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논의 배경
2. 국내 기업에 미치는 ‘차이나 리스크’의 현황
3. 국내 기업에 대한 전략적 ‘차이나 리스크’ 관리 지침
4.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 국내 기업에 미치는 ‘차이나 리스크’의 현황
3. 국내 기업에 대한 전략적 ‘차이나 리스크’ 관리 지침
4.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본문내용
일감정 때문에 최근의 ‘차이나 리스크’에 가장 민감한 일본기업들은 상당수가 생산 공정을 중국에 집중시키지 않고,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등으로 분산 네트워크화 하는 작업 추진
- 차별성 강화를 위한 투자 증대
* 집중적인 대량생산 체제 구축에 치중했던 외국기업들은 이제 브랜드 파워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수익을 제공하는 고가시장에서의 포지션 확보를 위한 차별적 마케팅 믹스 구축에 투자를 집중
4.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 질적 고도화를 추구하는 중국 시장 니즈에 부응
- 고객지향적 차별성 강화
* 최근의 ‘차이나 리스크’가 시사하는 바는 중국 시장이 더 이상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니즈가 커다란 힘을 발휘하는 시장으로 변모했음을 의미
* 노후 설비를 이전해 저임 노동력을 이용하며 중저가품을 생산, 판매해도 이익을 남길 수 있는 시절은 이미 지나갔으며, 구매력을 갖춘 고객들의 첨단제품에 대한 까다로운 니즈 충족 능력이 중국투자 성공의 요체
○ 현지 친화적 경영 마인드 제고
- 현지 사회에 공헌한다는 기업 이미지 구축
* 현지화에 성공한 기업들의 공통점은 현지에서 거둔 수익은 100% 현지에 재투자한다는 원칙을 지켰으며, 현지 문화사업의 주요 스폰서 역할을 자임하여 지역 내 이해관계자 집단들로부터 정서적 호감 유발
* 두산 인프라코어의 경우 현지 근로자에 대해 온정주의적 노사관리 정책을 펼쳐 노사분규 여지를 차단하고, 이직율을 2% 이하로 유지하는 성과를 거둠
* 동사 엔타이 법인은 1999년부터 중국 시골 초등학교를 개보수해 주는 ‘희망공정’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지역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전달로 인해 정서적 유대감을 많이 느낀다는 지역사회의 긍정적 반응 획득
○ 체계적인 중국 사업 리스크 관리
- 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상시 가동
* “리스크를 피할 수 없을 때는 이를 즐겨라”라고 하는 경영 격언에 따라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보다는 이를 슬쩍 우회하며 기회로 전환시킬 여지를 모색하는 사업 마인드 확립
* 중국경제의 흐름, 정부의 산업구조 고도화 의지, 그리고 시장 니즈의 변화 조짐을 수시로 체크하며 “위험 발생의 조기 예측 → 평가 → 대안 모색”의 기능을 수행하는 리스크 상시 관리 시스템을 구축
* 선진 경쟁사인 Caterpillar, Komatsu, ABB 및 국내의 삼성전자, LG전자, Posco, 현대차, SK 등은 중국 내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
- 차별성 강화를 위한 투자 증대
* 집중적인 대량생산 체제 구축에 치중했던 외국기업들은 이제 브랜드 파워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수익을 제공하는 고가시장에서의 포지션 확보를 위한 차별적 마케팅 믹스 구축에 투자를 집중
4.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 질적 고도화를 추구하는 중국 시장 니즈에 부응
- 고객지향적 차별성 강화
* 최근의 ‘차이나 리스크’가 시사하는 바는 중국 시장이 더 이상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니즈가 커다란 힘을 발휘하는 시장으로 변모했음을 의미
* 노후 설비를 이전해 저임 노동력을 이용하며 중저가품을 생산, 판매해도 이익을 남길 수 있는 시절은 이미 지나갔으며, 구매력을 갖춘 고객들의 첨단제품에 대한 까다로운 니즈 충족 능력이 중국투자 성공의 요체
○ 현지 친화적 경영 마인드 제고
- 현지 사회에 공헌한다는 기업 이미지 구축
* 현지화에 성공한 기업들의 공통점은 현지에서 거둔 수익은 100% 현지에 재투자한다는 원칙을 지켰으며, 현지 문화사업의 주요 스폰서 역할을 자임하여 지역 내 이해관계자 집단들로부터 정서적 호감 유발
* 두산 인프라코어의 경우 현지 근로자에 대해 온정주의적 노사관리 정책을 펼쳐 노사분규 여지를 차단하고, 이직율을 2% 이하로 유지하는 성과를 거둠
* 동사 엔타이 법인은 1999년부터 중국 시골 초등학교를 개보수해 주는 ‘희망공정’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지역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전달로 인해 정서적 유대감을 많이 느낀다는 지역사회의 긍정적 반응 획득
○ 체계적인 중국 사업 리스크 관리
- 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상시 가동
* “리스크를 피할 수 없을 때는 이를 즐겨라”라고 하는 경영 격언에 따라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보다는 이를 슬쩍 우회하며 기회로 전환시킬 여지를 모색하는 사업 마인드 확립
* 중국경제의 흐름, 정부의 산업구조 고도화 의지, 그리고 시장 니즈의 변화 조짐을 수시로 체크하며 “위험 발생의 조기 예측 → 평가 → 대안 모색”의 기능을 수행하는 리스크 상시 관리 시스템을 구축
* 선진 경쟁사인 Caterpillar, Komatsu, ABB 및 국내의 삼성전자, LG전자, Posco, 현대차, SK 등은 중국 내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