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구조, 심혈관계 기능 사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심장의 구조와 기능
1. 심장의 구조
(1) 크기
(2) 위치
(3) 심낭
(4) 심장벽
(5) 심방
(5) 심실
(6) 판막
2. 자극전도계

심혈관계 기능 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임상진단검사

본문내용

l valve area): 좌측 중앙쇄골선에서 제5늑간
B. 심박동수와 리듬
정상적으로 60~100회/분이고 규칙적이어야 한다.
심첨부 청취와 동시에 요골맥박을 촉진하면서 맥박결손을 확인한다.
맥박결손은 심실의 약한 수축력을 의미한다.
C. 정상심음 청취
“lub-dup" 중에 제1심음(S1)은 ”lub"으로, 제2심음(S2)은 “dup"으로 들린다.
심첨부에서는 S1, 기저부에서는 S2가 더 크게 들린다.
S1: 방실판막이 닫힘으로써 일어나고 수축기의 시작이다.
S2: 반월판의 닫힘과 관련된다.
S1은 심전도 상의 R파와 일치한다.
D. 심외심음 청취
심외심음은 휴식기에 발생하고, 청진기의 종형을 이용하여 청진한다.
S3: 심실 충만기 음으로, 어린아이에게서는 정상이지만 성인에서는 비정상이다.
혈량 과부하 상태에서 발생한다.
S4: 이완기 때 심방 수축 후 발생하고 S1 직전에 들린다.
생리적으로 심맥관 질병이 없는 40~50대 이상의 성인에게 발생할 수 있다.
E. 심잡음과 심맥관잡음 청취
심장 혹은 대혈관에서 와류성 혈류에 의해 생기는 바람부는 소리 혹은 휙하는 소리
잡음이 들린다면 시기, 강도, 음조, 양상, 위치, 방사, 음질, 자세와 같은 특징을 확인 하여 서술한다.
기능적 잡음은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수축중기, 짧고, 강해졌다가 약해지고, 진동성 혹 은 음악적인 소리를 가진다.
3. 임상진단검사
1) 실험실 검사
(1) 혈액검사
전혈구 측정은 혈액 내 고형성분의 수치와 형태에 대한 지표로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혈액 검사 방법이다.
(2) 소변검사
울혈성 심부전⇒심박출량 감소→신사구체의 여과작용 저하→소변량 감소, 소변에 원주체, 단백질 검출, 요비중 증가
(3) 효소검사
조직 세포내의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효소는 조직의 세포막이 손상되면 혈액 내로 유출되어 심근경색의 진단에 유용하다.
2) 혈역학 검사
(1)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측정
1분 동안 좌심실에서 동맥계로 보내는 혈액량으로, 정상은 대략 4~7L이다.
(2)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측정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으로, 전부하와 우심장의 기능 상태를 직접 반영하며 수액과다 또는 수액부족 등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정상은 보통 4~12cmH2O이며 변화양상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폐동맥압(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PCWP) 측정
심한 심부전 환자나 심인성 쇼크, 심장 수술 후 환자에게 측정함으로써 폐울혈과 좌심실의 기능 상태를 정확하게 사정할 수 있다.
3) 방사선 검사
(1) 흉부 X-선 촬영
심장의 윤곽, 크기, 해부학적 변화 등을 사정할 수 있고 심비대나 심낭삼출액 축적, 폐울혈도 관찰할 수 있다.
(2) 심장 형광투시(fluroscopy)
활동을 하고 있는 심장의 움직임을 형광투시를 통해 직접 보는 검사로, 심장내의 비정상적인 구조와 석회화 혹은 종양 등의 유무를 관찰하고 폐울혈이나 흉막강 혹은 심낭강 내의 삼출액으로 인한 징후 등을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다.
(3) 심혈관촬영술
전박정맥, 대퇴정맥 등을 통하여 심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연속 X-선 촬영을 하여 환자의 심장, 폐, 대혈관을 통하여 순환하는 염료의 진행과정을 보는 것이다.
(4) 심도자술
말초정맥이나 동맥을 통하여 심장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면 좌우 심방과 심실, 대혈관 내에서 혈액표본을 채취하여 산소 농도와 그곳에서의 압력차를 측정함으로써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진단한다.
4) 도식방법
(1) 심전도
심장박동의 주가 중에 일어나는 심장근육의 전기적 활동상태를 그래프상에 나타낸 것이다. (2) 휴대용 심전도
심장의 전기 활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거나 어지러움, 흉통, 실신, 심계항진, 빈맥 등의 리듬장애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부정맥이나 비정상적인 혈액역동, 리듬장애, 약물의 효과 등의 발생 기전을 사정하기 위한 것이다.
(3) 백터 심전도
어느 순간의 심장의 전기적 힘의 방향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4) 심음도촬영술
전자 측정기에 의하여 특수 심음 용지에 심음을 기록하는 방법이며 심박수가 빠른 환자의 심음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5) 심장 초음파촬영술
환자의 흉부에 장치된 변환기로 초음파를 흉부 안으로 침투시킴으로써 심장구조에 의하여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파를 기록하는 것이다.
(6) 경식도 심장 초음파촬영술
식도는 심장 바로 위를 지나가므로 작은 포으파 기구를 삼키면 식도 아래로 움직이면서 심장에 매우 가까이 지나가면서 심장의 모습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다.
(7) 운동부하 검사
임상적으로 나타난 증상과 증후로 보아 허혈성 심질환이 의심되나 심전도가 정상으로 나타나는 환자에게 심근 허혈을 유발시키기 위해 운동으로 심장에 부담을 가하면서 심전도를 찍는 방법이다.
5) 전기 생리학적 검사(electrophysiologic study; EPS)
방실전도 장애, 심실 내 전도 장애, 빈맥, 원인불명의 실신 혹은 심계항진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율 이상의 형태에 대한 정보와 전기 생리적 기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시행한다.
6) 방사성 핵의학 검사
(1) 방사성 동위원소 심혈관 촬영술
99mTc04, 99mTc-human serum albumin을 전박정맥이나 경정맥에 주사하고 감마 카메라로 연속 촬영하여 각 심방과 심실의 관류시간과 방사성 곡선을 분석하여 심장내 단락을 진단한다.
(2) 심근 스캔
방사성 동위원소를 정맥주사하고 2~3시간 후에 감마 카메라로 스캔하여 심근경색을 진단하는 검사방법이다.
7) 양전자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약품을 환자에게 정맥주사 또는 흡입하게 한 후 그 양전자의 흐름을 스캔해서 체내 여러 장기에서의 생화학적 변화를 정확하게 영상으로 나타내주는 최첨단 진단방법이다.
8) 자기공명 영상술(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큰 자석과 전파를 이용한 단층촬영술로, 신체의 종단과 횡단의 촬영이 가능한 입체적 촬영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2.25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