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 & 부정적인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 & 부정적인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

a.세계과학자연맹(WFSW)의 '과학자 헌장'
b.군비경쟁에 대항하는 국제과학자운동 - 퍼그워시 회의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정적인 사례

a.원자폭탄의 제조
b.베트남전 군사연구

본문내용

수행되는 사회체제 그리고 엘리트 문화에 의해 조장되고 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은 양자론에 근거한 원자핵 연구가 전쟁무기로 쓰임을 알고 연구의 중단의 주장했다. 자신의 연구가 인류에게 재앙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할 때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과 도덕성의 문제는 큰 의미를 지닌다.
독일 과학자 폰 브라운은 미사일의 모형인 v2를 개발했으나 독일이 무기로 이용하려하자 망명했다. 폰 브라운이 망명은 하였지만 망명을 한다고 하여 오용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다. 개발을 하기 전에 어떻게 쓰일지를 생각하고 연구 개발해야할 것 이다.
노벨이 다이너마이트를 편리한 공사를 위해 발명했지만 전쟁 무기로 악용된 것과 같이 과학자 자신의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서라도 책임을 회피할 것이 아니라 문제의 과학적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과학자들은 자기가 사회적 책임을 져야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인성과 인격교육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누가 뭐라 해도 과학기술은 우리 사회에 엄청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공학인들은 이 같은 영향력이 있는 과학 기술을 우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과학기술 결과 얻어진 결과물에 대한 가장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는 설계와 제작에 참여한 공학인이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공학인은 결과물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공학인은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나 끝나고 난 후에도 자기의 결과물이 잘 못 사용되지 않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1.1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