노를 그림그리기와, 점토놀이로 표현함.
· 대상자는 여전히 타인에게 폭력을 휘두려는 태도를 보임(주먹을 쥐고 힘을 겨룸)
2008.
10. 31
# 3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I
1-①,②,③,④,⑤,⑥,⑦ 수행함
SN
E
ㆍ질문에 연관성이 작은 내용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줄어듬
ㆍ추상적으로 두루뭉수리하게 말하는 것은 나아지지 않음
· 계속해서 망상을 이야기함
※ 참고 문헌
김명애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이경순 외(2000).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도복늠 외(2004). 최신 정신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도복늠 외(2004).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정담미디어.
김강미자 외(2005).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ㆍ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는데 말을 천천히 하고 다른 내용을 말함.
ㆍ사고가 추상적이고 일관적이지 못함
· 망상에 대해 이야기함
(난 연예인이 될꺼다. 난 너무 멋있는거 같다. 난 초능력이 있다. 내 여자친구는 김태희다. 등)
· 주의가 산만하고 계속 돌아다니며 한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함.
· 지남력 장애(날짜, 요일을 모름.)
ㆍSchizophrenia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화장실을 잘 못 가서 답답한 것 같아요”
“원래 볼일을 잘 못 봐요”
ㆍ배변 횟수가 1/2~3day임
ㆍ수분 섭취가 하루 물 2잔(약 200ml)로 적음
· 복부팽만이 있음
· 식욕부진을 보임
ㆍSchizophrenia
ㆍSeroquel, Proimer약물 복용 - 부작용 : 변비
수분섭취 부족 및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2. 간호 진단
번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날짜
서명
# 1
2008. 10. 16
개인의 가치체계 혼란과 관련된 불이행
미해결
SN
# 2
2008. 10. 16
학령기 외상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미해결
SN
# 3
2008. 10. 16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미해결
SN
# 4
2008. 10. 16
수분섭취 부족 및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미해결
SN
진단
목적/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 1 개인의 가치체계 혼란과 관련된 불이행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약물의 효능을 알고 복용의 중요성,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1-① 약물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1-② 환자 개인의 학습양상에 맞는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함께 학습 목표를 정한다.
1-③ 환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확인한다.
1-④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작용을 설명한다.
1-⑤ 약물요법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정 농도가 유지되어야 효과가 지속되며 내성이 생기지 않는 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꾸준히 투약할 시 재발의 위험이 줄어듦을 설명한다.
- 투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의존 증상이나, 반동 작용으로 인해 더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한다.
1-⑥ 약물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설명한다.
- 두통, 무력증, 복통, 기립성 저혈압, 빈맥, 변비, 구강건조, 소화불량, 졸음, 어지러움, 불안, 발진, 피부건조, 지각이상, 운동이상, 연하장애, 배뇨곤란, 보행장애 등
ㆍ대상자의 학습능력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학습전략은 학습효과 증진에 기여한다.
ㆍ약물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용량을 투여해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 2 학령기 외상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분노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표출한다.
2. 대상자는 자신의 분노를 조절한다.
1-①대상자의 행동의 동기에 대해 확인한다.
1-②대상자와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하고 관계 형성한다.
1-③환경 내에 안전위험요소를 규명하여 없앤다.
1-④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를 제공한다.
(펀칭 백, 점토 만들기, 잡지에 글 쓰기)
2-①환자가 충동이 일어날 때 간호제공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격려한다.
2-②대상자가 폭력 행동시 미리 결정해 놓은 규칙대로 다루도록 약속한다.
2-③적절한 분노표현에 대해 재강화를 제공한다.
2-④충동적 행동 증가시 환자를 좀 더 보호적인 환경에 둔다(보호실)
· 대상자의 분노를 다른 방법으로 분출시키는 것은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할 위험을 떨어뜨린다.
# 3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사고 장애가 더 나빠지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사고 장애를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1-① 대상자의 사고 과정을 사정한다.
1-② 대상자를 간호 할 때마다 간단하고 쉽게 설명한다.
1-③ 대상자가 개인 적인 조용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스케줄을 잡는다.
1-④ 대상자와 함께 하루 일과표를 작성하고, 대상자가 잘 보이는 곳에 붙여 확인하도록 한다.
1-⑤ 대상자가 스스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 인내심을 가지고 행동한다.
- 새로운 기술이나 행동은 조금씩 반복하여 익히도록 한다.
1-⑥ 대상자의 기억력은 대부분 온전하므로 가족과 대상자와 함께 친숙한 사건을 이야기하거나 나누도록 격려한다.
1-⑦ 대상자가 생활하는 환경의 안전 관리법에 대하여 가족을 교육한다.
ㆍ대상자의 개인적인 시간을 통해 스스로를 안정시키고, 환경에 적응 할 수 있다,
ㆍ새로운 기술을 너무 많이 가르치거나 강요하면 달성하지 못함에 대한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ㆍ가족들과 친숙한 사건을 이야기 하면서 기억력과 사고 과정을 증진 시킬 수 있다.
ㆍ대상자의 환경이 자극적이거나, 위험한 환경은 사고 과정에 자극을 줄 수 있다.
3. 간호 계획
4. 간호 평가
일시
진 단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2008.
10. 31
# 1 개인의 가치체계 혼란과 관련된 불이행
I
1-①,②,③,④,⑤,⑥ 수행함
SN
E
ㆍ대상자는 이제 약을 꾸준히 먹겠다고 말함
ㆍ가족들은 약물의 부작용을 3가지 이상 말함.
2008.
10. 31
# 2 학령기 외상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I
1-①,②,③,④ 수행함
2-①,②,③,④ 수행함
SN
E
· 대상자의 분노를 그림그리기와, 점토놀이로 표현함.
· 대상자는 여전히 타인에게 폭력을 휘두려는 태도를 보임(주먹을 쥐고 힘을 겨룸)
2008.
10. 31
# 3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I
1-①,②,③,④,⑤,⑥,⑦ 수행함
SN
E
ㆍ질문에 연관성이 작은 내용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줄어듬
ㆍ추상적으로 두루뭉수리하게 말하는 것은 나아지지 않음
· 계속해서 망상을 이야기함
※ 참고 문헌
김명애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이경순 외(2000).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도복늠 외(2004). 최신 정신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도복늠 외(2004).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정담미디어.
김강미자 외(2005).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분열증과 음악치료
정신분열증 (진단기준과 주요증상, 정신분열증의 역사, 원인, 정신분열증 치료, 유사한 정신...
[정신분열증] 조현병 (schizophrenia) (고찰, 역학, 원인, 임상양상, 진단, 경과 및 예후, 치료)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이론요약정리(단극적우울증, 양극적우울증, 자살, 정신분열증유형, 원...
[정신분열증의 음악치료] 정신분열증 원인과 정신분열증 증상, 정신분열증 음악치료 방법
[정신분열증 영화-셔터아일랜드 Shutter Island] 셔터아일랜드 영화 줄거리, 인물의 심리적 ...
[정신분열증의 인지행동치료] (증상, 원인, 치료, 사례) 정신분열증의 인지행동치료 증상, 정...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의 개념(정의), 유형(분류), 정신분열증 발병요인(원인),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조현병)의 개념(정의)과 요인(원인), 정신분열증 진단(검사)
정신분열증 환자의 증상, 정신분열증의 치료적 접근(정신분열증의 치료방법, 정신분열증 하위...
[정신분열증, 정신분열병] 정신분열증의 주요증상(사고장애, 지각장애, 정동장애, 사회적 장...
조헌병(정신분열증) 케이스(문헌고찰,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포함) A+++++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의 원인 및 정의, 정신분열증의 증상(양성증상, 음성증상), 정신분열...
정신분열증 환자였던 존 내쉬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뷰티풀 마인드보고 감상문을 제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