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을 위한 원리
1) 기본 가설
(1)학습 과정의 특징 (the nature of the learnig process)
(2)학습의 결과 (the outcomes of learning)
2)학습의 구성요소
(1)행동적 모델 (The behavioral models)
(2)행동의 결과 (The consequences of behavior)
(3)학습자의 인지적 과정 ( The learner\'s internal processes)
(4) 자기효능감 (the role of self-efficacy)
3) 복잡한 학습의 본질
2. 수업을 위한 원리 (principles of instruction)
1) 수업의 구성요소
(1) 모 델과의 동일시 (identifying appropriate models)
(2) 행동의 기능적 가치의 확립(establishing the functional value of the behavior)
(3) 인지 능력과 운동 기술의 지도
2)복잡한 기술을 위한 교수의 디자인 (designing instruction for complex skills)
3. 학교교육에의 적용
1) Classroom issues
2) 인지적 과정과 교수 (cognitive processes and instruction)
3) 학습에 대한 사회적 배경
4) 반두라 이론의 장단점
(1) 이론의 약점
(2) 학교 교육을 위한 기여
1) 기본 가설
(1)학습 과정의 특징 (the nature of the learnig process)
(2)학습의 결과 (the outcomes of learning)
2)학습의 구성요소
(1)행동적 모델 (The behavioral models)
(2)행동의 결과 (The consequences of behavior)
(3)학습자의 인지적 과정 ( The learner\'s internal processes)
(4) 자기효능감 (the role of self-efficacy)
3) 복잡한 학습의 본질
2. 수업을 위한 원리 (principles of instruction)
1) 수업의 구성요소
(1) 모 델과의 동일시 (identifying appropriate models)
(2) 행동의 기능적 가치의 확립(establishing the functional value of the behavior)
(3) 인지 능력과 운동 기술의 지도
2)복잡한 기술을 위한 교수의 디자인 (designing instruction for complex skills)
3. 학교교육에의 적용
1) Classroom issues
2) 인지적 과정과 교수 (cognitive processes and instruction)
3) 학습에 대한 사회적 배경
4) 반두라 이론의 장단점
(1) 이론의 약점
(2) 학교 교육을 위한 기여
본문내용
속성 및 숙달되는 데 필요한 다른 기술들을 모방하는 것 (대리경험)
③ 적극적인 숙달 경험
④ 개인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거나 확실히 해주는 긍정적 유인물
또한 교사 효능감도 중요한 요소다. 이것은 교사 자신이 학생의 수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정도를 말하는데, 높은 효능감을 가진 교사는 무엇보다도 비방어적인 행동과 노력의 가치를 보여주는 모데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3. 학교교육에의 적용
사회 인지적 이론은 교육을 위한 두가지 major implications 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모델링은 학습자를 위한 정보의 중요한 소스가 된다. 두 번째는 성공적인 학습자가 되는 자기 조정 기능과 개인의 efficacy의 감각의 가치이다.
1) Classroom issues
(1) 개인차 (Individual difference)
학습자들은 추상적 부호화, 기억, 실행 느력, 모델을 수용하는 능력들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특정한 모델에 대한 수용성은 ①관찰자가 생각하는 그 행동에 대한 가치 ②관찰된 행동의 모델/상황과 관찰자의 지위, 상황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다르다.
(2) 준비도
개인의 관찰학습 능력을 결정하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는 개인의 발달 수준과 특정 모델에 대한 수용성이다. 학습자의 지각 상황과 강화의 기재 정도는 모델에 주의를 집중할 것인지 또는 무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모방하는 행동의 특징들을 추상화하고 후에 실수 없이 기억해 내는 능력은 학습의 범위와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3) 동기
동기의 주요 원천은 인지에 기초한다. 인지적 동기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 특정한 행동이 가져다 줄 미래의 결과에 대한 인지적 표상
둘째, 기준 설정과 자기 평가 체제와 관련있는 학습자의 자기 동기
2) 인지적 과정과 교수 (cognitive processes and instruction)
학습의 전이. ‘어떻게 배울 것인가’ 하는 학습 기술의 개발과 문제해결의 가르침은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인지적 문제이다. 사회학습 이론에서 학습의 전이에 대한 개념은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된다
첫째, 공포증 환자를 위한 다양한 처치법의 연구이다. 자기 지시적 숙달 경험들은 단순한 모델링 경험보다 일반적인 위협 상황들에 전이 시키는데 더 유용하다.
둘째, 인지적 행동의 모델링은 유사한 과제에서 즉각적 전이와 지연된 전이 둘 다를 제공한다. 개념 획득, 언어 규칙의 학습, 그리고 문제해결 전략들은 유사한 상황들에서 일반화 된다.
3) 학습에 대한 사회적 배경
사회 인지적 이론은 자연적인 상황에서 학습의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다양한 모델의 관찰과 동료와 타인으로부터 주어지는 강화는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학습 이론은 교실을 벗어나 확장될 수 있는 미디어 지향 사회에서의 학습 방법과 그에 따른 교육 체제를 생각해 보게 한다.
4) 반두라 이론의 장단점
(1) 이론의 약점
반두라는 학습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으로 상호 결정주의 개념을 자져왔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 지시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는 자기 효능감이 중요하나 한계를 가진 학급 상황에서 개개 학습자의 자기 규제 체제와 효능감을 발달시키는 어려운 과제이다.
(2) 학교 교육을 위한 기여
중요한 공헌은 강화와 처벌에 대한 자세한 기술 부분이다. 처벌이나 처벌의 부재는 대리적 강화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며, 둘 다 실제 교실상황에서 나타난다. 아마도 이론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매스미디어로부터 학습되는 행동과 태도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해 냈다는 점일 것이다. 사회에서 증가되는 폭력과 공격성의 표출이 사회학습 이론에서 설명된 관찰 학습 개념으로 설명되어진다.
③ 적극적인 숙달 경험
④ 개인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거나 확실히 해주는 긍정적 유인물
또한 교사 효능감도 중요한 요소다. 이것은 교사 자신이 학생의 수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정도를 말하는데, 높은 효능감을 가진 교사는 무엇보다도 비방어적인 행동과 노력의 가치를 보여주는 모데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3. 학교교육에의 적용
사회 인지적 이론은 교육을 위한 두가지 major implications 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모델링은 학습자를 위한 정보의 중요한 소스가 된다. 두 번째는 성공적인 학습자가 되는 자기 조정 기능과 개인의 efficacy의 감각의 가치이다.
1) Classroom issues
(1) 개인차 (Individual difference)
학습자들은 추상적 부호화, 기억, 실행 느력, 모델을 수용하는 능력들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특정한 모델에 대한 수용성은 ①관찰자가 생각하는 그 행동에 대한 가치 ②관찰된 행동의 모델/상황과 관찰자의 지위, 상황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다르다.
(2) 준비도
개인의 관찰학습 능력을 결정하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는 개인의 발달 수준과 특정 모델에 대한 수용성이다. 학습자의 지각 상황과 강화의 기재 정도는 모델에 주의를 집중할 것인지 또는 무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모방하는 행동의 특징들을 추상화하고 후에 실수 없이 기억해 내는 능력은 학습의 범위와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3) 동기
동기의 주요 원천은 인지에 기초한다. 인지적 동기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 특정한 행동이 가져다 줄 미래의 결과에 대한 인지적 표상
둘째, 기준 설정과 자기 평가 체제와 관련있는 학습자의 자기 동기
2) 인지적 과정과 교수 (cognitive processes and instruction)
학습의 전이. ‘어떻게 배울 것인가’ 하는 학습 기술의 개발과 문제해결의 가르침은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인지적 문제이다. 사회학습 이론에서 학습의 전이에 대한 개념은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된다
첫째, 공포증 환자를 위한 다양한 처치법의 연구이다. 자기 지시적 숙달 경험들은 단순한 모델링 경험보다 일반적인 위협 상황들에 전이 시키는데 더 유용하다.
둘째, 인지적 행동의 모델링은 유사한 과제에서 즉각적 전이와 지연된 전이 둘 다를 제공한다. 개념 획득, 언어 규칙의 학습, 그리고 문제해결 전략들은 유사한 상황들에서 일반화 된다.
3) 학습에 대한 사회적 배경
사회 인지적 이론은 자연적인 상황에서 학습의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다양한 모델의 관찰과 동료와 타인으로부터 주어지는 강화는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학습 이론은 교실을 벗어나 확장될 수 있는 미디어 지향 사회에서의 학습 방법과 그에 따른 교육 체제를 생각해 보게 한다.
4) 반두라 이론의 장단점
(1) 이론의 약점
반두라는 학습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으로 상호 결정주의 개념을 자져왔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 지시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는 자기 효능감이 중요하나 한계를 가진 학급 상황에서 개개 학습자의 자기 규제 체제와 효능감을 발달시키는 어려운 과제이다.
(2) 학교 교육을 위한 기여
중요한 공헌은 강화와 처벌에 대한 자세한 기술 부분이다. 처벌이나 처벌의 부재는 대리적 강화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며, 둘 다 실제 교실상황에서 나타난다. 아마도 이론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매스미디어로부터 학습되는 행동과 태도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해 냈다는 점일 것이다. 사회에서 증가되는 폭력과 공격성의 표출이 사회학습 이론에서 설명된 관찰 학습 개념으로 설명되어진다.
추천자료
행동주의학습 이론에 대한 고찰
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하시오
행동주의학습이론의 고전적조건화이론(파블로프),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원리를 비교 설명해보고 자신이 선호하는 이론에 ...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 이론의 인간관을 비교하고 본인의 인간관을 서술
[인지중심과 이론][학습이론][사회학습이론][통찰학습이론][정보처리이론]인지중심과 학습이...
2013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B형(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입장)
[언어교육학] 언어습득이론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특징 비교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과 반듀라(반두라)의 행동주의이론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 이론의 인간관을 비교하고 본인의 인간관을 서술.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상담, 행동주의상담,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에 대해서 비교하고 인간...
[인간과심리 2015] 1. 심리학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여러분의 평소 습관 중 행동주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강화의 법칙을 적용하여 개선할 수 있는 ...
[영유아교수방법론]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에 대하여 비교설명하고 각 이론 중에서 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