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론값
측정값
R3에 흐르는 전류[mA]
1
1.007
U1B의 출력 전압[V]
2
2.035
V
(R5)
⇒ R3에 흐르는 전류는 시뮬레이션 결과 -1mA로 나왔고 실제 실험결과는 1.007mA가 나왔다. 두 전류의 극이 다른 이유는 시뮬레이션에서 측정할 때 R3의 양단중 전압이 낮은 곳에서 전류를 측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차율을 구하면 0.7%오차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으로 U1B의 출력전압을 측정하였을 때에는 -3V가 나왔고, R5의 위 노드에 걸린 전압을 측정해보니 -1V가 나왔다. 그러므로 우리가 측정한 R5의 이론값은 (+)극을 위에 (-)극을 R5의 아래에 대고 멀티미터로 측정하였을 때는 이론적으로 2V가 나와야 한다. 실제로 이론값인 2V와 근접한 2.035V가 측정되었고 이 값은 1.75%의 오차율을 가진다.
4. 분석 및 토의
본래 OP-AMP라는 이름에서 amplifier라는 것 때문에 그 역할은 증폭이 주된 일일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저번 실험의 voltage follow나 이번의 Howland Current Pump와 같은 회로를 보면서 그 생각이 잘못된 것이라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항상 의용전자2에서 배운 후에 의용전자 실험을 하기 때문에 실험하는데 필요한 이론값을 구하는 식들은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 실험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정전류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인가되는 DC전원의 값에 의해 voltage가 saturation 되지 않는 부하전압 내에서만 제대로 정전류원으로 작동할 것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 전의 실험들에서도 위와 비슷한 경우에서 제대로 된 회로의 출력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저항의 mismatch의 effect로서 에서 우리가 얻은 의 값이 거의 0에 가까웠기 때문에 출력저항 Ro가 매우 큰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imbalance factor인 이어야 가 된다. 여기에서 는 positive도 될 수 있고 negative도 될 수 있으므로 결국 출력저항 역시 positive나, negative로 나타날 수 있다. 본래 Voltage-to-Current converter의 는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는 versus 의 기울기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면 완전히 수평적인 특성을 가지고 이면 오른쪽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가지며, 이면 왼쪽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가진다.
측정값
R3에 흐르는 전류[mA]
1
1.007
U1B의 출력 전압[V]
2
2.035
V
(R5)
⇒ R3에 흐르는 전류는 시뮬레이션 결과 -1mA로 나왔고 실제 실험결과는 1.007mA가 나왔다. 두 전류의 극이 다른 이유는 시뮬레이션에서 측정할 때 R3의 양단중 전압이 낮은 곳에서 전류를 측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차율을 구하면 0.7%오차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으로 U1B의 출력전압을 측정하였을 때에는 -3V가 나왔고, R5의 위 노드에 걸린 전압을 측정해보니 -1V가 나왔다. 그러므로 우리가 측정한 R5의 이론값은 (+)극을 위에 (-)극을 R5의 아래에 대고 멀티미터로 측정하였을 때는 이론적으로 2V가 나와야 한다. 실제로 이론값인 2V와 근접한 2.035V가 측정되었고 이 값은 1.75%의 오차율을 가진다.
4. 분석 및 토의
본래 OP-AMP라는 이름에서 amplifier라는 것 때문에 그 역할은 증폭이 주된 일일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저번 실험의 voltage follow나 이번의 Howland Current Pump와 같은 회로를 보면서 그 생각이 잘못된 것이라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항상 의용전자2에서 배운 후에 의용전자 실험을 하기 때문에 실험하는데 필요한 이론값을 구하는 식들은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 실험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정전류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인가되는 DC전원의 값에 의해 voltage가 saturation 되지 않는 부하전압 내에서만 제대로 정전류원으로 작동할 것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 전의 실험들에서도 위와 비슷한 경우에서 제대로 된 회로의 출력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저항의 mismatch의 effect로서 에서 우리가 얻은 의 값이 거의 0에 가까웠기 때문에 출력저항 Ro가 매우 큰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imbalance factor인 이어야 가 된다. 여기에서 는 positive도 될 수 있고 negative도 될 수 있으므로 결국 출력저항 역시 positive나, negative로 나타날 수 있다. 본래 Voltage-to-Current converter의 는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는 versus 의 기울기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면 완전히 수평적인 특성을 가지고 이면 오른쪽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가지며, 이면 왼쪽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가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트렌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설계 방법
MCCB ELCB 조사
다이오드 특성_및_곡선
전류분배회로 - 결과레포트
[전기공학실험] 회로 정리와 변환
[a++]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
전기전자 리포트 트랜지스터
[교류][교류전압][교류회로][교류전동기][교류발전기][임피던스]교류(교류연결)와 교류전압, ...
기초전자 실험 - 반파정류회로 실험
[설계보고서] 04 AD_DA 컨버터 응용 전기회로 설계 (예비레포트) : A/D 변환기와 D/A 변환기...
실험5 다이오드 정류기(단상) 단상 반파 회로, 단상 전파 회로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
[전력전자 설계 프로젝트-1 ] 벅컨버터 설계 Buck converter
전자회로_(예비보고서)
예비_A_D변환기와 D_A변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