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BSTRACT
1. 서 론
2. 문제인식
2.1 설문조사
2.2 회전문의 필요성
2.3 안전사고 사례
2.4 안전사고 원인
2.5 해결 방안 제시
3. 결 론
1. 서 론
2. 문제인식
2.1 설문조사
2.2 회전문의 필요성
2.3 안전사고 사례
2.4 안전사고 원인
2.5 해결 방안 제시
3. 결 론
본문내용
입구 오른쪽 POST에 장애자 표시가 있는 저속 버튼을 설치하여 이를 누르면 장애자나 노약자가 불편 없이 통행 할 수 있도록 저속 회전 (2RPM이하)을 함
비상개패장치
비상시 또는 필요 시 문을 밀거나 당기면 회전이 정지하면서 겹치게 되어 비상 탈출이 용이함. (적용사례=건물 환기 시, 비상대피 시)
비상 정지 장치
양쪽 출입구 오른쪽 POST에 눈에 쉽게 띄는 적색 정지 버튼을 설치하여 비상시에 이를 누르면 즉각 회전이 정지함.
내풍압 장치
강풍이나 태풍을 대비하여 최대풍속 15m/sec ~24m/sec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한 전자Brake방식임.
이러한 노력들 가운데 회전문의 안전장치 설치가 주를 이루고 있다. 회전문의 안전장치를 살펴보겠다.
<회전문의 안전장치>
이러한 안전장치들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었다. 학교 앞에 복합 쇼핑몰인 스타시티의 건물에도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회전문이 설치되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스타시티의 회전문>
그리고 기술발달로 인한 이러한 노력들은 앞으로 안전사고 예방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 남은 원인이 이용자의 부주의 이다. 이 사항은 정부 부처의 노력이나 기업의 노력으로도 바꿀 수 없는 고질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수치상으로 알아 볼 순 없지만 안전사고의 대부분의 원인이 부주의라고 미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주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그 방안이 바로 경고문 설치이다. 이번 보고서를 위하여 여러 회전문을 살펴보았지만 어느 곳에도 경고문이 설치된 경우가 없었다. 현재 시험기간으로 인하여 수많은 사람이 오고가는 우리 학교 도서관 회전문조차도 경고문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중앙 도서관 출입구의 회전문>
이러한 회전문에 경고문구 하나라도 붙여놓는다면 이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는 상당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 정말 안타까웠다.
2.5 해결 방안 제시
앞서 2.4에서 알아본 안전사고의 원인은 대부분이 관계부처나 기업들의 노력과 기술발달로 인한 안전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상당부분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마지막 원인인 이용자의 부주의는 아직까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용자의 부주의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문에 경고문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경고문 도안>
우선 사용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단순한 디자인을 통하여 사람들의 눈에 잘 띄게 하였고, 빨간 색을 통해 위험함을 강조하여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의 회전문은 도서관에 직접 경고문을 부착한 모습이다.
<경고문을 부착한 회전문>
이러한 경고문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경각심을 가지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3. 결 론
우리가 무심코 지나다니는 곳들 중에서도 위험성은 항상 존재한다. 그런 위험은 우리에게 때론 치명적으로 다가와 목숨을 빼앗아 갈만큼 위협적이다. 따라서 우리가 그러한 위험성을 평소에 인식하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회전문의 위험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잦은 안전사고로 인하여 관계부처 및 기업들이 회전문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안전장치들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나 자신에 내재되어있는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그에 따른 해결책으로 경고문을 회전문에 설치하였다. 이 경고문 제작을 통해 사용자들이 경각심을 가짐으로써 회전문에서의 안전사고가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해 본다.
비상개패장치
비상시 또는 필요 시 문을 밀거나 당기면 회전이 정지하면서 겹치게 되어 비상 탈출이 용이함. (적용사례=건물 환기 시, 비상대피 시)
비상 정지 장치
양쪽 출입구 오른쪽 POST에 눈에 쉽게 띄는 적색 정지 버튼을 설치하여 비상시에 이를 누르면 즉각 회전이 정지함.
내풍압 장치
강풍이나 태풍을 대비하여 최대풍속 15m/sec ~24m/sec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한 전자Brake방식임.
이러한 노력들 가운데 회전문의 안전장치 설치가 주를 이루고 있다. 회전문의 안전장치를 살펴보겠다.
<회전문의 안전장치>
이러한 안전장치들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었다. 학교 앞에 복합 쇼핑몰인 스타시티의 건물에도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회전문이 설치되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스타시티의 회전문>
그리고 기술발달로 인한 이러한 노력들은 앞으로 안전사고 예방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 남은 원인이 이용자의 부주의 이다. 이 사항은 정부 부처의 노력이나 기업의 노력으로도 바꿀 수 없는 고질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수치상으로 알아 볼 순 없지만 안전사고의 대부분의 원인이 부주의라고 미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주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그 방안이 바로 경고문 설치이다. 이번 보고서를 위하여 여러 회전문을 살펴보았지만 어느 곳에도 경고문이 설치된 경우가 없었다. 현재 시험기간으로 인하여 수많은 사람이 오고가는 우리 학교 도서관 회전문조차도 경고문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중앙 도서관 출입구의 회전문>
이러한 회전문에 경고문구 하나라도 붙여놓는다면 이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는 상당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 정말 안타까웠다.
2.5 해결 방안 제시
앞서 2.4에서 알아본 안전사고의 원인은 대부분이 관계부처나 기업들의 노력과 기술발달로 인한 안전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상당부분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마지막 원인인 이용자의 부주의는 아직까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용자의 부주의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문에 경고문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경고문 도안>
우선 사용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단순한 디자인을 통하여 사람들의 눈에 잘 띄게 하였고, 빨간 색을 통해 위험함을 강조하여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의 회전문은 도서관에 직접 경고문을 부착한 모습이다.
<경고문을 부착한 회전문>
이러한 경고문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경각심을 가지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3. 결 론
우리가 무심코 지나다니는 곳들 중에서도 위험성은 항상 존재한다. 그런 위험은 우리에게 때론 치명적으로 다가와 목숨을 빼앗아 갈만큼 위협적이다. 따라서 우리가 그러한 위험성을 평소에 인식하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회전문의 위험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잦은 안전사고로 인하여 관계부처 및 기업들이 회전문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안전장치들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나 자신에 내재되어있는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그에 따른 해결책으로 경고문을 회전문에 설치하였다. 이 경고문 제작을 통해 사용자들이 경각심을 가짐으로써 회전문에서의 안전사고가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해 본다.
추천자료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협동학습 교육사례
[목조건축][목조건축물]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개념, 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특성, 목조건...
[건축환경공학]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 및 건축사례
공학인의 윤리강령 및 사례
아동 안전교육,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
[환경공학] 열병합발전 시스템 장단점과 도입사례
[섬유공학과] (예비) UV Visible - UV Visible의 원리를 알고, 적용사례를 조사한다
[금융제도, 금융, 금융제도 정의, 금융제도 형태, 금융제도 변화]금융제도의 정의, 금융제도...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의 정의,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의 특징,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
건축공학 - 초고층 건물의 구조 시스템 및 사례 조사
영유아 안전사고 사례
스웨덴의 안전관리체계와 리드코핑(리드셰핑/Lidkoping)의 안전프로그램(선진 안전도시 경험...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 & 부정적인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