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빈치코드와 성스러운 이미지, 그리고 현대의 아우라에 관한 입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빈치코드와 성스러운 이미지, 그리고 현대의 아우라에 관한 입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영화 다빈치코드의 논쟁점
-가)`다빈치코드`내용 속의 위험성
나)영화라는 이미지화의 위험성

2]이미지와 이콘 논쟁, 그리고 현대 아우라의 상실에 이르기까지.
-가)성상 파괴논쟁
나)현대, 아우라의 상실
다)우리의 입장

결론

본문내용

이콘 논쟁을 가져와 되새겨 보았다. 또한 현대의 이미지 홍수속에서 아우라의 상실을 반추하며 우리의 입장은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 짧게 이야기 해 보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는 일기 마련이고, 순기능이 있으면 역기능이 따르기 마련이다. 넘치는 이미지 속에서 예전과 같은 성스럽고 초월적인 어떤 아우라는 엷어지고, 약해졌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을 골라내어 몇 배 강하게 흡수하는 것은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선별하는 우리의 몫이다. 남은 우리의 과제를 어떻게, 또 얼마나 잘 풀어 가느냐에 따라 그 성스러움이 계속되어 전해질지 기계적인 반복에 의해 묻힐지가 결정될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영화 ‘다빈치 코드’ 논란을 그저 시끄러운 논쟁으로 바라보지 않고, ‘이미지’에 대해 한번 더, 다른 시각으로 깊이 되씹어보는 계기로 이해해야하는 계기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및 인터넷 싸이트>
http://www.naver,com
http://blog.naver.com/wooseokint1/110004443760
‘만다라 이야기’ - 석도열. 2000. 맑은 소리
‘성화 이야기’ - 나카자와 신이치. 2005. 교양인
'아도르노‘ - 하르트무트 샤이블레, 김유동 옮김. 1997. 한길사
‘영상 문화론 ’ - 김택환. 2000. 커뮤니케이션북스
‘발터 벤야민’ - 베른트 비테 , 윤미에 옮김. 2001. 한길사
http://blog.naver.com/rlxkrlxk/150003391002
‘유혹하는 모나리자’ - 노성두. 2001. 한길아트
http://blog.naver.com/wooseokint1/110004443760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0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9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