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학이란?
1. 신학의 정의
1) 자유주의 신학이해
2) 개혁주의 신학이해
2. 신학과 다른 학문과의 관계
1) 신학과 종교
2) 신학과 철학
3) 신학과 과학
3. 신학의 목적
신학의 분류
1. 신학연구를 위한 보조학문
2. 성서(주경)신학(Biblical Studies)
3.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
4. 역사신학
5. 실천신학
교의신학
1. 신학의 정의
1) 자유주의 신학이해
2) 개혁주의 신학이해
2. 신학과 다른 학문과의 관계
1) 신학과 종교
2) 신학과 철학
3) 신학과 과학
3. 신학의 목적
신학의 분류
1. 신학연구를 위한 보조학문
2. 성서(주경)신학(Biblical Studies)
3.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
4. 역사신학
5. 실천신학
교의신학
본문내용
옛날 왕의 칙령이나 구약의 법도, 공회의 의결 등을 지칭할 때, 쓰였다.(눅 2:1, 행17:7, 엡2:15, 골2:14 참조)
특히 가장 결정적으로 제1차 예루살렘 공회의의 결정에 이 단어가 사용됨으로서 신학적으로 교의라는 뜻이 되었다.(행16:4) 교의란 교리를 공식화시킨 교회로부터 확립된 진리로 인정받고 따라서 권위를 입고 있는 교리들의 진술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교의란 하나님의 음성에 대한 공적사람들의 응답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교의는 교리의 외연(外延, denotation)이라고 하겠고, 교리는 교의의 내포(內包, connotation, intension) 라고 할 수 있다.교리(교리, doctrine)란 성서의 하나님의 진리를 인간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서술된 말로 표현한 것을 지칭하며, 인간이 절대적인 신앙을 요구하는 기독교 신앙의 표준이 되는 진리 자체인 것이다. 단지, 교리는 성서의 진리에 대한 어떤 한 개인 학자의 진술일 수도 있기에, 아직 교리는 공교회(교파별)의 공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래서 교리란 성서전체가 오늘날 어떤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는 내용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리는 교의보다 전제적이고, 원초적이라고도 말 할 수 있고, 교의보다 광범위한 것으로 영원불변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교의는 교리보다 더 일치하기 위해서, 공교회(교파별)계속적으로 수렴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서 교리는 영원불변하지만, 교의는 항상 공교회에서 개정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렇지만, 교의는 교리보다 공식적이고, 권위적인 개 교파나 공교회의 선언이라고 하겠다.(로마 천주교 교의, 장로교 교의, 장로교 중에도 교파에 따라서 교의의 입장이 각각일 수 있음)
특히 로마 천주교회는 교의가 공교회의 회의나 전통에서 나온다고 가르치고,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자들은 교의가 인간의 주관적 신앙이나 종교적 경험에서 나온다고 주장하나, 개신교회는 교의가 오직 성서에서 나와야 한다고 믿고 있다. 이와 같이, 교의는 성서 진리의 체계적 진술이므로, 교의신학이란 신앙인들이 하나님과 우주의 관계에 대한 성서의 진리를 교의의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학문이다.
신학의 개념 정의의 결론으로서, 즉, 조직신학이란 하나님을 아는 신학적 지식의 학문적인 체계로서 성서에 계시된 진리와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고 수집한 교리를 권위 있는 공교회가 수락하는 것을 주제별로 모순됨이 없이 조직적이며 논리적으로 기술하는 학문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은 바로 기독교 복음을 좀 더 자세하게 체계적으로 해석하는 학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기독교인에게 있어서 신앙생활과 신학(조직신학)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성서의 진리를 바로 알지 못한 신앙이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목회목사와 신학(조직신학)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올바른 신학이 없는 설교, 교육, 상담, 교회행정 등 모두가 조직적이고 체계가 없으면, 모래 위에 집을 세우는 것과 같다.
특히 가장 결정적으로 제1차 예루살렘 공회의의 결정에 이 단어가 사용됨으로서 신학적으로 교의라는 뜻이 되었다.(행16:4) 교의란 교리를 공식화시킨 교회로부터 확립된 진리로 인정받고 따라서 권위를 입고 있는 교리들의 진술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교의란 하나님의 음성에 대한 공적사람들의 응답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교의는 교리의 외연(外延, denotation)이라고 하겠고, 교리는 교의의 내포(內包, connotation, intension) 라고 할 수 있다.교리(교리, doctrine)란 성서의 하나님의 진리를 인간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서술된 말로 표현한 것을 지칭하며, 인간이 절대적인 신앙을 요구하는 기독교 신앙의 표준이 되는 진리 자체인 것이다. 단지, 교리는 성서의 진리에 대한 어떤 한 개인 학자의 진술일 수도 있기에, 아직 교리는 공교회(교파별)의 공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래서 교리란 성서전체가 오늘날 어떤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는 내용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리는 교의보다 전제적이고, 원초적이라고도 말 할 수 있고, 교의보다 광범위한 것으로 영원불변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교의는 교리보다 더 일치하기 위해서, 공교회(교파별)계속적으로 수렴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서 교리는 영원불변하지만, 교의는 항상 공교회에서 개정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렇지만, 교의는 교리보다 공식적이고, 권위적인 개 교파나 공교회의 선언이라고 하겠다.(로마 천주교 교의, 장로교 교의, 장로교 중에도 교파에 따라서 교의의 입장이 각각일 수 있음)
특히 로마 천주교회는 교의가 공교회의 회의나 전통에서 나온다고 가르치고,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자들은 교의가 인간의 주관적 신앙이나 종교적 경험에서 나온다고 주장하나, 개신교회는 교의가 오직 성서에서 나와야 한다고 믿고 있다. 이와 같이, 교의는 성서 진리의 체계적 진술이므로, 교의신학이란 신앙인들이 하나님과 우주의 관계에 대한 성서의 진리를 교의의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학문이다.
신학의 개념 정의의 결론으로서, 즉, 조직신학이란 하나님을 아는 신학적 지식의 학문적인 체계로서 성서에 계시된 진리와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고 수집한 교리를 권위 있는 공교회가 수락하는 것을 주제별로 모순됨이 없이 조직적이며 논리적으로 기술하는 학문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은 바로 기독교 복음을 좀 더 자세하게 체계적으로 해석하는 학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기독교인에게 있어서 신앙생활과 신학(조직신학)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성서의 진리를 바로 알지 못한 신앙이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목회목사와 신학(조직신학)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올바른 신학이 없는 설교, 교육, 상담, 교회행정 등 모두가 조직적이고 체계가 없으면, 모래 위에 집을 세우는 것과 같다.
추천자료
[종교][한국종교][신앙][종교수용][현대인 종교 추구][남북종교][남북한 종교 비교][종교체험...
[종교][종교의 본질][종교의 상징][종교의 배경][종교를 통한 사회통합][종교 수용]종교의 본...
[종교][종교 일반론][종교 본질][종교 특성][종교 문제점][한국 종교정책][종교변동][종교수...
[종교][종교다원주의][한국의 종교다원주의][부활관]종교의 의미, 종교의 기원, 종교다원주의...
[종교][기독교와 타종교 비교][종교와 스포츠 비교][종교 철학 비교]종교 필요성, 종교 종류,...
[세속화][종교 세속화][종교][세속화의 의미][종교의 세속화 이론][종교의 세속화 특징][종교...
[종교대화][원불교][불교][유교][기독교][성서][종교대화 사례][종교][신앙]원불교와 종교대...
[종교][종교 기능][종교 역기능][종교와 스포츠][종교와 심리학][종교와 사회갈등]종교의 목...
[종교개혁][세계 각국의 종교개혁 사례][급진파][종교]종교개혁의 시대적 배경, 종교개혁의 ...
[종교적 관점][불교][토지][효율]종교적 관점으로 본 불교, 종교적 관점으로 본 토지, 종교적...
[한중일종교, 한국중국일본 종교]한중일종교(한국중국일본 종교)의 성향, 한중일종교(한국중...
[★★평가우수자료★★] 타오르는 종교개혁의 불씨 [루터, 칼뱅,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종교개혁...
[★평가우수자료★] [반동종교 개혁] 반동종교 개혁의 정의 : 반동종교개혁과 가톨릭 종교개혁,...
[★★평가우수자료★★][츠빙글리, 루터의 종교宗敎 개혁] 종교개혁가 츠빙글리 분석, 루터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